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전 중 스마트폰 이용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석용,정헌영,박다솔,고상선 한국교통연구원 2012 交通硏究 Vol.19 No.2

        In this study, the dangerousness of driver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smartphones is analysed and measures for safe driving while using smartphones are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xtra features on smartphones are more useful to users than calling. As usage increases rapidly, it is necessary to tighten the laws which ban the use of smartphones while driving to prevent possible danger. In order to prevent dangerous driving due to the use of smartphones, a "driver mode" which restricts all functions except for calls and driver assistance functions is called for. It is necessary for drivers to be punished for the use of mobile phones and the traffic law violations if an accident or violation occurs during smartphone use. Moreover, if a driver using a smartphone causes an accident, the offender should receive criminal liability and also be considered as a special case for punishment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raffic Accident Processing. Two variables, ‘age’ and ‘gender’ included in the analysis of the discriminant model, represented that men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experiencing dangerous situations when they are using their smartphones while driving. Aside from age and gend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discriminant model also includes variables such as the ‘convenience of smartphones’ and ‘keeping one's eyes on the road’. 본 연구는 최근 확대되는 스마트폰 이용의 증가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 안전운전 방안에 대해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전 중 스마트폰을 통한 통화 목적 이외에도 부가 기능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능의 위험 방지를 위해 운전 중 DMB 시청을 금지한 훈시규정을 정식 법규로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 방지를 위해 일반적인 통화기능과 운행보조기능 외에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한되게 하는 운전자 모드의 기능이 요구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 중 발생한 사고나 법규위반의 경우 휴대전화 사용 벌칙과 법규위반 벌칙을 동시에 처벌 가능하도록 법규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며,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주요 위반 항목에 포함시켜 사고 시 형사처벌도 강화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판별모형 분석결과 모형에 포함된 ‘연령’과 ‘성별’이라는 두 변수를 통해 나이가 들수록, 남자일수록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 중 위험상황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판별모형 분석결과 나타난 ‘연령’과 ‘성별’ 변수 외에도 ‘스마트폰의 편리성’과 ‘전방주시’ 변수가 포함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 및 특성들을 반영하여 교육, 공학, 단속의 입장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안전운전 대책을 세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Q 분석 방법을 이용한 운전자 운전성향별 유형화에 관한 연구 (교통법규 위반자 및 교통사고 야기자를 중심으로)

        장석용,정헌영,이원규,고상선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effective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 to reduce both violations of road traffic acts and accident rates related to the driver's characteristics by measuring them using Q analysis method, a microscopic statistic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violators of the road traffic act could be divided into five driving characteristics and causers of traffic accident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driving characteristics. By understanding these characteristics, We could establish a proper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 for each driving characteristic. The accomplishm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We could classify the decisive driving characteristics, which cause road traffic acts and traffic accidents, into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driver's characteristic and the occurrence of the road traffic act and traffic accident could be recognized more clearly. We could find the dangerous driver samples who have Accidents proneness. Th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actors, We could sort out and suggest countermeasure for reducing violation of road traffic acts and traffic accidents as a priority countermeasure and complementary countermeasure. Finally, transportation companies most closely related to automobile accidents can judge new personnels on the basis of their driving characteristics before hiring, and also apply this principle to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vigorously. 본 연구는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 야기에 밀접한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대해, 미시적인 통계분석 기법인 Q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운전성향과의 관련성에 근거한 교통법규 위반 및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적인 교통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통법규 위반자들은 5가지의 운전성향으로, 교통사고 야기자들은 6가지의 운전성향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별 운전성향 특성 분석을 통해, 운전성향별 교통법규 위반 및 교통사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데 결정적인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운전성향이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 야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비교적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사고호발성향을 지닌 위험 운전자 표본을 찾아낸 것도 본 연구의 성과라 할 수 있다. 둘째. 현재 시점에서 연구대상이 된 비정상 운전자들의 요인별 운전특성을 유형화하고 분석한 결과, 교통 법규 위반 및 사고 감소를 위한 대책을 중점대책과 보완대책으로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하여 수립할 수 있었다. 셋째. 교통사고 야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을 갖고 있는 운수업체의 입장에서는 여객운수 종사자들의 신규 채용 시 이들의 운전성향을 사전에 파악하여 채용 여부를 결정하거나, 채용 후 운전성향에 맞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교육에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