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pitaxial Growth of Graphene by Surface Segregation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on Ru(0001) Studied with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장원준,강세종,Jang, Won-Jun,Kahng, Se-Jong The Korean Vacuum Society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6

        금속 기판 위에 성장한 그래핀은 원자구조와 전자구조 연구에 우수한 기반이 된다. 그래핀은 금소 기판에서 탄소의 surface segregation 이나 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이 두 방법의 성장 양상에 대한 비교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surface segregation, 흡착된 에틸렌의 post-annealing, 에틸렌의 high-temperature dose 등 3 방법으로 성장한 그래핀의 성장구조를 주사형 터널링 현미경으로 연구했다. 처음 2종류의 방법에서는 $100nm^2$ 수준의 작은 그래핀 영역이 나타났고, 3 번째 방법에서는 $10^4nm^2$ 보다 큰 그래핀이 육각형 무아레 무늬와 함께 타나났다.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의 high-temperature dose 방법이 추가적인 분자성장 등에 필요한 넓은 그래핀을 성장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임을 보였다. Epitaxial graphene on metal substrates provides excellent platforms to study its atomic and electronic structures, and can be grown either by surface segregation of carbon or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growth behaviors of the two methods, however, have not been directly compared each other. Here, we studied domain structures of graphene grown by three different methods, surface segregation, post-annealing with adsorbed ethylene, and high-temperature dose of ethylene, using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The first two methods resulted in graphene regions with areas of $100nm^2$, whereas the third method showed large area graphene (> $10^4nm^2$) with regular hexagonal Moire patterns, implying that high-temperature dose of ethylene is preferable for further studies on graphene such as additional growth of organic molecules.

      • KCI등재

        잠수함 전.평시 OMS/MP 설정 방법론 연구

        장원준,김경용,백순흠,Jang, Won-Joon,Kim, Kyoung-Yong,Paik, Soon-Huem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4 No.3

        Operational Mode Summary/Mission Profile(OMS/MP) is a document to quantify the operational and maintenance requirements based on the future operational environments and its mission and How to Fight concept in the development of the weapon system. It is important as a key document for the RAM goal setting in the early phase of weapon system development. The paper presents a systematic and practical submarine OMS/MP model processes with a deep analysis of relevant case studies and current status domestic and abroad. Especially, it proposes the unique Scenario Planning and Switch on List techniques with real case studies which have recently performed. The paper will contribute not only the basis of improved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 system but also the sustainment of readiness with the enhancement of RAM and reduction of total life cycle cost.

      • KCI등재

        방위산업 생태계 대응역량 분석과 시사점

        장원준 ( Jang¸ Won-joon ),송재필 ( Song¸ Jai-pil ),이경숙 ( Lee¸ Kyoung-soo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1930년대 생물학적 생태계 개념이 처음 제시되고 이를 Moore(1996)가 비즈니스 분야에 적용한 이후 오늘날 ‘산업생태계’의 개념은 구글, 애플, 네이버, 유투브 등 국내외 주요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위산업 분야에서는 산업생태계 개념이 생소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방위산업 생태계 개념과 특성을 정립해 보고, 국내 최초로 ‘방위산업 생태계 대응역량 지표’를 개발하여 국내 방위산업 생태계의 대응역량을 평가해 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100명의 국내 방위산업 생태계 대응역량 평가 결과, 생산성은 선진국(미국 =100)의 58.7%로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장대응력 등 5개 분야를 평가한 강건성도 선진국 대비 58.5%, 혁신성 6개지표도 63.9%로 평가되어 아직까지 방위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건강한 생태계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계층별 대응역량 수준도 주도기업(계층 2)이 선진국(미국 =100)의 60.2%에 그쳤으며, 중소벤처기업으로 구성된 참여기업(계층 1)은 56.5%로 더욱 저조한 수준이다. 정부 (계층 3)는 같은 기준 62.2%, 인프라(계층 4)는 66.9%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선진국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 방위산업 생태계는 혁신 역량 부족으로 신기술 개발 및 적용보다는 기존 기술에 의존하게 되고 그 결과 시장창출 능력이 뒤떨어지고 있는 바 향후 방위산업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서는 강건성과 혁신성을 제고하는 근본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nfrontational capability of defense industry ecosystem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its ecosystem in Korea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concept of biological eco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1930s and applied to the business field by Moore (1996), the concept of “industrial ecosystem” has become a core concept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major industries at home and abroad, such as Google, Apple, Naver, and YouTube. Nevertheless, the concept of industrial ecosystem is unfamiliar in the defense industr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fense industry ecosystem, to develop the indicator of defense industry ecosystem response capability, to evaluate the response capacity of the defense industry ecosystem, and to draw implication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apacity of 100 experts in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s ecosystem, productivity was low at 58.7% of developed countries (US = 100). It was analysed that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the robustness of the defense industry as a healthy ecosystem in terms of defense industry ecosystem, with 58.5%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and 63.9% of innovativeness indicators. In the level of response capability by class, the leading companies (Layer 1) accounted for only 60.2% of the developed countries (US = 100), and the participating companies (Layer 2) composed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were 56.5%. The government (tier 3) had the same standard of 62.2%, and the infrastructure (tier 4) was 66.9%, which was evaluated to be less than the level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 ecosystem is dependent on existing technologies father than developing and applying new technologies due to lack of innovative capabilities, so its ability to create markets is inferior. Therefore, a fundamental policy to enhance robustness and innovation for virtuous cycle of future defense industry ecosystem Provision seems to be urgent.

      • BIM 프로세스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장원준(Jang Won-Jun),전한종(Jun Han-Jong)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9 No.1(계획계)

        About 30% of the toal annual energy consumption on the earth is used in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including constructi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deconstruction of a building. Also, 40% of the natural resource consumption, 50% of CO2 emmisions, and 20%~50% of industrial waste emissions are produced from a building. Unfortunately, the percentage of its energy consumption is stedily increasing year by year, about 8% every year, and it recently causes a sustainable architectural concept to come to the fore globally. Indeed, the importance of the sustainable architecture is increasingly becoming a wordlwide trend. This study presents importance and validity of energy performance analyzation in the pre-design phase for the sustainable architecture with the suppor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echnolgy.

      • 대용량 이관시스템을 위한 멀티 쓰레드 기반 데이터 이관 기법

        장원준 ( Wonjun Jang ),류병걸 ( Byung-gul Ryu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4차 산업 혁명의 진행에 따라 빅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 분야와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성능 문제가 크게 제기되지 않았던 복사, 해쉬 계산 등의 문제에 대한 요구사항이 디지털 포렌식이나 디지털 데이터 기록물 보존 등의 분야에서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사, 해쉬가 동시에 진행되는 디지털 데이터 이관 분야에서 활용되는 대용량 이관 시스템을 위해 향상된 성능이 제공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며, 이를 구현한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에 활용되던 이관 시스템에 비해 평균 39%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한다.

      • 건축설계 BIM 프로세스 적용에 따른 BIM 데이터의 흐름과 통합에 관한 연구

        장원준(Jang Won-Jun),조현(Cho Hyun),전한종(Jun Han-Jong)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계획계)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mainly focused on the flow and the continuity of the data among all phase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on the potentiality of the integrated analyzation data. All the data information is drawn from the integrated design process which links various fields such as energy simulation, structure analyzation, and etc, and it is applied to the project combined as one data set. Moreover, we analyze the possible problems of the data exchange that can happen as collaborating with various fields while working on the project, and we present its solutions and the futher studies on this matter of a project

      • 공식안전평가(Formal Safety Assessment)를 이용한 선박의 안전성 평가

        장원준(Won-Jun Jang),김종호(Jong-Ho Kim)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8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

        FSA was introduced by the IMO as "a rational and systematic process fer accessing the risk related to maritime safety and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for evaluating the costs and benefit of IMO's options for reducing these ris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 general review of the FSA methodology and to propose ways to use it in rule making process of machinery parts.

      • KCI등재

        얼굴 정보 기반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메커니즘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장원준(Jang, Won-Jun),이형우(Lee, Hyung-W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4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뱅킹, 전자금융 서비스 및 인터넷전화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을 이용할 경우 보다 강화된 사용자 인증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얼 굴 정보와 같은 바이오메트릭 ID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하였다. 스마트폰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를 캡춰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일회용 바이오메트릭 ID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 한 기법을 이용할 경우 스마트폰 기반 SIP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Internet banking, electronic financial services and internet telephony service can be available on smart phone recently. In this case, more robust authentication mechanisms should be provided for enhancing security on it. In this study, a facial biometric ID based one-time password generation mechanis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enhancing user authentication on smart phone. After capturing a facial biometric data using camera module on smart phone, it is sent to server to generate one-time biometric ID. Finally one-time password will be generated by client module after receiving the one time biometric ID based challenge token from the server. Using proposed biometric ID based one-time password mechanism, it is possible for us to provide more secure user authentication service on smart phone for SIP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