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미래교육 분야 교원 연수 정책 분석

        장수정,이선희,정제영 한국교육행정학회 2024 敎育行政學硏究 Vol.42 No.1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emphasised the need to enhance teachers' digit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this study using Cooper, Fusarelli & Randall's (2004) Four-Dimensional of Policy Theory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policies and measures to enhance teachers' digital competence. At the Normative Dimension was analyzed in terms of digital utilization as an advanced training technique (2019-2020) and supporting teacher competency for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2021-2023). At the Structural Dimension was analyzed the Ministry of Education,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affiliated training institutes, universities and companies, and the Constituentive Dimension was analyzed MOE officials, teacher training operations-administrators, and teachers. At the Technical Dimension, it identified ways to improve policy planning, curriculum management, teacher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and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Lead teacher development needs to focus on the role of the change agent, not the diffusion of technolog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mmon competencies, sub-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presented in the AI-digital competency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raining programs that actively utilize various resources i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allows teachers to voluntarily complete training to enhance their digital competencies.

      • KCI등재

        주거단지의 가로조명기구 개발 및 운용방안

        장수정,오은숙,최안섭,Chong, Soo-Jung,Oh, Eun-Suk,Choi, An-Seop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9 No.4

        가로조명은 이용자의 안전과 편안한 시각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쾌적한 분위기를 연출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조명기구의 선택에 있어서 미적인 측면이나 선례에 의존하기보다 가로의 이용에 필요한 요구사항과 이용자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주거단지에 사용되고 있는 가로조명기구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거단지 가로조명이 갖는 특수성을 규명하여 이를 반영한 조명기구 디자인 및 운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street lighting needs to provide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gether with producing good atmosphere suitable for the pedestrian's various needs. Thus, the choice of the street lighting futures should be based on the needs of the them and the needs of the street rather than the precedences or appearances. This study proposes street lighting futures based on the need of the street lighting and their operation plan, and also analyzes the problems of current fixtures.

      • KCI등재

        주거단지 지하주차장의 조명계획 및 운영방법

        장수정,최안섭,Chang, Soo-Jung,Choi, An-Seop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9 No.4

        어둡고 한정된 지하공간의 이미지의 개선은 지하개발 성공여부에 중요한 결정요소가 되고 있다. 주거단지 지하주차장의 조명환경은 지금까지 양적 위주의 설계와 운영이 이루어졌으나 이제는 지하주차장 공간의 질적 향상이 필요한 때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고려해야 할 두 가지는, 첫째로 주차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광원에 대한 이해이며, 둘째는 균제도의 향상이다. 특히 겨울철 외기의 영향에 의한 주차장 실내의 심각한 조도저하와 균제도의 유지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명기구의 간격, 배열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며, 운용에 있어서는 시간에 따른 일률적인 기존의 제어방법에서 벗어나 이용패턴을 고려한 방식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The improvement of perspectives on dark and limited underground space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successful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he Current trend in the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garages requires not only quantitatively energy efficient design and operation but also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pace. For this, we need to consider two factors: First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mps; Secondly, to improve the uniformity ratio of illuminance. In a winter season, a way to keep the uniformity and a method not to lower the indoor illuminance level by cold ambient air sh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a change in interval and arrangement of the lighting fixtures is required. Also, in their operations, the current time-fixed control method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control which method considers the use pattern.

      • Comparison of the WSA-ENLIL CME propagation model with three cone types and an empirical model

        장수정,문용재,나현옥,Jang, Soojeong,Moon, Yong-Jae,Na, HyeonOck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We have made a comparison of the WSA-ENLIL CME propagation model with three cone types and an empirical model using 29 halo CMEs from 2001 to 2002. These halo CMEs have cone model parameters from Michalek et al. (2007) as well as their associated interplanetary (IP) shocks. For this study we consider three different cone models (an asymmetric cone model, an ice-cream cone model and an elliptical cone model) to determine CME cone parameters (radial velocity, angular width and source location), which are used for input parameters of the WSA-ENLIL CME propagation model. The mean absolute error (MAE) of the arrival times at the Earth for the elliptical cone model is 10 hours, which is about 2 hours smaller than those of the other models. However, this value is still larger than that (8.7 hours) of an empirical model by Kim et al. (2007). We are investigating several possibilities on relatively large errors of the WSA-ENLIL cone model, which may be caused by CME-CME interaction, background solar wind speed, and/or CME density enhancement.

      • KCI등재

        이성관계를 통한 가족 및 자기이해에 관한 사례연구

        장수정 西江大學校 學生生活相談硏究所 2006 人間理解 Vol.27 No.-

        본 연구에 소개된 사례는 이성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 내담자가 그 동안 눌러왔던 감정을 해소하고 남자친구와의 관계를 더 잘 해보기 위해 시작된 상담사례이다. 처음에 내담자는 자신이 어리고 남자친구를 잘 이해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가 자기에 대한 부족감을 느낀다고 자책하는 경향이 강했고, 그로 인해 자신이 여자친구로서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는 감정조차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이성관계에서 중요한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남자친구의 비일관적이고 무시하는 태도에 대해서 표현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참고 맞춰주는 방식으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상담이 진행되면서 이러한 내담자의 모습이 어머니의 모습과 닮아 있으며, 내담자는 이를 긍정적으로 내재화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에 보다 객관적으로 상대를 바라보고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표현하고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아직 훈습되어야할 부분들이 남아 있지만 내담자의 졸업과 구직활동으로 상담을 종결하고 추수상담을 진행 중이다.

      • KCI등재

        또래 괴롭힘에 대한 아동의 반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장수정,최윤경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measuring children's reactions to peer bullying. The children's reactions scale to bullying(CRSB) consisted of 16 pictures and episodes, each of which described direct or relational bullying situations. Children were asked what they would do if they witnessed peer bullying situations and forced to choose one of four response options for each episode. Four subscale scores were computed by summing the number of each response, retaliating on perpetrators, advocating bullies, watching bullying and doing noting(bystanding), or helping victims. The CRSB and a series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66 grade 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stablish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4 subscale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ies(Cronbach's alpha = .71~.86).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construct validit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dvocating behavior and bullying experience(r=.36, p<.01), bystanding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r=-.30, p<.01), and helping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r=.34, p<.01), and bullying experience(r=-.27, p<.01). A three-factor solution emerged, consisting of a bystanding/helping, retaliating, and advocating behavior factor.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6.5%(bystanding), 24.30%(retaliating), and 21.07%(advocating) of the variance on the CRSB, respectively. When children were categorized as ‘bullies’, ‘bully/victims’, ‘pure victims’ or ‘not involved’ on the basis of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 bullies were less likely to help the victims and more likely to advocate the perpetrators than other children.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괴롭힘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괴롭힘에 대한 아동의 반응 척도(the children's reactions scale to bullying, CRSB)는 직접적 또는 관계적 괴롭힘 상황을 묘사하는 16개의 그림과 시나리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에게 또래 괴롭힘 상황을 목격한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질문한 후, 4개의 보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각 보기에 대한 아동의 반응 빈도를 합산하여 4개의 하위척도, 즉 가해아동에 대한 보복, 괴롭힘에 대한 동조, 방관 또는 피해아동에 대한 도움 행동 점수가 산출된다. CRSB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26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CRSB를 비롯한 몇 가지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CRSB 하위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양호하였고(Cronbach's alpha = .71~.86), 동조행동과 가해경험(r=.36, p<.01), 방관행동과 친사회적 행동(r=-.30, p<.01) 및 도움행동과 친사회적 행동(r=.34, p<.01), 그리고 가해경험(r=-.27, p<.01) 간에 상관이 유의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 즉 방관, 보복 및 동조행동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들은 각각 변량의 36.5%, 24.30% 및 21.07%를 설명하였다. 사회경험질문지에 기초하여 아동을 가해, 피해, 가ㆍ피해 및 일반 아동으로 분류했을 때 가해아동은 다른 아동에 비해 도움행동을 더 적게, 그리고 동조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