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만 손상과 산후 우울의 관련성

        장현정 한국모자보건학회 2016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Vol.20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산후우울은 본인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어머니의 역할 적응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며, 가족과 아기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국외에서는 회음부 손상을 통해 산후 우울과 같은 기분장애를 가지게 된다고 보고하지만,국내에선 주로 사회심리적요인과 산후우울의 연관성을 주로 연구하고, 분만 시 발생하는 손상과 관련한 생물학적 요인의 산후 우울 관련성을 본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분만 시 발생하는 생물학적인 손상과 산후우울 수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산후 15일 이내 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후 우울의 수준은 분만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자연분만 산모의 우울수준은 7.73±3.98, 제왕절개 산모의 우울수준은 8.05±5.46으로 높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경한 산후 우울(EPDS>9.5)을 보이는 산모가 자연분만은 26.5%, 제왕절개는 46.3%으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 론 전체적인 우울 수준은 높지 않았으나,경한 산후 우울 수준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으므로 우울이 산후 관리의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연분만과 제왕절개의 피부 손상 부위와 손상 정도에 따라 우울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분만방법 결정과정에서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과 임부의 적극적인 참여로 불필요한 제왕절개 분만을 줄이도록 노력하고, 자연분만 시에도 회음절개술을 예방적인 처치보다 산모측 입장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소설 《완득이》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장현정,장성민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59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s of how high school learners experiencedinter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Classes and their alternatives. As a result of conducting constant qualitative coding for the response to the novel“Wandeugi” by referring to Bennett and Bennett’s developmental model ofintercultural sensitivity (DMIS),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diverselydistributed within the following levels: denial, defense, minimization, acceptance,and adaptation. It is noteworthy that, while their perception level is focused on “minimizationof difference,” high school learners themselves are presenting alternatives thatcan develop to an upper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resource for high school learners to grow as subjects of a multicultural society. 이 연구는 고등학생 학습자가 국어과 교실 안에서 상호문화 교육을 어떻게경험해 왔는가에 대한 인식 양상과 이들이 생각하는 기존 교육의 대안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Bennett & Bennett(2004)의 상호문화적 감수성발달 모형을 염두에 두어 소설 《완득이》에 대한 반응에 대해 반복적인 질적코딩을 실시한 결과, 참여자들의 인식은 1-5수준 내에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주목할 만한 결과 가운데 한 가지는, 현재 고등학생 학습자의 인식 수준이“문화적 차이에 대한 최소화”에 집중되어 있으면서도 이들 스스로가 보다 상위수준의 인식으로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고등학생 학습자가 다문화 사회의 주체로 성장하기 위한 토대를 보여준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식습관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현정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2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2018년 10월 10일∼13일까지 G시 간호대학 2, 3학년을 대상으로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식행동은 대상자의 용돈 중 식비(F=5.83, p=.003), 식생활 패턴(F=4.14, p<.001), 편식 정도(F=9.2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식행동은 생활 스트레스(r=-.16, p=.001) 및 식습관(r=.50,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식습관(β=.42, p<.001), 용돈 중 식비(β=-.14, p=.007), 편식상태(β=-.14, p=.007), 생활 스트레스(β=-.13, p=.010)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6%로 식행동 모형은 유의하였다(F=26.63,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한 식생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prototype)에 대한 연구동향 탐색

        장현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3

        This study analyzes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prototype developed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s objectiv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and seeks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Firs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the most actively developed during the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It also indicates that a new motivation for research should emerge, for the development of those programs has currently decreased. Second, the program so far was developed primarily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social education. However,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s target to secondary education learners and develop it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objective and content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end to focus on 'respect and understanding of divers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should be reconceptualized to fit the situation in Korea. In addition, th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enable learners to achieve 'social justice' and 'social practice,' which are the ultimat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체계적인 실행을 위해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목표(objective)와 다문화 교육의 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2014년~2016년까지 3년 동안에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고 현재는 이보다 줄어 새로운연구 동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로 초등 고학년 대상, 사회교육의 관점에서 진행해온 프로그램 개발에서 중등 학습자로 대상을 확대하고 국어교육 관점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다문화 교육의 목표(objective)와 내용이 ‘다양성 존중과 이해’에 초점이 맞추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개선하기 위하여 다문화 교육이론을 국내 현실에 맞게 재개념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다문화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사회정의’, ‘사회 실천’을 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임상수행능력,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장현정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임상수행능력,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G시의 간호대학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 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 이미지(r=.70, p<.001), 임상수행능력(r=.23, p<.001), 전공만족도(r=.62,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사 이미지와 양의 상관관계가(r=.14, p=.015) 전공만족도는 간호사 이미지(r=.55, p<.001), 임상수행능력(r=.14, p=.01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32, p<.001), 사회적 이미지(β=.31, p<.001), 전문적 이미지(β=.21, p<.001), 임상수행능력(β=.09, p=.018)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59.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mage of nurse, clinical performance,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3 sophomores and juniors majoring in nursing in G city, who were surveyed between October 15 and 19,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mage of nurse (r=.70, p<.001), clinical performance (r=.23, p<.001), and major satisfaction (r=.62, p<.001), clinical 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age of nurse (r=.14, p=.015), and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age of nurse (r=.55, p<.001) and clinical performance (r=.14, p=.012).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cluded major satisfaction (β=.32, p<.001), social image (β=.31, p<.001), professional image (β =.21, p<.001), and clinical performance (β=.09, p=.018), in order, with 59.9% explanation power. To establish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ir image of nurse,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연구

        장현정,마예원,임선영,박혜선 대한통합의학회 2022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0 No.2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stablish basic data for stable operation of dementia relief center as a part of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for dementia and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Methods :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involving 126 nurses working at 19 dementia relief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3.0. Results : The importance tasks that nurses think of were Dementia Diagnosis, Counseling, Register and Classification and Dementia Preventive Projects. In addition, tasks that showed high performance were in the order of Dementia Diagnosis, Counseling, Register and Classification, Management of Dementia subjects. As a result, the final items of work areas and contents included 45 subcategories of work content for eight work area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overall work area and content of nurse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 description suitable for nurses who are med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dementia safety cent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 description suitable for nurses who are med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dementia safety centers. In connection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atic and continuous program to manage dementia patients and thos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 환자의 자세 균형 조절 능력

        장현정,황지혜,노경선,박대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9 No.4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있는 환자군과 정상 노인군 사이에 자세 조절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29명의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와 14명의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배경 벽과 컴퓨터에 의해 조절되는 발판으로 구성된 객관적인 균형 평가 도구를 이용해 정적 및 동적 균형을 평가하였다. 결과: 감각체제검사 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서 정상 노인에 비해 자세 정적 및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 운동조절검사 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서 잠복기가 유의하게 지연되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 환자의 균형 조절 능력이 정상 노인군에 비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균형 조절 능력의 감소는 낙상 및 보행 이상과 관련이 있으므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ostural stability between diabetic polyneuropathic patients and normal age-matched subjects. Methods: Twenty-nine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and 14 healthy age-matched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tic and dynamic balance was evaluated using an objective balance test involving computer-controlled dual force platforms enclosed by a visual surround. Results: For sensory organization test diabetic polyneuropathic patients revealed significant postural instability compared to controls. For motor control test, latenc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iabetic polyneuropathic group than in the healthy group.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significant balance loss associated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putting the individual at increased risk for falling and gait abnorm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