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P-299 Molecular design of sensitizer using bulky side group in hyperflu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장지선,이준엽,한시현,최혜원,육경수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Sensitizer system of hyperflu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as studied by comparing two sensitizers with different molecular structure of side group. Among two sensitizers, one sensitizer that has small side group could not suppress efficiency loss by fluorescent emitter doping, but the other one that has bulky side group effectively suppressed the efficiency loss. Although the efficiency of the bulky side group donor based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t (TADF) device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small side group based TADF device, the efficiency of the hyperfluorescent device was almost the same. In particular, there was little decrease of the efficiency of the hyperfluorescent device using bulky side group based TADF sensitizer according to fluorescent emitter doping concentration. It was proven from this work that the bulky side group like t-butyl carbazole modified TADF molecules are effective as the sensitizer of the hyperfluorescent devices.

      • KCI등재

        5-Bromo-2,9-bis(5,6-diphenyl-1,2,4-triazin-3-yl)-1,10-phenanthrolin as an Efficient Ligand for Selective Removal of Strontium and Cobalt from Aqueous Solution

        장지선,Laurence M. Harwood,이대성 대한화학회 2019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0 No.5

        In this study, 5-bromo-2,9-bis(5,6-diphenyl-1,2,4-triazin-3-yl)-1,10-phenanthroline (5-bromo-Ph4-BTPhen) was synthesized and evaluated for its ability to remove major radionuclides (Cs+, Sr2+, and Co2+). The synthesized ligand removed both Sr2+ and Co2+ from 1 mg/L aqueous solutions with extraction efficiencies of up to 99% at neutral and alkaline pH. The Sr2+ and Co2+ removal efficiencies decreased as a consequence of the higher bonding strengths of competing metal ions to the N-donor atoms in the cavity of the ligand; competing divalent ions affected the Sr2+ and Co2+ removal efficiencies more than monovalent ions.

      • KCI등재

        수업 촬영 분석을 통한 대학 신임 교원의 수업 역량 탐색 연구

        장지선,나경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작금의 대학은 수업의 질적 제고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한 여러 가지 노력의 중의 하나인 수업 촬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수업의 개선을 꾀하는 대학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 현장에 임용된 1년 이내의 신임교수 3명의 수업을 촬영하고, 수업 촬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심층 면담과 교수의 수업 성찰을 통해 신임교수의 교수역량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임교수의 수업의 전개 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신임교수의 수업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서는 1) 수업컨설팅 신청서 2) 교수ㆍ학습유형 설문지 3) 수업 녹화자료 및 전사자료 4) 교수ㆍ학생사후 설문지 5) 심층면담 기록지 6)수업성찰지가 사용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수업컨설팅 신청서 작성 시점으로부터 교수자의 수업성찰지 작성에 이르기까지 한 학기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정량 분석과 정성 분석이 결합되어 활용되었으며, 자료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제시되었다. 1) 신임교수의 수업 또한 수업의 전체적 틀인 도입, 전개, 마무리의 단계를 거치지만, 수업의 전개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여 도입이나 마무리 단계에서 학생들의 이해여부를 확인하는 활동들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2)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는 엿보이나, 접근 및 유도방식에 대하여는 개별 교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의 고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론과 함께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광자선의 소조사면에서의 3차원적 선량 측정

        장지선,권수일,Jang, Ji-Sun,Kwon, Soo-Il 한국의학물리학회 2012 의학물리 Vol.23 No.1

        중합체 겔 선량계를 제작하여 사이버나이프의 광자선의 소조사면에서의 3차원적 선량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겔 선량계는 아크릴로 제작된 두경부 팬텀내에 설치하여 선량측정에 사용하였다. 두경부 팬텀의 영상은 사이버나이프의 두경부 환자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획득하였고 치료계획 시스템에 전달되었다. 겔 선량계에 치료계획에서 수립한 방사선을 조사하였으며, 24시간 경과 후에 선량분석을 위하여 3.0T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측정된 겔 팬텀의 선량분포는 MATLAB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된 결과를 치료계획에서의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선량분포는 축상(axial) 방향의 등선량곡선의 80% 고선량 영역에서 치료계획 선량곡선과 측정된 선량곡선과의 차이가 0.76 mm이었으며, 40% 저선량 영역에서는 차이가 1.29 mm로 저선량 영역보다 고 선량영역에서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중합체 겔 선량계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소조사면에 대해 3차원적으로 선량을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료방사선 정도관리에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polymer gel dosimeter was fabricated. A 3-dimensional dosimetry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small field of the photon of the cyberknife. The dosimeter was installed in a head and neck phantom. It was manufactured from the acrylic and it was used in dosimetry. By using the head and neck CT protocol of the CyberKnife system, CT images of the head and neck phantom were obtained and delivered to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The irradiation to the dosimeter in the treatment planning was performed, and then, the image was obtained by using 3.0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fter 24 hours. The dose distribution of the phantom was analyzed by using MATLAB. The results of this measurement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calculation in the treatment planning. In the isodose curve on the axial direction, the dose distribution coincided with the high dose area, 0.76mm difference on 80%, rather than the low dose area, 1.29 mm difference on 40%. In this research, the fact that the polymer gel dosimeter and MRI can be applied for analyzing a small field in a 3 dimensional dosimetry was confirmed. Moreover, the feasibility of using these for the therapeutic radiation quality control was also confirmed.

      • KCI등재

        사이버나이프 출력인자 분석: 전리함, 다이오드 검출기 및 필름

        장지선,신동오,최병옥,이태규,최일봉,김문찬,권수일,강영남,Jang Ji-Sun,Shin Dong-Oh,Choi Byung-Ock,Lee Tae-Kyu,Choi Ihl-Bohng,Kim Moon-Chan,Kwon Soo-Il,Kang Young-Nam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1

        사이버나이프에 대한 정확한 선량측정은 정위방사선수술 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검출기를 이용하여 사이버나이프의 상대적인 출력인자 값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이버나이프는 12개 조준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조준기에 대한 출력인자 값은 6개의 검출기(다이오드 검출기, X-Omat V 필름, Gafchromic EBT 필름, 0.015 cc, 0.125 cc, 0.6 cc 전리함)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이오드 검출기와 전리함은 물팬텀을 이용하여 선원과 표면 간의 거리 80 cm, 최대선량깊이인 1.5 cm에서 측정하였고 필름은 고체팬텀을 이용하여 물팬텀과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각 조준기의 출력인자는 사이버나이프의 최대 조사면의 크기인 직경 60 mm 조준기의 출력인자 값에 대하여 규격화하였다. 조준기의 크기가 30 mm 이상인 경우 0.6 cc 전리함을 제외하고 다른 검출기에서 0.5% 이내로 상호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15 mm 이하의 조준기에서는 출력인자 값이 검출기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이오드 검출기와 Gafchromic 필름 경우 5 mm 조준기의 출력인자는 각각 $0.656{\pm}0.009$와 $0.777{\pm}0.013$이었다. 전리함과 다이오드 검출기에서 이러한 차이는 깊이에 따라 선량률 변화가 급격하고 측방쪽으로의 전자평형상태(lateral electronic equilibrium)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기인된다. 그러므로 Gafchromic EBT 필름이 사이버나이프 출력인자 값을 결정하는데 다른 검출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다고 사료된다. The accuracy of the dosimetry in the Cyberknife system is accomplishing important role from all processes of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is study, we estimated relative output factors for Cyberknife. All measurements were peformed by six different detectors: diode detector, X-Omat V film, Gafchromic EBT film, 0.015 cc, 0.125 cc and 0.6 cc ionization chamber The diode detector and three ionization chambers peformed using water phantom at 80 cm SSD and 1.5 cm depth. When the film measurements were peformed, the water phantom was replaced with a solidwater phantom. Each collimator normalized with respect to the output factor of the largest collimator (60 mm). For the collimators over than 30 mm, the output factors from the different detector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in 0.5% except 0.6 cc ion chamber For the collimators less than 15 mm,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output factors among different detectors. That is, the value of output factor for the 5 mm collimator of a diode and Gafchromic film was each $0.656{\pm}0.009$ and $0.777{\pm}0.013$. In the ion chamber and diode detector, those difference were due to the presence of large dose gradients and lack of electronic equilibrium in narrow megavoltage x-ray beams Therefore, the Gafchromic EBT film were considered more accurate than the others det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