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병운(全炳雲),권회연(權會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읽기장애아의 중재방법과 관련한 실험연구들을 분석하여 대상자 특성 및 측정도구와 훈련과제를 포함한 연구방법, 적용된 중재방법의 효과성과 적용범위를 고찰하여 향후 읽기장애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에서 학진 등재지와 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총 47편이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9편으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의 읽기 단계는 단어재인단계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17편(34%), 유창성단계 11편(22%), 의미파악을 위한 이해활동 단계가 14편(28%)이었으며, 대상자의 읽기 수준이 제시되지 않은 논문도 8편(16%)이었다. 대상자 선별기준은 교사의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지능검사는 전체 지능지수를 사용하였으며, 85이상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 중 실험환경이나 실험상황을 기술하지 않은 논문이 각각 19편, 14편이었으며, 개별교수 상황에서 중재를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은 21-25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한 논문이 32편이었다. 훈련과제는 21편의 논문에서 이야기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읽기발달단계나 읽기 기술을 평가하고, 읽기 기술의 진전도를 수시 점검할 도구의 사용이 아직 미약하고, 중재상황에 대한 충분한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방법의 동향에서는 읽기장애아동 교수에 있어서 접근방법, 교수방법, 종속변인 등에 따라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ate research"s results and method including children" charact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instrument, reading task, the effect and application of reading instruction according to analyzing experimental studies on reading instruction for korea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published at domestic research from 1997 to 2009. It make the recent tendency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far more improved. On this study the total 47 studies were analysis according to experimental subjects, research instrument, intervention,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for subjects at 3 grade on elementary school was the largest as 19 studies. And at the reading developmental stage, the number of studies for subjects on level of word-recognition were 17 studies, and on level of reading fluency were included 11,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included 14. But the level of reading developmental level were not descript on 8 studies. The procedure of selection subjects initiated with refer of teacher at 17 studies, identified as above IQ 85. The place, setting of research were not descript on 19, 14 studies. And the individualized teaching was the most type at the type of instruction, duration of research was the largest as 21-25 section. The number of studies utilizing the instruments that were used at preceding studies were 32, narrative at reading task were the most. So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 charact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short absolutely to be evidence-based practice, the instrument that examined degree of improvement would be needed. And the trend that of intervention focused on issues about reading instrument were presented. Finally, the 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were described according to approaches, teaching methods, dependent varies by reading sub-skills. Discussion on the trend of reading instruction and future researches were presented.
전병운 ( Byong-woo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상이한 셀 크기에 따라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의 정확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미국 조지아주 풀턴 카운티를 사례로 한 밀도구분적 인구 지도가 지능적인 밀도구분적 지도 제작기법, 인구자료, 원본 및 모의된 토지이용 및 피복 자료를 이용하여 30m에서 420m의 해상도까지 매 30m 간격으로 생성되었다. 밀도구분적 인구 지도의 정확성은 RMSE 및 수정 RMSE 통계치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프랙털 차원 값은 TPSA 방법을 사용하면서 30m에서 420m의 해상도까지 생성된 밀도구분적 인구 지도에 대해 각각 계산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속성의 정확성 측면에서 인구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210m 이하의 격자 셀 크기가 적절하였나, 사례 지역에서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의 허용가능한 공간적 정확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30m의 격자 셀 크기가 적절하였다. 또한, 프랙털 분석은 120m의 격자 셀 크기가 사례지역에서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을 위한 최적의 해상도 이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d the variability in the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with different grid cell sizes. Dasymetric population maps for Fulton County, Georgia in the US were generated from 30m to 420m at intervals of 30m using an automated intelligent dasymetric mapping technique, population data, and original and simulated land use and cover data. The accuracies of dasymetric population maps were evaluated using RMSE and adjusted RMSE statistics. Lumped fractal dimension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dasymetric population maps generated from resolutions of 30m to 420m using the triangular prism surface area (TPSA)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a grid cell size of 210m or smaller is required to estimate population more accurately in terms of thematic accuracy, but a grid cell size of 30m is required to meet an acceptable spatial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in the study area. The fractal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a grid cell size of 120m is the optimal resolution for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in the study area.
특수 학교 기본교육과정의 과학교과서 내용의 오류 분석 - 지구영역을 중심으로-
전병운,김해경,오숙현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3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of the contents for science textbook of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earth realm in th science textbook Ⅰ, Ⅱ, and Ⅲ was analyzed through the going-over and discussion session with experts on earth scienc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his research examined the suitability of erroneous and uncertai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corresponding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experts on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of a thorough analysis, this research found out some fallacies and unclear explanations mostly in Science Ⅲ including one fallacy in contents and 7 unclear expressions or explanations in illustrations[drawing and chart]. Such fallacies could be learned by students before they perceive and could be an obstacle to reaching the learning objective at a viewpoint of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for science education, so there needs to be the necessity of modification.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revisionary direction of the fallacies in contents. 본 연구에서는 특수 교육 대상 학생들을 위한 과학교과서 내용의 정확성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과학교과서 내용 구성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7차 개정 기본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1,2,3의 지구영역 관련 내용을 지구과학 전문가와의 검토 및 논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오류 및 불확실한 내용에 대하여 특수교육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해 해당 교육활동의 학습목표와의 맥락에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주로 과학 3에서 오류 및 불확실한 설명이 있었다. 내용의 오류가 1곳 그리고 삽화(그림 및 표)의 불확실한 표현 및 설명이 7 곳 이었다. 이런 오류들은 학생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학습되어 질 수 있고, 과학교육과정 운영 상 학습목표에 이르는 것을 방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내용 오류의 수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등특수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병운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subject instruction training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and to find ways for improvement. For the purpose, the problems of subject instruction at the teachers’ colleges were first examined in terms of its academic nature and the teachers training.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se problems on the curriculum operation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examined. Moreover, future directions of subject instruction training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the biggest problem with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got standard curriculum training was acquisition of area of specialization in the other departments. Also, the content of the commissioned education was far from the curriculum content that can be applied in their field. Furthermore, the teachers were placed in the field without considering their area of specializ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operating system for acquisition of area of specialization should be improved and an alternative qualification process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provided as soon as possible. Additionally, relevant laws and guidelines should be amended in order to improve eligibility criteria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중등특수교사 양성과 관련한 교과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과교육의 학문적 성격 탐색과 교사 양성의 관점에서 사범대학 교과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이 중등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중등특수 교과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중등특수교사 자격을 위한 표시과목을 타 학과에 위탁교육 하고 있는 현실이 가장 큰 문제이며, 위탁교육 내용이 실제 특수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과 내용과 거리가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는 중등의 표시 과목을 무시하고 교사를 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표시과목 운영 체제의 개선이 요망되고, 중등특수교사 자격 종별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중등특수교사 자격 기준 개선을 위한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대한 개정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riteria on teaching evalu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riteria on teaching evaluations which used for general education has been modified to fit specialty of special education. And then it has been reviewed the content has been discussed and agreed with conference group that consist of specialists. The procedure for securing validation was followed as: To make submission for the primary content validation, the opinions were obtained from 30 professors belong to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teachers by e-mail, and then the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s have been modified. Second, 6 special teachers have checked over for field application, and the items have been discussed and agreed with conference group for secondary consideration. Finally, Feasibility testing was conducted from 280 special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Data 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The whole domains were divided 3 areas, knowledge, plan, practice, and individual whole domain were divided the middle domains. The knowledge domain was consisted of subject matters ``understanding on methods of teaching, students, and the practice domain was consisted of cre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practice of teaching. So the total elements of evaluation were divided 20 elements, 4 knowledge domains, 3 plan domains, 13 practice domains. As the final result, 36 items for the criteria on teaching evaluations were selected.
전병운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1993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2 No.-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화를 화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할 때, 어떠한 방법과 기준을 가지고 분석하여야 하는가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고찰하여 보았다. 이러한 기준에 다라 분석해 보면 일반아동 뿐만 아니라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의사소통 특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 특성을 알 수 있게 하며,이에 비추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어떻게 중재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 줄것이다.
전병운(Jeon, Byung-Un),조유진(Cho, Yu-J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의 화행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Lucas(1980)가 개발한 화행수행 점검목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각 화행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구성규칙의 수행이 정신지체 학생의 정신지체 정도, 평균발화길이(MLU)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신지체학생은 8가지 화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절반정도가 구성규칙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방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게 하려면 하위 구성 규칙 준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정신지체 학생들은 소극적인 의사소통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진지하고 논리적으로 조리있게 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신지체 학생들은 정신지체정도와 평균발화길이의 정도에 따라 대부분의 화행 구성규칙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 e of the pr es ent s tudy was to inves tigate the degr ees of obs ervance of the per formance rules of speech acts on the bas is of the 8 speech - acts that Sear le showed and to inves tigate the differ ences in the per formance rules of speech acts and mean length of utter ance to find out the pr oblem ar eas of communication in childr en with mental r etar dation . For ty childr en with mental r etar dation wer e tes ted in light of the degr ees of the per formance of speech acts compos ed of 37 inventor ies , s ocial matur ity s cales , and MLU. They wer 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high - level gr oup and the low- level gr oup . The r es ults of the s tudy could be s ummar ized as follows : (1) Among the cons titutive rules of speech acts , ins is tence and information demand showed the highes t r ates of obs ervance and rule or der , the lowes trate , (2) Among the 8 speech acts s tudied the two gr oups showed differ ences in s even of the speech acts , ins is tence being an excepption , (3) A meaningful differ ence is found in MLU between the two gr oups . The obs ervance of the cons titutive rules incr eas ed in par allel with the incr eas e in MLU, (4) Accor ding to the total r es ults of corr elation among the obs ervances of cons titutive rules of speech acts , Social Quotient (SQ) and MLU ar e found to be meaningfully corr elated. But MLU has a high corr elation as .67(p <.0 1) and SQ has a r elatively low corr elation as .32(p <.05). The highes t corr elation by the degr ees of mental r etar dation is shown in a cons titutive rule of object demand, and the highes t corr elation by aver age sentence length is shown in a cons titutive rule of "rule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