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로 본 웹소설의 10년: 2013~2022년 네이버 포탈 사이트에 게시된 기사를 중심으로

        전성규,곽지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5

        This article analyzed vocabularies placed in collocation relationships with the keyword ‘web novel’, targeting 53,829 titles of articles dealing with the web novel on the Naver portal site from 2013 to 2022 and identified the changes in the topography of the web novel market. In 2013, when Naver launched a new web novel platform called 'Naver Web SoSeol(Novel)', the term ‘Web SoSeol’ was first used, and a new ecology in which web novels were distributed was created. A group of genre novels, which have been crudely referred to as internet novels, have been renamed as ‘Web SoSeol’, and have undergone major changes in the way of creation, enjoyment, and consumption. The 10-year history of ‘Web SoSeol’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web novel platform was incorporated as part of a large corporate complex platform. The complex platform is based on the paid service and has creators and creations under the nam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secu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s. Second, in the case of web novels, the secondary work is more important than the original work. Since web novels have a limited readership compared to webtoons or other web contents, web novels by themseleves have a little market value. The market value of web novels lies in providing stable narrative models and narrative elements that can predict the success of secondary works such as dramas and movies. Third, in that sense, the web novel platform serves as a database of popular culture. Internet novels were once dismissed as subcultures or virtue cultures, but the successful cases of secondary works based on webtoons and web novels prove that they are no longer a special and incommunicable culture. We live in the world where database-based simulacre is all about culture and “small stories” created by newly arranging and duplicating data were consumed. So in this situation the need for a database in which culture is accumulated is raised. 이 글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네이버 포탈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총 기사 중 ‘웹소설’이란 키워드를 다룬 기사 53,829개의 제목을 대상으로 웹소설과 연어관계 및 공기관계에 놓인 어휘를 분석하여 10년간의 웹소설 시장의 지형변화를 파악하였다. 2013년 네이버가 ‘네이버 웹소설’이라는 웹소설 플랫폼을 새롭게 론칭하면서 웹소설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웹소설이 유통되는 새로운 생태가 만들어졌다. 그간 인터넷 소설이란 용어로 범박하게 총칭되던 장르소설의 일군은 웹소설이란 용어로 새롭게 명명되었으며 창작과 향유, 소비의 방식에 있어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웹소설 10년 간의 역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거대 기업형 복합 플랫폼의 일부로 웹소설 플랫폼이 편입되었다. 복합 플랫폼은 서비스의 유료화에 기반해 있으며 양적 질적 콘텐츠 확보를 위해 창작자와 창작물을 지적재산권이라는 이름 아래 귀속시킨다. 둘째 웹소설의 경우는 2차저작이 원작보다 더 중요하다. 웹소설의 시장적 가치는 드라마나 영화 등 2차저작물의 흥행을 예측할 수 있는 안정적인 서사모델과 서사요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셋째 그런 의미에서 웹소설 플랫폼은 대중문화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 소설 등이 한때 서브컬쳐나 덕후문화 등으로 치부되기도 했지만 웹툰이나 웹소설 기반의 2차 저작의 흥행사례는 이제 더이상 이들이 특수하고 소통불가능한 문화가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창출되는 시뮬라크르가 문화의 전면을 차지하고 기존의 데이터를 새롭게 배치하여 만들어지는 “작은 이야기”와 복제된 이야기를 소비하는 인간이 그 세계를 살아감에 따라 문화가 집적된 데이터베이스의 사회적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반덤핑조치 종료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한민국의 반덤핑조치 사례를 중심으로-

        전성규,정명진,이창운,장필호,김용환 국제지역학회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반덤핑조치의 종료가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산업에 부정적 효과를 발생시킬지를 검토함으로써 장기간 반덤핑조치 연장에 대한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의 반덤핑조치 사례 중 2차 재심 이상연장 부과 후 종료된 3건을 대상으로 수입물량과 수입가격 측면에서 반덤핑조치 종료 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반덤핑조치 종료는 조치대상국의 무역축소 효과, 조치대상이 아닌 국가로의 무역전환 효과, 관세율만큼 가격을 인하한 가격 전가 효과 등을 조치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할 것이라는 가설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장기간 고율의 반덤핑조치는 조치대상국으로부터 수입물량을 축소하는 대신 국내산이나 기타국산 물품으로 대체하였으며, 조치 종료 후에도 이와 같은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 또한, 조치 종료 후에도 수입가격이 종료된 관세율만큼 상승하지 않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양태를 보임으로써 반덤핑조치 종료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국 장기간반덤핑조치의 연장이 수입물량 측면이나 수입가격 측면에서 그다지 효과가 크지 않았음을 설명한다. 따라서 반덤핑조치 종료 시 수입물량과 수입가격의 회복을 고려하여 장기간 반덤핑조치의 연장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더욱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olongation of long-term anti-dumping measures by analyzing whether the end of anti-dumping measures had an effect on trade and by examining whether this w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omestic industry. To this end,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end of anti-dumping measures in terms of import volume and import price in three cases of anti-dumping measures in Korea, which were terminated after the extension of the second sunset review. The end of anti-dumping measures was analyz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effect of trade depression of the target country, the effect of trade diversion to the non-measured country, and the effect of price transfer by lowering the price by the duty rate would be restored to the level before the measure. As a result, long-term high anti-dumping measures reduced imports from countries subject to measure and replaced them with domestic or other countries goods. This situation did not change after the end of the measure. Also, even after the end of the measure, import prices did not rise by the terminated duty rate. Rather, it f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longed anti-dumping measure was not very effective in terms of import volume or import price. Therefore, more careful judgment is required when deciding to extend the anti-dumping measures over the long term, considering the recovery of import volume and import prices at the end of the anti-dumping measures.

      • KCI등재

        근대 지식인 단체 네트워크(2)- 『동인학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 『학계보』, 『학지광』등 재일조선인유학생 단체 회보(1906~1919)를 중심으로

        전성규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2

        In this study, a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16 types of domestic and foreign magazines published from 1906 to the early 1910s. An analysis of the network of foreign student groups in Japan was performed. 'Gongsuhagbo', 'Donginhakbo', 'Nagdongchinmoghoehagbo(The Journal of Nakdong Friendship Society)', and 'Haggyebo(The Journal of Academia)' are magazines that have not been covered well in the analysis of groups of international students residing in Japan. In this study, a member database was built for 16 types of groups, and data of 1,558 members of 5 groups were newly added to the total number of 12,942 members of 11 groups,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4,500 member data. Network visualization software, gephi, was used for network analysis. In the total network of 16 groups, 9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in Japan are classified as somewhat heterogeneous from domestic groups. Furthermore the nine groups are again divided into two groups. Taegeughaghoe, Daehanhaghoe, Daehan-yuhagsaenghoe, Daehanheunghaghoe, Gongsuhaghoe, Dong-inhaghoe, Nagdongchinmoghoe, Joseon-yuhagsaeng chinmoghoe was one group. Joseon-yuhagsaenghag-uhoe was another group. In addition, this article analyzed the network of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in Japan in a time-series manner.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lex system of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 was becoming orderly, star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Daehanheunghaghoe, Joseon-yuhagsaeng chinmoghoe, and Joseon-yuhagsaenghag-uhoe. The Joseon Christi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in Japan was highlighted as the power that created the continuity of the network in the process of ordering. 본 연구는 1906년부터 1910년대 초반까지 발간된 국내외 잡지 16종을 대상으로 인명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고 그중 재일유학생단체 잡지로 분류할 수 있는 9종을 대상으로 하위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재일유학생단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수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학계보』는 그간 재일본유학생단체 분석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잡지이지만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2』를 통해 영인·출판되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6종 단체 기관지를 대상으로 회원록, 졸업생명단, 의연금 및 찬조자 명단을 추출하여 회원 및 단체 관련자 인명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11종 단체 회원 총수 12,942명에, 5종 단체 회원 및 관련자 1,558명의 데이터가 새롭게 추가되어 14,500개의 인명 및 단체명 데이터를 가지고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에는 네트워크 시각화 소프트웨어인 gephi가 사용되었다. 16종 단체 전체 네트워크에서 재일유학생단체 9개는 소집단 분석에서 국내 단체들과 다소 이질적인 집단으로 분류된다. 9개 집단은 그 안에서도 다시 성격이 크게 이분화되는데, 태극학회, 대한학회, 대한유학생회, 대한흥학회, 공수학회, 동인학회, 낙동친목회, 조선유학생친목회가 하나의 집단으로, 조선유학생학우회가 다른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된다. 1911년에 설립된 조선유학생친목회는 조선유학생학우회의 모체로 평가되지만 인물의 친소 관계에 따라 학우회보다는 1910년 이전에 설립된 유학생 단체와 더욱 친연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일본 유학생 단체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한흥학회, 조선유학생친목회, 조선유학생학우회 설립 시기를 기점으로 유학생 단체의 복잡계가 질서화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공수학회가 대한흥학회와 조선유학생친목회를 잇는 역할을 하였음을 밝혀 조선유학생친목회 설립에 있어 황실특파유학생들의 활약상을 가늠하였으며, 공수학회, 동인학회가 태극학회와 대한학회에 두루 연관을 가진 것과 다르게 낙동친목회는 대한학회와 비교적 편중된 관계성을 갖고 있었음을 드러냈다. 1906년에서부터 1912년까지 설립된 재일본 조선인 유학생단체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따라가다보면 대한흥학회-조선유학생친목회-조선유학생학우회로의 일정한 흐름이 생기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큰 흐름의 줄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 연속성을 만들어내었던 힘으로 재일본조선기독청년회를 조명하였다. 재일본조선기독청년회는 1906년 태극학회가 설립되고 얼마있지 않아 생겨났으며 유학생 단체들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유학생사회 단체가 조직과 해산을 반복하는 상황에서도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만들어내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근대 계몽기 지식인 단체 네트워크 분석 -학회보 및 협회보(1906~1910)를 중심으로

        전성규,허예슬,이여진,최장락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twork of intellectual groups in the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1906~1910). First, the total number of members of each of the 11 groups, which had been estimated so far, was accurately identified based on the member list of each academic journal. Based on this database, network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the network visualization program Gephi.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topographical maps of all 11 groups. Among the 11 groups, the Daehan-Hyeobhoe is the most central node and the hinge that mediates heterogeneous groups. This position itself represents the moderateness and expandabil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to become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the Daehan-Hyeobhoe as a hub that mediates several hubs between multi-centric hub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of 11 groups was conducted through modularity measurement. As a result, the computer classified group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Japan into one small group. Because the overlap of members of these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ocieties, it was judged that they had a single sequence. However, whe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detail, it was confirmed that many of the overlapping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in Japan belonged to the members of the domestic branch. In the past, Daehan-heung-hakhoe was mainly meant as an integrated organization of foreign students in Japan, including Daehan-hakhoe and the Taegeuk-hakhoe. However, it is judged that branch member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atio of duplicate members, and relatively few members of the main body in Japan have flowed into the Daehan-heung-hakhoe. Through network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new people migrat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aehan-heung-hakhoe. As a result of examining information on some of the people who joined only the Daehan-heung-hakhoe, some of them included groups that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of the 1920s. There is very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activities of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Society movement. If the information on people who were active in various aspects of literary fields and cultural and social movements is adde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on modern Enlightenment journal materials will also be overcome. Finally, information on some of the people who were listed in various group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hrough the Out-Degree figure was investigated. Among those who were active in 3-5 groups, many were from Ham-gyeong-do (province) and Pyeong-an-do(province). As a result of regional statistics of people with high out-degree, Yeongheung and Yeongyu regions in Pyeong-an-do were the most prominent. In particular, this area has been a place where enthusiasm for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has been high, and economic movement was promoted due to abundant resources such as mines. These groups started their movement based on the region and some classes at first, but they are gradually expanding the base of participation classes and mobility. They put their efforts into the expansion of branches, and through the production of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y formed the basis of public opinion. At that time, the group movement was considered a movement for the country and the people. With various directions and purposes, various groups intended to reach al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근대 계몽기(1906~1910)에 발간된 학회보 및 협회보를 대상으로 지식인 단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우선 각 학보의 회원명부란을 중심으로 그간 추정에 머물러 왔던 11개 각 단체의 전체 회원수를 정확도 높게 파악하였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시각화 프로그램 Gephi를 사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우선 11개 전체 학회 지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1개 학회 중 대한협회는 가장 중심성이 높은 노드이자 이질적인 그룹을 매개하는 연결점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는 대한협회가 인민의 대표기관이 되고자 표방한 중도성, 확장성을 그 자체로 대변하고 있다. 다 중심적 허브들 사이에 여러 허브를 매개하는 허브로서 대한협회라는 위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듈성(modularity) 측정을 통해 11개 단체의 소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는 대한학회, 태극학회, 대한흥학회 등 재일유학생 단체를 하나의 소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단체의 회원의 겹침이 다른 학회들보다 많았기 때문에 하나의 계열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분석을 구체적으로 진행하였을 때 재일유학생 단체끼리 겹치는 회원 중 상당수가 국내 지회 회원 소속으로 확인되었다. 그간 대한흥학회는 대한학회와 태극학회를 비롯한 재일유학생의 통합 단체로 주로 의미화되었다. 하지만 지회 회원이 중복회원의 비율 중 상당수를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일본에 있는 본회 회원들 중에는 대한흥학회로의 유입이 적었다고 판단된다. 재일유학생단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그동안 일본 유학생의 흡수와 통합으로 설명된 커뮤니티의 성격이 재의미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대 계몽기 학회 운동에 활발히 참여한 사람들의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정보가 매우 소략한 실정이다. 실업이나 교육 외에도 문학운동, 문화와 사회 운동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동한 인물들에 정보가 추가될 경우 근대 계몽기 학보 자료의 연구의 제한성 또한 재고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Out-Degree 수치를 통해 여러 단체에 이름을 올리며 학회 운동에 높은 관심을 가진 인물들 중 일부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였다. 3~5개 단체에서 활동한 사람들 중에는 함경도와 평안도 지역 출신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Out-Degree가 높은 인물들의 출신지역 통계를 내본 결과 평안도 영흥, 영유 지역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 지역은 특히 예전부터 문명개화와 근대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았던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광산 등 자원이 풍부해 실업이 진흥되던 곳이었다. 그러한 이유로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서우학회, 서북학회 등 여러 학회들이 지회 설립에 공을 들였던 곳이기도 하다. 실업가들이 다양한 학회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근대계몽기 학회 및 협회는 처음에는 지역을 기반으로, 일부의 계층을 중심으로, 그 움직임을 시작하였지만 점차 참여계층과 활동의 기반을 넓혀나가는 운동성을 띠고 있다. 많은 단체들이 지회와 지교의 확장에 힘을 쏟았고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매체의 생산을 통해 담론적 실천으로서 여론의 기반을 만들어 나갔다. 이 당시 단체운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운동으로 사념되었다. 다양한 방향성과 목적성을 가지고 여러 단체들은 자신이 개척하는 언로가 한반도 곳곳에 닿기를 기도하였다. 단체와 회원을 중심으로 ...

      • KCI등재

        근대계몽기 잡지 자연어 전처리 작업에서 문체 분류와 형태분석 방안에 대한 모색

        전성규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5

        This paper classifies the style and discuss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blems presented by eleve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hich have been digitized to the Korean history database. This is a basic step in studying these journals, which deploy various types of stylistic formats, including Chinese, Korean, and Korea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se stylistic complexities are significant obstacles which prevent accurate data extraction by means of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based upon word processing. Journal articles were initially classified into ten types, and those articles which predominantly used Chinese words with Korean grammatical patterns were selected for further research. This style was typically used by articles which translated or transcribed academic content, and also for articles which described new or revised legal codes. Thus, if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is applied to articles selected by this stylistic criterion, research results tend to be more tightly focused upon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 and knowledge, and upon new concepts related to the legal, political, and economic fields. The method of discourse analysis used by this study, in which stylistic criteria are used to segment the texts found in journals of modern Enlightenment for further analysis, is a useful and appropriate tool, since the various types of modern Enlightenment material are readily and recognizably separable on the basis of their writing style: each type tends toward a characteristic format. This segmentation also allows a clearer and more focused discussion of how to process the target data for each style, resulting in an increased accuracy for the data extracted, and a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of the way in which the worldview of the authors is revealed by their stylistic choices.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Chinese words, especially the processing of vocabulary in complex relations and derivative relations. The general criteria used in Korean linguistic analysis are inadequate for this kind of morphological analysis, which needs to be adapted to the specific research aims of a particular study. 본고는 근대계몽기 발간되어 한국사데이터베이스상에 전자화된 잡지 11종을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연구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문체 분류를 시도하고 자연어 처리문제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근대계몽기 잡지에서는 한문체, 국한문체, 국문체 등 여러 층위의 문체들이 복잡하게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단어 처리가 기본이 되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안에서는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어 우선적으로 잡지에 실린 기사에 대한 문체 분류를 시도하고, 다양한 문체의 특성을 보여 주는 근대계몽기 잡지에 대한 하나의 연구 방법으로 문체별 담론 분석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문체가 하나의 글쓰기 형식으로 강하게 인식되었던 근대계몽기 자료를 문체별로 파악할 경우, 그 형식이 담은 내용에 보다 특징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문체별로 그 대상 자료를 가공하는 방법에 보다 논의가 집중될 수 있다. 이는 근대계몽기 잡지를분절하여 보는 방법이지만, 데이터의 정확도를 보다 높이는 방법이기도 하고 문체의세계관을 드러내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근대계몽기 잡지상의 문체를 10종으로 분류해 보았고, 그중 보다 가공이용이한 문체라고 판단되는 한문단어체가 주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에 한정해 형태분석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한문단어체가 주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의 형태분석은 복합관계ㆍ파생관계에 있는 어휘들의 분석이 중요하다고 보았고, 이 경우 국어학적 분석 기준보다는 연구자의 연구 목적에 따른 형태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문단어체는 근대계몽기 잡지 안에서 주로 학술적 내용을 번역 혹은 역술하여 싣거나, 관보나 민간 신문의 소식과 새로 재정되거나 개정된 법에 대한 소식을 요약하여전달하는 기사의 문체로 종종 선택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문단어체로 쓰인 기사를선별해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근대 교육과 지식이 정립되거나 법ㆍ정치ㆍ경제 영역과 관련된 신개념 등이 유입되는 상황에 보다 주목한 연구 결과가 나올수 있다.

      • KCI등재

        대상관계수준과 파트너의 행동이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의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성규,이영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8 No.1

        본 연구는 대상관계 수준, 파트너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의 빈도가 이성교제 시 발생할 수 있는 집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남녀로 나누어 살펴보고, 대상관계 수준과 집착행동 사이에서 파트너의 긍정적․부정적 행동의 빈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 중이며 현재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대상관계 수준 척도, 파트너 행동 척도, 집착행동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집단에서는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집착행동을 많이 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서 파트너 행동 빈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자 집단에서는 남자집단과 마찬가지로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집착행동을 많이 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서 파트너의 부정적 행동 빈도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남녀 집단 모두에서 집착행동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가 낮았으며, 끝으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소설의 언어를 데이터로 읽는다는 것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전성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aning of reading literary texts as data based on the case of a lecture at a semester that explored the research method of digital humanities using Lee In-jik’s “new novel (sinsoseol)” as a target of analysis. Because linguistic processing of literary texts have a narrative characteristic,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ame method being applied to non-literary texts to a literary text analysis. Linguistic processing of literature, especially the text of novel, needs to be made not in terms of words or concepts, but at least at the level of verses and between sentences and paragraphs.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analyze the novel text by segmenting it into semantic units, just as Roland Barthes segmented ‘Sarrasine’ into 561 reading comprehension units in S/Z. Analysis based on semantic units can be divided into metalinguistic data representation and semantic performance data representation. The former conceptualizes semantic units or categorizes them under a specific classification system, contributing to the simplicity and abstract expression of data.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chain process of meaning, so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plot of the novel and consider the semantic unit as an actual analysis object. That is a semantic performance-based data representation method. The semantic unit of the text is determined by the reader of the text. The extracted semantic unit is further cut into detailed elements that make up the meaning. It is a matter of reframing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that form meaning. Because the network of semantic units is expressed as a data set, and the flow of this data set follows the plot of the novel, it shows the different narrative aspects of the novel. Therefore, extracting the semantic unit is also a task that unfolds the researcher’s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that sense, a semantic performance data representation is a “scriptable” text that Barthes spoke. Segmenting the text and restructuring the relational network by scattering the segmented units are a non-linear reading of the text. Here, the text loses both totality and externality. The image of these texts resembles that of the network. The network has no specific entrance or exit, and the divided units have a fragmented order. However, formality, blockade, clustering, and closure are als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networks. In addition, narrative-based networks have temporality. A network with strong nonlinearity is passive in containing temporality. but I suggest that a little more discussion on the model of the network that reflects the narrative is needed for literary research. 이 글은 이인직 신소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방법을 탐색해 본 한 학기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문학 텍스트를 데이터로읽는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문학 텍스트의 언어처리는 내러티브라는 자질 때문에 비문학 텍스트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 중심의 언어처리 방법이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문학 특히 소설 텍스트의 언어처리는 단어나 개념 단위가 아니라 적어도 절 이상의 수준, 문장과 문단 사이의 단위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롤랑바르트가 『S/Z』에서 『사라진』을 561개의 독해단위(lexis)로 분절한 것처럼, 소설 텍스트를 의미단위로 분절하여 분석하는 것을 제안해 본다. 의미단위를 기준으로 한 분석은 메타언어적 데이터 표현과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으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다. 메타언어적 데이터 표현은 의미단위를 개념화하거나 특정한 분류체계 아래서 범주화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단순성, 추상적 표현에 기여한다. 하지만 의미의 연쇄과정을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며 의미단위를 실제적인 분석 대상으로 간주할 방법이 필요하다. 그것이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방법이다. 텍스트의 의미단위는 텍스트를 독해하는 자가 결정한다. 추출된 의미단위는 그 의미를 구성하는 세부요소로 다시 절단된다. 이는 의미를 형성하는 관계망을 다시 짜보는 일이다. 의미단위의 관계망은 데이터 세트로 표현되는데 이 데이터 세트의 흐름은 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는 것이지만 주제화되어 있기 때문에 소설이 내포한 다른 서사의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한 의미에서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은 바르트가 말한 것과 같이 텍스트를 독자 자신의 텍스트로 재생산하는 “쓰여지는(scriptible)” 텍스트가 된다. 텍스트를 분절하고 분절된 단위를 흩트려 관계망을 다시 짜보는 일은 텍스트를 비선형적으로 독해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텍스트는 총체성도 외부성도 상실한다. 이러한 텍스트의 이미지는 네트워크의 그것과 닮아있다. 네트워크는 들어가는 특정한 입구도 출구도 없으며 쪼개어진 단위들은 파편적 질서를 갖는다. 하지만 형식성, 봉쇄성, 군집성, 폐쇄성 또한 네트워크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서사에 기반한 네트워크는 시간성을 띨 필요가 있다. 비선형성이 강한 네트워크는 시간성을 담는 것에는 소극적이지만 문학연구를 위해 서사성을 반영한 네트워크의 모델에 대한 논의가 요청된다.

      • KCI등재

        웹소설 제목의 어휘 기호적 특징: 문장형 제목의 증가와 장르 교섭의 실상 - 2011~2022년 웹소설 제목 코퍼스를 기반으로

        전성규,곽지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corpus for 48,530 web novel titles that can be found in ‘Naver Series’ from 2011 to 2022, and check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titles and vocabulary frequency of titles in each genr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genres and genre hybrid pattern. In 2022 alone, Naver web novels provided about 10,000 works, and even in 2023, hundreds of new web novels are newly created and uploaded in just one month. The exponential expansion of web fiction production is a testament to how hot this market is and how competitive it is. In this situation, the ‘titl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oviding primary information about the work in the selection of readers, or consumers. Because web novels are purchased with a payment method that pays for each episode, the information provided when web novel readers select content is relatively scarce. At this time, the ‘title’, as the uppermost skin covering the web novel product, should not only play a role in attracting the reader's attention, but also perform an implicit function of providing abunda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narrative structure. Each sub-genre of a web novel has its own cliché, and the creation of a web novel is done by combining standardized storytelling styles. Accordingly, the title of a web novel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way to engrave signs that reveal the elements and styles of the story of the work. In the title of a web novel, not only vocabulary, but also morphemes, final endings, and punctuation marks such as ellipses all play a role as ‘symbols’ of narrative. The title of a web novel is not a pure creation of the author, but a rearrangement of symbols commonly used in the world of web novels, and functions as a signifier that reveals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web novel titles is that sentence-type titles are steadily getting longer. The increase in sentence-type titles is confirmed throughout, starting with modern fantasy and romance fantasy. However, in genres that have been enjoyed for a long time, such as romance, the change to sentence-type titles appears very slowly. The increase in sentence-type titles is noticeable in relatively new genres, and it can be assumed that new genres with relatively low market stability needs to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and appeal to readers by making the titles as long as possible. When it is said that the tendency to embody genre characteristics becomes more intense as the title gets long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vocabulary in the title needs to be performed to further support this. Since web novel titles are a set of symbols, genr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between genres can be identified by examining prominent vocabularies. Through the aspect of marriage, divorce, contract, etc. appearing in the title being used in romance and romance fantas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ituation in which the master plot of the romance novel causes variation. And also by confirming where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ve is through the vocabulary of the title, it can be impl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ho make up romance is different. Vocabulary such as return, possession is used as a narrative in itself and serves as a central axis of narrative in both the modern fantasy genre and romance fantas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gender of the main characters, the difference in each abil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onverges them create a difference in genre. The clear difference in the nature of the Second World also serves as an index to distinguish the genre. In this paper, we try to reveal the connotative meaning of the vocabulary of the title by categorizing and clarifying the vocabulary of the tit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and analyzing it based on the specific work. In that sense, the genre hybridiz...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네이버 웹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웹소설 전체 제목 48,530편에 대한 코퍼스를 구축하고 웹소설 제목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르별 제목의 어휘 빈출을 확인하여 웹소설 장르의 특성과 장르간 상호 교섭 양상을 확인하였다. 2022년 한 해에만 네이버 웹소설은 1만 개가량의 작품을 제공하였고, 2023년에 들어서도 한 달에 수백 편이 넘는 웹소설이 새롭게 창작되어 올라오고 있다. 웹소설 생산의 기하급수적인 팽창은 이 시장이 얼마나 과열되어 있는지,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를 가늠하게 한다. 상황이 이러할 때 독자 곧 소비자의 선택 행위에 있어 ‘제목’은 작품에 대한 1차적 정보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웹소설은 회차당 비용을 지불하는 결제 방식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웹소설 독자가 콘텐츠를 고를 때 제공되는 정보들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제목’은 웹소설이라는 상품을 감싸는 가장 위층의 표피로서 독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내용과 서사구조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함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웹소설은 하위장르마다 고유의 클리셰가 존재하며 웹소설 창작은 정형화된 이야기의 양식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웹소설의 제목은 점차 작품이 갖고 있는 이야기의 화소와 양식을 드러내는 표지들을 새겨 넣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웹소설의 제목은 어휘뿐만 아니라 형태소, 종결어미를 비롯 말줄임표와 같은 문장부호까지 모두가 ‘기호’로서 역할한다. 웹소설 제목은 작가의 순수한 창작물이 아니라 웹소설 세계에서 통용되는 기호들의 재배치이며 서사의 내용을 드러내는 기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창작자는 제목이 갖는 문법을 체현함으로써 독자가 알아차리게끔 작품의 장르적 특성과 이야기의 소재를 드러낼 수 있다. 독자는 창작자가 제시한 기호들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서사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웹소설 제목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문장형 제목이 꾸준히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문장형 제목의 증가는 현대 판타지에서부터 시작해 로맨스판타지 등에서 두루 확인된다. 다만 로맨스와 같이 오래전부터 향유되어온 장르에서는 문장형 제목으로의 변화가 매우 더디게 나타난다. 문장형 제목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신생 장르에서 두드러지는데 상대적으로 시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신생 장르들이 제목을 최대한 길게 함으로써 정보 제공량을 늘리고 독자의 관심 분야를 어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제목이 길어짐으로써 장르적 특성을 체현하는 경향이 더욱 짙어진다고 할 때 이를 보다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제목에 나타난 어휘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웹소설 제목이 기호들의 집합이므로 기호성이 두드러지는 어휘를 장르별로 살핌으로써 장르적 특징, 장르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제목에 등장하는 결혼, 이혼, 계약 등이 로맨스와 로맨스판타지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통해 로맨스물의 마스터 플롯이 변주를 일으키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목의 어휘를 통해 서사물의 배경이 어디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로맨스를 이루는 남녀의 관계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받을 수 있다. 회귀, 빙의, 귀환 등의 어휘는 그 자체로 서사물로 통용되고 있으며 현대판타지 장르와 로맨스판타지 모두...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전성규,김병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e relationship between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was investigated using a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In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a wide variety of academic and association publications between 1905 and 1910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showed the greatest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sole exception of correlations among Japanese and Korean student magazines. Similarity heatmaps of articles in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highlight changes in their tone, and the inflection point explains their interrelationship. Based on a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articles of the two public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rticles resulted from writers who contributed to both. In addition,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whole magazines publish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cluding from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based on TF-IDF weighting. This allows a comparison of the two magazines with academic publications from modern fields of study, which reveals that concept words which had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earlier conceptual history research, such as ‘nation,’ ‘people’ and ‘civilization’ were very important in academic publication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lso, for the terms ‘education,’ ‘youth,’ and ‘Confucius,’ there i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the discourse of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본고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상관성을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계몽기 1905~1910년 사이 발간된 학회보 및 협회보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재일본 유학생 잡지 사이의 유사도를 제외하고 국내와 유학생 잡지 중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유사도가가장 높게 나왔다. 『서북학회월보』 내에서의 기사 유사도 히트맵을 그려 봄으로써 『서북학회월보』 내에서 기사의 논조 변화와 시기, 그것과 『태극학보』와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고, 두 학회지 간의 기사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분석을 통해 필진의 구체화와 기사 간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학회지와 전체 근대계몽기 학술장의 비교를 위해 근대계몽기 10여 종의학회지를 대상으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과 두 학회지의 TF-IDF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을 뽑아 제시하였다. ‘국가’·‘국민’·‘문명’ 등 기존의 개념사 연구가 주목해 온 주도 개념어들이 실제 근대계몽기 학술장에서 중요성이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교육’·‘청년’·‘공자’ 등의 개념들과 관련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가 담론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905~1910년 ‘봉건/봉건제(封建/feudalism)’개념을 둘러싼 정치체제, 사회구성 논의의 변동에 대하여: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를 중심으로

        전성규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7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cept Bong Geon(封建) and Feudalsim related with regime,social system with the reviews published by Daehanhyeophoe and Seobukhakhoe, associationsand societies which were organized between 1905~1910 in the early modern Korea. This study succeeds research results about decolonization of the knowledge and overcomingEurocentrism through reinterpretation on East Asian Fengjian Society(封建社會) and JunxianSociety(郡縣社會) written by Miyajima Hiroshi, Prasenjit Duara, Park Hun and so on. ButThese arguments mainly focused on situation of modern Japan and China. So, in early modernKorea, how the discourse about Fengjian Society(封建社會) and Junxian Society(郡縣社會) hadbeen discussed is needed to be studied. To do this, the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wo reviews,Daehanhyeophoe-hoebo and Seobukhakhoe-wolbo, among many reviews published by differentmodern associations and societies in early Modern Korea is noticeable differences aboutinterpretation on Bong Geon(封建) and Feudalism between two reviews. Daehanhyeophoe interpretedBong Geon(封建) as the pre modern governance by Yangban(兩班), the ruling class ofYi Dynasty Korea and tried neither to destruct the governance nor transform the pre-modernruling system to modern governance through Constitutional Monarchy and Representativesystem. But Seobukhakhoe reinterpreted Feudalism in European History which resulted in NationState as the reason to claim Powerful Sovereignty(主權) and Absolute Monarchy. Seobukhakhoespoke up against the maintain of caste system through constitutional monarchy and representativesystem by Daehanhyeophoe and claimed completely destruction of caste system. Seobukhakhoe believed the Yangban(兩班), the ruling class was the essential element which delayedmodernization and interrupted transition to the centralized state. The clear differencebetween two associations on interpretation on Bong Geon(封建)/Feudalism was connected tothe different discourse on government, governance and social composition. 이 글은 근대 계몽기 발간된 회보(會報) 중『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의 글들을 중심으로 1905년에서 1910년 사이 학술지 안에서 논의된 봉건/봉건제 개념을 정치체제와 사회구성 논의에 초점을 맞춰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동아시아 봉건제/군현제론의 재조명(미야지마 히로시, 박훈, 박광용, 조성산 등)을 통해 모색되고 있는 지식의 탈식민화 및 유럽중심주의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을 계승하면서, 주로 중국과 일본의 근대 전환기, 혹은 조선의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집중되었던 봉건제/군현제론에서 결락된 근대 계몽기(1905~1910) 조선의 봉건제 논의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봉건론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 시기에 발간된 여러 회보들 중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 두 텍스트를 선택하는 이유는 중앙집권에 대한 문제, 사회의 애국성, 단합력의 신장의 문제를 놓고도 두 단체가 봉건제를 참조하여 독해하는 방식의 차이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대한협회는 봉건의 내용을 양반 사대부가 중심이 된 지배구조로 보면서 이를 입헌군주제나 의회를 기반한 정당제로 흡수시키고자 한 대표적 단체였다. 반면, 서북학회는 16세기 서구 유럽의 봉건 제후국의 통일 과정에서 근대 국가 체제로서 스테이트(state)의 출현에 주목하면서 강력한 주권 국가의 전단계로서 봉건제를 이해하고 전제군주제를 주장하는 하나의 근거로 ‘feudalism’으로서 봉건제를 독해하였다. 근대 계몽기 학회보 안에서 중앙집권적 국민국가로 가는 데에는 일정정도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입헌군주제와 전제군주제의 주장의 차이는 단순히 정치체제의 차이가 아니라 신분제의 해체 문제와 사회 구성에 관한 제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근대의 방향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생각하는데 있어 봉건/봉건제와 관련된 복잡한 논의들은 그 차이를 드러내는 핵심 키워드로 작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