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방색과 청동은입사보상당초봉황문합의 전통문양을응용한 창작 업스타일 제작

        전소리,문소희,이재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6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7 No.1

        In hairstyling, a creative updo is a sector in which creativity, artistry, and originality are particularly important. Traditional Korean patterns have their own artistic and creative valu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ress effective artistic images through creative updos using obangsaek based on the traditional patterns in Korea’s national treasure ‘Bronze Lidded Bowl with Silver-inlaid Phoenix Design.’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artistic cultural images were expressed through the recreation of creative updos using the five traditional colors of Korea based on the traditional patterns from the National Treasure No. 171 ‘Bronze Lidded Bowl with Silver-inlaid Phoenix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offer an opportunity to re-illuminate and utilize cultural heritage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all art and industrial sectors, including cosmetology and hairstyling sectors, after re-illuminating the beauty and value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nd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them in a modern style.

      • KCI등재

        차전자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전소현(So Hean Jeon),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8

        본 연구에서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차전자피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생리활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차전자피 분말을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식빵에 첨가한 결과, Farinograph는 차전자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흡수율과 arrival 시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안정성과 약화도는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Amylograph 특성으로는 호화개시온도가 대조군은 69.0℃였으나, 차전자피를 첨가함에 따라 66.0~55.5℃로 낮아졌으며, 최고점도는 차전자피 분말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break time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노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set back 값은 차전자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서 식빵의 노화도가 감소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차전자피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굽기 손실률은 10.21%로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고 첨가군에서 점차 증가함을 보여주었으며, pH는 반죽과 식빵에서 차전자피 분말의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식빵의 전자주사현미경과 외관 관찰에서는 차전자피 분말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단면의 기공 크기가 줄고 조밀한 구조를 띠었으며 부피는 줄어들었다. 식빵의 crust 부분은 차전자피 분말이 증가함에 따라 L값, a값, b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crumb의 색도는 a값, b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차전자피 분말을 첨가하여 식빵 제조 시에 차전자피의 식이섬유로 인해 노화 지연 측면에서 15% 첨가군이 가장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동안은 차전자피의 생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에만 그쳤지만, 본 연구를 통해 이를 식품에 접목해 소비자에게 생소한 차전자피 분말을 이용하여 제과제빵 산업에서 식빵류뿐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 차전자피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가치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psyllium husk pow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containing psyllium husk powder were analyzed based on farinography and amylography, and pH level, SEM, and color value of white bread added with 2.5%∼10% psyllium husk powder were measured. Farinograph measurement of the bread showed that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and peak time increased with addition of psyllium husk powder. The amylograph analysis showed that peak viscosity, hot paste viscosity, and breakdown increased with addition of psyllium husk powder. Volume,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rate of white bread decreased with increasing psyllium husk powder amount. The pH levels of dough and bread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psyllium husk powder. The L, a, and b values of the crust decreased, L value of the crumb decreased, and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psyllium husk powder amount (P<0.05).

      • SCOPUSKCI등재

        폴리페놀 함유 블랙 초크베리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에 대한 보호 효과

        전소현(Sohyeon Jeon),김보경(Bohkyung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만성 대사성 질환에 기초적 유발 기전인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에 대한 폴리페놀 함유 블랙 초크베리의 보호 효과를 살펴보았다. 블랙 초크베리는 DPPH, ·OH, 및 NO 등 다양한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냈다. 내독소인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 내 ROS 증가는 폴리페놀 함유 블랙 초크베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이는 블랙 초크베리가 전사인자인 NRF2의 핵 내 이동 및 이로 인해 조절되는 SOD에 의한 ROS 소거능 및 NOX2에 의한 ROS 생성 저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랙초크베리의 염증 보호 효과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증가하는 NF-κB의 핵 내 이동에 따른 COX-2, iNOS와 같은 염증 매개인자 관련 효소와 TNF-α, IL-6, IL-1β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저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블랙 초크베리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보호 효과는 항산화 효소 관련 전사 인자인 NRF2 조절 기전 및 염증 관련 전사 인자인 NF-κB와 관련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통하여 나타났다. 추후 블랙 초크베리 내 기능성 물질에 대한 심도 있는 기전 연구를 통해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has been suggested to exer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due to its high polyphenol content.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black chokeberry on the alterations of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 (NRF2) and nuclear factor κB (NF-κB) in macrophages have not been thoroughly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polyphenol-rich black chokeberry extract (CBE) against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CBE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of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an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The mRNA abundances of Nrf2 and its downstream antioxidant gen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The LPS-induce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reducing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by CBE. These data suggest that black chokeberry may be used for the prevention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associated disease.

      • KCI등재

        장기화된 COVID-19에서 경험한 스트레스가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전소라(Sora Jeon),김호영(Hoyoung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21 스트레스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청년, 중년, 장년, 노년에 해당하는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장기화된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한 직업변화, 수입감소, 가족갈등, 지인갈등이 외상성 고통, 우울,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외상성 고통, 우울, 외로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각각 통제했을 때, 사회적 지지는 직업변화나 수입감소가 외상성 고통, 우울,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지 못했지만, 대인갈등이 외상성 고통, 우울,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은 완화시켰다. 또한 중년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갈등의 영향을 완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 한계 및 제안이 논의되었다.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ress events (reduced income, change of jobs, family conflicts, and conflicts with acquaintances) experienced in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on psychological distress (peritraumatic distress, depression, and loneliness). It also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stress-buffering model.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800 adult men and women, including early adulthood (ages 19∼30), early middle-aged adulthood (ages 31∼45), late middle-aged adulthood (ages 46∼64), and late adulthood (ages 65 and older), via an online survey covering peritraumatic distress, lonelin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ults: First, reduced income, change of jobs, and interpersonal conflicts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itraumatic distress, depression, and loneliness. However,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m. Second, soc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change of jobs and reduced income on peritraumatic distress, depression, and loneliness. It had moderating effects only on the influences of interpersonal conflicts.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y the age group and found that it mitigated the impacts of interpersonal conflicts in all of the age groups except for the early middle-aged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ocial support can mitigate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interpersonal stress in a pandemic situation and imply a need f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ress-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ccording to age groups.

      • KCI등재후보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전소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Vibration stimulators are easier to obtain in clinical settings than other treatment tools,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arm activa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passively. Despite the following advantages, recent studies on vibration sense have not been activat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bration sensation on the hands of the affected upper limb on unilateral reduction of stroke patients. Method :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due to strok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or about 3 weeks from October 19, 2018 to November 7, The research design used ABA design among the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nd a total of 18 circuits (4 baseline, 6 intervention, 3 baseline regression) were performed once a day on weekdays Respectively. MMES-K was used to select the subjects. Line bisection test (LBT), Albert's test and Star Cancellation Test (SCT) were used as unilateral neglect test. For the analysis,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eriod measurements were visually analyzed using graphs and mean values were used. Result : All three evaluations showed that the number of errors miss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was lower than the baseline period, and this decrease remained after training. The error was reduced by an average of 2 ± 1.2 omissions and an average omissions of 0.6 ± 0.5 omitting an average of 4.5 ± 1 omissions in the line break test. As a result of the Albert test, the average error decreased by 22.5 ± 1.9 omissions and 8 ± 7.3 omissions and 0.3 ± 0.5 omissions, respectively. In the star clearance test, the average error decreased from 26 ± 4.6 to 21.8 ± 1.7 and 20 ± 0,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his study, vibrotactile stimulation therapy showed a continuous effect on improving unilateral neglect.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objectivity in future studies. Further research on various arbitration methods that maximize the effect of intervention will be needed. 목적진동자극기는 타 치료도구에 비하여 임상환경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팔 활성화훈련을 수동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음과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진동감각에 관련한 연구는활성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환측 상지의 손에 제공된 진동감각이 뇌졸중 환자의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증상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19일부터 동년 11월 7일가지 약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평일 하루에 한 번 총 18회로 (기초선 과정 4회, 중재 과정 6 회, 기초선 회귀 과정 3회)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MMES-K를 사용하였으며 편측무시 검사도구로는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 알버트 검사(Albert’s test), 별 지우기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기초선과 중재기의 회기 별 측정값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세 가지 평가결과 모두 기초선 기간보다 훈련 기간에 놓친 오류의 개수가 감소하였고, 훈련 후에도이 감소는 유지되었다. 선 나누기 검사에서 평균 4.5±1개 누락에서 평균 2±1.2개 누락 그리고 평균0.6±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알버트 검사 결과, 평균 22.5±1.9개 누락에서 평균 8±7.3개누락 그리고 평균 0.3±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별 지우기 검사에서는 평균 26±4.6개 누락에서 평균 21.8±1.7개 누락 그리고 평균 20±0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편측무시 증상 개선에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중재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 적용방안

        전소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 원도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그 수단으로써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 전략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마케팅에서 독립된 전략단계로 장소성을 구분하여 광주광역시 원도심의 여건과 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역의 가치창출을 위해 축제의 역량강화를 목표로 장소의 공감 확대를 통한 외부 관광객 유인, 장소성 강화로 차별적 입지확립, 표준화된 장소의 필요성 강조, 축제 파급력 제고를 위한 박람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