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관우도>와 조선시대 관우 이미지

        장진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8 동원학술논문집 Vol.9 No.-

        관우도는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 군사에 의해 들어와 점차 확산된 관우 신앙을 배경으로 다수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 민속, 무속적 관점에서 인식되어 왔을 뿐, 미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았다.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관우도>를 중심으로, 회화사적 접근이 미진하였던 관우도에 대해 고찰하고, 조선시대 형성되었던 관우 이미지의 성격과 기능을 밝혔다. 특히 관우 신앙에 대한 군왕의 후원에 주목하여, 관우도의 제작 배경을 여러 갈래로 살펴보았다. A large number of Guan Yu(關羽, ?-219) paintings were created during the Joseon period as the worship of Guan Di(關帝, Emperor Guan) increased through the arrival of the Ming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awareness of these paintings within art history has been very menial; they have been categorized only within the ranks of folk art and shamanist practices. With its main focus on the two Guan Yu painting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this paper will attempt to clarify the functions and character of the Guan Yu image created during the Joseon period. It will also look into the true nature and meaning behind the Guan Yu painting that had been neglected by art history;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production background of these paintings, special attention will also be paid to the king’s support behind Guan Di worship.

      • KCI등재

        자발화에 나타난 구문구조 발달 양상

        장진아,김수진,신지영,이봉원,Chang, Jin-A,Kim, Su-Jin,Shin, Ji-Young,Yi, Bong-Won 대한음성학회 2008 말소리 Vol.68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syntactic development of Korean by analysing the spontaneous speech data. Thirty children(3, 5, and 7-year-old and 10 per each age group) and 10 adults are employ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Speech data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orthography. Transcribed data are analysed syntactically: sentence(simple vs complex) patterns and clause patterns(4 basic types according to the predicate)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imple sentences show higher frequency for the upper age groups, 2) complex sentences with conjunctive and embedded clauses show higher frequency for the upper age group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참여적 시민 양성을 위한 장소기반 환경교육 탐색

        장진아,조수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3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already emerged as major issues around the world,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transform people’s perceptions and lives and to make participatory citizens is grow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se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ticipatory citizens through place-based education (PBE), and derived the significance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is.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find its value in terms of changing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ensitivity, cultivating empowerment through environmental practice, and fostering participatory citizens acting from the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discussion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anded the perspective of place-based edu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기후위기와 환경문제는 이미 전 세계적인 주요 현안으로 등장하였으며, 생태환경보호 차원을 넘어 전 지구인의 인식 및삶의 전환을 이루어 낼 수 있는 환경교육과 이를 통한 참여적 시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기반교육의 접근을통해 참여적 시민을 위한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미와 특성, 실천사례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의를도출하였다.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환경의식 및 환경감수성의 변화, 환경 실천을 통한 역량 함양, 지역에서부터 행동하는 참여적시민의 양성 측면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소기반 환경교육에 대한 기존 논의를 문헌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하고, 기존의 환경교육에서 장소기반교육을 바라보던 시각을 확장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의 안내된 과학탐구 프로그램 개발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은 무엇에 중점을 두고,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장진아,나지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4

        본 연구는 AR 기술을 활용하여 안내된 과학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무엇에 중점을 두었으며, 어떠한 어려움을 겪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역량 함양 및 양성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R 기반 안내된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강의에 참여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사례를 수집하고 그들이 중점을 둔 부분과 겪은 어려움을 프로그램 ‘설계 단계’와 ‘제작 단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 설계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은 능동적인 탐구과정을 촉진하는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동시에 AR 기술이 지닌 고유의 행위유도성으로서 3D 환경의 생생한 시각 자료를 구성하여 가상세계와 실세계에서의 탐구 경험을 의미 있게 연결짓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시나리오의 설계, 탐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 수집, 초등학생의 능동적 관찰을 이끄는 방법구현에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탐구에 대한 근본적 의문으로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AR 기술의 장점을 살리는 것을 어려워하였으며, 컨텐츠 제작 프로그램인 CoSpaces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탐구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프로그램 제작 단계에서는 초등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예비교사들은 프로그램 조작을 쉽고 단순하게 구성하고자 했으며, 게임적 요소나 쌍방향적 상호작용 요소를 추가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CoSpaces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역량 함양 및 교사양성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분석 - 참여자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장진아,전영석 국제과학영재학회 2020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올림피아드에 참여했던 교사와 학생, 참여 기관 전문가 총 36명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재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프로그램에서 참여학생들은 대회 참여와 대입 준비를 병행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전문가들은 대회 참여자의 수와 역량의 저하로 인해 수상 실적이 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기초과 학계의 인재 육성에 차질이 생길 것을 염려하였다. 교수 활동과 사업 운영 측면에서는 올림피아드 대회에 대해 늘어 나는 사회적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 인력 공급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이 보고되었다. 둘째, 이러한 실태와 어려 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과 운영 방식을 다양화하고, 이공계 분야 학생의 유인책을 강화하며, 특히 진로 프로그램을 내실화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이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과 영재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difficulties of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programs and find a way to improve their difficulties. For this, we surveyed a total of 36 participant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educator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national olympiad competition. As a result, first,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program, the participant students had a large burden on both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and preparing for college examination. The experts were concerned that the decline in the number and competency of the contest participants would not only result in a decrease in awards, but also would disrupt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a field of basic scienc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terms of teaching and business management activities, it was reported tha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manpower support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ncreasing social demand for the Olympiad.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se difficulties, it needs to diversify the participant students and the ways to mange the programs, to strengthen the incentives for participant student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career program. Finally, we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program and the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돌봄 경험 평가와 통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장진아,황혜원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5 No.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aregiving appraisal and sense of coherence based on the stress-appraisal-coping model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caring fo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mothers who care for adult children ages 18 or ov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home and who use services at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etc.,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nd Gyeonggido regions and 207 survey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irst, mothers’ego-resilience and sense of coherence strengthen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ren’s physical independ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upport inversely affected mothers’burden of caregiving. Second,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showed that mothers’ ego-resilience, children’s physical independence, satisfaction with activity support affected mothers’sense of coherence via caregiving appraisal. Mothers’ego-resilience and children’s physical independence positively affected mothers’psychological well-being via sense of coherence. Third, the analysis of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caregiving and the sense of coherence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burden of caregiving duty and the sense of coherence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hysical independence and mothers’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is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way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스트레스-평가-대처이론에 의거하여 돌봄 경험 평가와 통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지역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통합성, 자녀의 신체적 자립, 활동지원 만족도, 돌봄 부담감, 돌봄 만족감,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자녀의 신체적 자립, 활동지원 만족도는 돌봄 경험 평가를 매개하여 통합성에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자녀의 신체적 자립은 통합성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돌봄 만족감과 통합성이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