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교양 도서 선정 문제와 개선 방안 모색 - 독후감 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

        장영미,윤유진 돈암어문학회 2019 돈암어문학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us of the book review contest conducted by the university, and to present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books and the selection of books recommended for culture, and how to develop them. This is a practical paper in the form of a report for the contest held in the Central Library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in 2018. Today's college students are a generation familiar with video and Internet culture. They are also enjoying the day in the fascination of the dynamics and conveniences these cultures offer.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asis for expressing all cultures is writing. Text culture is newspapers, magazines, books. Electronic newspapers, electronic magazines, and e books cannot exist without text. No matter how interesting and informative a movie is, you can't find one without a scenario. Therefore, literacy culture, reading is important. Text and video cultures are complementary. It is because the lines and the imag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give us information. 이 글은 대학생 독후감 공모전 현황을 통해 투고작 및 입선작 도서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양 도서 선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목적으로 한다.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시급한 것이 독서교육이라 판단하고, 이를 위해 대학생들이 무슨 책을 읽으면 좋을지, 꼭 읽어야 하는 책은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고민 해결을 위해 2018학년도 성신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주최 독후감 공모전 현황을 살피고, 교양 추천 도서 선정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오늘의 대학생들과 거리가 있는 도서를 선정하기 보다는 실제 학생들에게 학업이든 진로든 도움이 될 수 있는 도서 선정이 필요하다. 즉, 무조건적인 독서의 유익함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 필요로 하는 도서를 선정하여 이들에게 다가갈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다른 누구보다 시대 변화에 민감한 대학생들에게 고래의 방식은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오늘의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도서가 무엇인지, 어떠한 주제를 주목하는지 등을 살펴 학생들에게 바로미터로 다가가는 독서/장을 마련하여야 하는 것이 급선무라 여겨진다.

      • KCI등재

        1970년대 신춘문예 경향 연구- 동화 당선작(가작 포함)을 중심으로

        장영미 한국아동문학학회 201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3

        식민치하에 시작된 신춘문예는 1940년도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가 해방 후, 1954년부터 각 신문사들이 신춘문예를 부활시켜 다시 신인 발굴에 나선다. 신춘문예의 부활과 정착은 6․25 이후 작가 부족 현상을 겪고 있던 우리 문단에 역량 있는 신인 작가를 공급하는 등 기여한 바가 크다. 특히 전후의 새로운 아동문학에의 요청을 제도적으로, 문학적으로 반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신춘문예다. 물론 신춘문예가 등단 제도의 제도화가 새로운 문학의 모색과 탄생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부분을 가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수한 신인 발굴과 문단의 저변확대, 문학 기층형성이라는 취지를 띤 신춘문예는 식민지 시대 신춘문예의 계승 및 발전이자 이후 가장 강력한 등단 제도로 군림하게 되는 문화제도적 토대를 조성하면서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본고는 신춘문예 실시에 대한 이견보다는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향연이었다는 점을 기반으로 하여 1970년대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가작 포함)을 대상으로 그 특성을 살폈다. 특히, 일제 때부터 실시하여 오랜 연혁을 가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1970년대 동화 당선작들은 약한 아이들의 처지와 심경을 대변하는 인물과 유사한 약자를 중심으로 한 창작품이 많았다. 또한 물욕을 갖고 있는 어른과 달리 어린이는 세속에 물들지 않은 순수함을 담고 있었다. 즉, 1970년대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기에 계몽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60년대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들과도 크게 다르지 않은 주제와 창작 경향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동아일보』는 동화를 선호하고 『조선일보』는 동화와 아동소설의 장르 선호보다는 좀 더 다양한 작품을 선호한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실, 1970년대라는 긴 장(場) 속에서 두 일간지만을 대상으로 하여 신춘문예 경향을 파악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갖고 있는 오랜 역사와 문학적 성과를 통해 1970년대 동화 당선작(가작)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세태소설과 세계 인식 모색 : 박태원의 『천변풍경』과 박완서의 『천변풍경』을 중심으로

        장영미 구보학회 2013 구보학보 Vol.9 No.-

        이 논문은 박태원의 『천변풍경』과 박완서의 『천변풍경』에 나타난 세태 특성을 고찰하여 당대를 읽고자 한 것이다. 두 작가가 한 시대를 대표한다는 점, 당대를 적확히 포착한 세태소설가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비교 연구이기도 하다. 박태원의 『천변풍경』은 1930년대 식민지 도시 서민들의 모습을, 박완서의 『천변풍경』은 1980년대 초 도시화 산업화 시대의 소외된 노인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특히 소시민들의 삶을 반영하여 당대 사회상, 풍속, 인간 존재 문제 등 진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이 외에도 1930년대와 1980년대의 ‘천변풍경’에는 당대를 읽을 수 있는 요소가 풍부하다. 박태원의 『천변풍경』이 ‘川邊’풍경, 박완서의 『천변풍경』은 ‘天邊’풍경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전자가 냇물의 가장자리를 뜻한다면, 후자는 하늘의 가장자리라는 의미이다. 이처럼 서로 다른 제목의 한자 표기는 작품을 읽는 데 주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문학이 시대를 반영한다는 전제를 염두에 둔다면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This novel comprehends of the day by considering peculiarity of social conditions in Park, Tae-won’s Senery of a riverside and Park, Wan-Seo’s “Senery of a convulsion of nature”. Fact that these two writers represent of the age, and also in that respect, which novels captured exact of the age, it is interesting comparative study. Park, Tae-won’s Senery of a riverside shows colony city people’s life around 1930s, Park, Wan-Seo’s “Senery of a convulsion of nature” shows elder’s isolated life i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imes in early 1980s. Specially, we cannot overlook that it gives critical mind by showing a social aspect, custom, and problem of human existence from petit bourgeois life. Besides, 1930s and 1980s Senery of a riverside have abound strain to understand the period. Park, Tae-won’s denotes Senery of a riverside, and Park, Wan-Seo’s Senery of a riverside. Former involves the edge of the riverside, the latter means the edge of the heaven. So different titl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s important factor when you read a literary work. Having literatures reflect age, and reflaction of age is literatures in mind, yes these two novels are clearly mirror of that.

      • KCI등재

        保健敎育事業 遂行과 倫理問題에 관한 考察 : 理論과 適用을 中心으로

        장영미 韓國保健敎育學會 1995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12 No.2

        In the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markable growth in the popularity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ors are increasingly confronting serious ethical quandars. Health educators need to be fully prepared to meet the challenges presented by these situ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explores some fundamental concepts concerning ethics, morals, and values. 2. It identifies several critical ethical issues confronting the field of health education with which individual health educators most wrestle during the course of their careers. 3. It examines the process of applying ethical principles to guide rational resolution of complex value-laden issues and moral dilemmas. 4. Collectively, these provide health educators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ethics may be used to facilitate sound decision making. This study challenges health educators to consider the ethical issues and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certain practices or advan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 AIDS와 관련된 지식·태도·행위·관심도 및 환자 간호 의도에 관한 연구

        장영미 서울大學校保健大學院 1997 國民保健硏究所硏究論叢 Vol.7 No.1

        A study of 235 junior college nursing student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ir knowledge, attitudes, practice, interests, and patient care intentions concerning AIDS and HIV infection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cross the curriculum and to prepare nursing students to cope with the challenges inherent in care of a patient with AIDS. 1. 47.7% nursing students reported that they learned AIDS and HIV. 2. Nursing students had an interest in AIDS treatment 88.5%, symptom 87.7%, transmission 86.4%, safer sex 83.0%, AIDS risk group 71.9%, and AIDS antibody test 63.3%.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nursing students' attitudes, practice and interests related to AIDS among grades (Oneway ANOVA through Factor Analysis). 4.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s related to AIDS. Nursing students who had relatively more knowledge and had more negative attitudes related to AIDS, expressed stronger intentions to avoid caring for AIDS patients than other students did (Correlation through Factor Analysis).

      • KCI등재

        그림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창의적 사고와 표현을 중심으로-

        장영미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is study is an example of writing classes that use paintings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Writing is an act of expressing thoughts, feelings, facts, etc. in writing, which contains not only knowledge and culture, but also overall aspects of understanding, analysis, and criticism. Therefore, writing is a difficult and difficult task, but it is an area that we should be interested in. Based on these important issues, this school sough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Kim Hong-do, who has been familiar with art, has promoted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by reading paintings, comparing/analyzing and exchanging opinions every hour. Of course, discussions continue on whether creativity can be fostered through art education, including art. However, aesthetic education is a key task for learners to build the foundation of their own knowledge, and they can learn creativity, imagination and expressiveness by seeing, listening and feeling in a new wa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ultural environment of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images, writing education using pictures is a meaningful point.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one of the effective writing teaching methods to improve creativity and expression by utilizing painting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a close generation of visual images and intimate generations. In addition, it is not an education for writing, but an education for writing, given that writing was conducted using paintings. 이 연구는 그림을 활용하여 창의적 사고와 표현력 향상을 도모한 글쓰기 수업사례이다. 글쓰기는 생각이나 느낌, 사실 등을 글로 표현하는 행위로서, 지식과교양은 물론이고 이해력과 분석력, 비판력 등의 총체적인 면모가 담겨 있다. 때문에 글쓰기는 어렵고 힘든 작업이지만 우리가 관심 가져야 하는 영역이다. 이런 중대한 사안을 바탕으로, 본고는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동안 미술 교과에서 친숙하게 보아온 김홍도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매시간 그림을 읽고 비교/분석하고, 의견을 교환하면서 창의적 사고와 표현을증진시켰다. 물론 미술을 포함한 예술교육을 통해 창의성과 표현력을 함양할 수 있는지에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미적교육은 학습자들로 하여금자신의 앎의 근간을 세우게 하는 것이 핵심과제로, 새로운 방식으로 보고, 듣고, 느끼면서 창의력과 상상력, 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이미지가 친숙한학습자들의 문화적 환경을 고려한다면 그림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의미 있는지점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시각 이미지와 친밀한 세대인 대학생들에게 그림을 활용하여 창의력과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글쓰기 교수 방안중 하나인 것이다. 또한 그림을 활용하여 글쓰기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글쓰기를 위한 교육이 아닌, 글쓰기를 통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아동문화 교육 ― 삽화와 교육적 의도를 중심으로

        장영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This study analyzed the illustrations and texts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Japanese education on children's culture. The text noted in this study is the Joseon language reading in the Fourth Order of Education (1930-1935). According to the stud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ctively utilized the Joseon language book in line with its colonial policy, and provided children with the education of assimilation by introducing the natural harmony between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or the life, culture, values, and new cultures of the Japanese Empire. In other words, the Japanese colonized Joseon, their purpose in the name of public education, and conducted fairy tales and first-line discussions to justify it. The purpose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o make children of Joseon full-fledged believers in the empire was revealed,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confirmed its intention to make them naturally reborn as Japanese citizens. In fact, the colonial education is for providing homogenized and standardized models to the same learners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Textbooks also want to gain the effect of learning through what is generalized or averaged for learners. So we call a person who has basic skills and is exemplary a textbook. In other words, education and textbooks are obliged to have homogeneous elements that learners need. However, the Japanese set educational goals and directions based on their desires, not on standardized learning for Joseon children. In this regard, the Joseon Language and Reading Book is a textbook whose intention is specifically project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ich is considered to provide practical momentum to clear up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other words, the illustrations and contents of the book Chosun's English Reading can re-examine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conduc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tim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의 삽화와 본문을 분석하고, 거기에 작동한 일제의 아동문화 교육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텍스트는 4차 교육령기(1930∼1935)의 조선어독본이다. 연구에 의하면, 일제는 식민정책에 맞춰 조선어독본을 적극 활용하였는데, 전시 준비를 위해 남자 아동에게는 체력 강화를 여자 아동에게는 현모양처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제의 동화정책을 위해 조선인과 일본인의 자연스러운 어울림과 일제의 생활과 문화, 가치, 새로운 문물을 소개하면서 전략적인 식민화를 실행하였다. 즉, 일제는 공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그들의 목적인 조선을 식민화하고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동화정책과 일선동조론을 펼친다.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조선 아동을 제국의 충량한 신민이 되도록 한 것이다. 사실, 교육은 동일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균질화되고 표준화된 모형을 제공하여 소정의 효과를 획득하는 것이다. 학습자 역시 교과서를 통해 일반화되거나 평균화된 것을 학습하여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육/교과서는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요소를 균질하게 갖추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제는 조선 아동들에게 표준화된 학습 내용이 아니라 자신들의 욕망에 따라 교육 목표와 방향을 정하여 교육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조선어독본은 일제의 의도가 구체적으로 투사된 교과서로서 일제 잔재를 청산할 수 있는 실질적 모멘텀을 제공한 것이다. 즉, 조선어독본에 실린 삽화와 내용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과 주체가 행했던 교육의 실제상황을 재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에서 한국 근대 작가 정지용 문학에 대한 연구현황 고찰

        장영미,김선화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7 No.-

        In China,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has been advanced by broadening the scope of study to include authors and their works, engaging in comparative literary analysis, and foster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odern Korean literati in China, with a specific focus on Jeong Ji-yong's literature. Additionally, it assesses the potential for future research and advance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 China.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Jeong Ji-yong literature in Chinese academia. The focus lies in examining Jeong Ji-yong's literary impact within the educational domain. Additionally, it encompasses an exploration of literature-related cultural events associated with Jeong Ji-yong.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levate the international 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인학습자 중심으로 -

        장영미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adult learners majoring in nursing to college adjustment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college adjus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23 and a total of 156 adult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media literacy of the participants was at a high level, with a score of 4.10. Among the sub-factors, internet usage scored the highest at 4.49, while participation was the lowest at 3.44. Academic achievement was rated at 3.62, and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was moderately high at 3.75. The media literacy of nursing department adult learn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r=.51, p<.001) and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r=.42, p<.001). Additional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r=.53, p<.001).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among adult learners in the nursing department revealed tha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tivation for university enrollment (β =.15, p =.024), media literacy (β =.16, p <.039), and academic achievement (β =.49, p<.001) had significant influenc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7%, with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enhance adult learners'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to education to develop media literacy skills must be provided. Adequate career guidance for adult learners should also be provided, and school-wide efforts should be made to elevate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