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램 운영자의 역할과 경험 이해 - 노동부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장서영,정연순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among stake holders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oles and experiences of a program coordinator from the perspective of a program coordinator.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program coordinators of job assistance program which is planned and managed by the Ministry of Labor. The results show that 1) program coordinators contribute to the program development as a quasi-developer while they acquire the capability as a program coordinator, 2) an initial program adjusts/changes itself to environment through experiencing the conflicts of various stakeholders' interests and power, and 3) the interaction between coordinators and learners lead the initial program to evolve to many different versions.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program development theory are discussed. 이 연구는 프로그램 운영을 진행자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진행자들이 수행하는 역할 및 경험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동부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프로그램 진행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 진행자로서 역량 획득, 제 2의 프로그램 개발자로서 프로그램 수정, 교육자로서 보람과 갈등 경험, 구조적 한계 내에서 후속 서비스 제공이라는 네 주제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프로그램 진행자들은 전문가로서 능력을 갖춰가면서 제2의 개발자로서 역할 한다는 점, 프로그램 운영에는 다양한 권력과 이해관계가 작동하면서 애초 설계된 프로그램이 현장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화된다는 점, 진행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은 애초의 설계를 원형삼아 수많은 판본으로 진화해간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이 수많은 협상의 산물인 사회적 활동이며, 프로그램 개발론이 설계 뿐 아니라 운영 단계까지 이론적 관심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기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재학 중 인턴십 경험이 여대생의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
장서영,심우정,이보라 한국성인교육학회 2006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9 No.1
본 연구는 인턴십 경험자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인턴십 경험이 여대생의 진 로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인턴 십에 참여한 여자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지를 사용한 심층면접을 하 였으며, Glaser와 Strauss(1968)의 일정비교분석방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대생들은 현장체험을 통한 조직 이해, 실무경험을 통한 자 기이해, 일하는 여성관찰을 통한 여성 직업인의 현실 이해를 인턴십 과정에서 얻은 주 요 학습으로 꼽았다. 이러한 학습을 바탕으로 여대생들은 인턴십 이후 일의 의미와 직 업선택 기준의 변화, 진로준비 내용의 확대 및 준비 방법의 구체화, 전공수업에 대한 동기화를 경험하였다. 인턴십 경험은 여대생의 진로준비에 있어서 직업의식 전환을 통 해 성공적인 커리어우먼의 외양과 이미지에 집중하는 피상적인 직업관에서 벗어나게 하고, 자기 적성에 대한 확인을 통해 주위의 영향력을 줄임으로써 진로결정도를 높이 며, 조직생활에 필요한 역량 습득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객관적 점수 획득 위주의 편향 된 취업준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장서영,은혜경,오민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유망직업 선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여성에게 취업기회가 높은 직업을 유망직업 기준으로 삼고, 3단계 과정을 통해 유망직업을 선정하였다. 1단계에서는 고용보험 DB와 워크넷 DB를 기초로 한 양적자료 분석과 직업상담사 및 매체 추천을 통한 질적자료 수집을 통해 후보직업을 발굴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발굴된 후보직업을 정리, 통합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1) 나이·경력·학력에 구애를 덜 받아 경력단절여성이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용이한 직업, 2) 관련 경력이 없어도 경력단절여성이 직업훈련을 통해 노동시장에 진입 가능한 직업 , 3) 남성지배직업이어서 상대적으로 취업가능성이 낮은 편이나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사례가 있어 경력단절여성에게 도전감을 줄 수 있는 직업으로 선정기준을 확정하여 총 55개 직업을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유망직업으로 선정하였다. 결론에는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occupations that is of high probabilities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A process of 3 steps was performed to find such occupations. Using Employment Insurance and Work-net Database, it has been found occupations that career-interrupted women empirically reemployed with high frequencies and preference. We then surveyed promising jobs through career counsellors and media, In the second step, occupation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two steps has been assorted and selected as promising jobs. Finally, we pin down total 55 jobs for career-interrupted women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easiness to reenter the labor market regardless of age, job experience, and education background, 2) whether job training can help their qualificatio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and 3) whether to challenge them with prior success examples.
장서영,고재성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ministrators at university career service centers (UCSC) understand their new roles caused by the change of UCSC and what they want to learn. We collect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of 11 administrators at UCSC and analyze the data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the role of UCSC gets important, the administrators are required to have professional abilities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refore, they turn their eyes to education to obtain the abilities. They want to learn 1) basic knowledge and role as career guidance expert at UCSC, 2) specific skills including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3) career counseling and job placement. They also mention that the education should be case-centered, focused on specific contents, and systematic from beginners level to advanced level. It follows the implication for education development to improve expertise of administrators at UCSC. 이 연구는 대학의 취업지원 맥락의 변화로 인해 대학 취업지원인력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역할과 이에 따른 교육요구를 대학 취업지원인력의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취업지원인력 11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일정비교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의 취업지원부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그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대학 취업지원인력은 진로지도 및 상담 등의 전문적인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교육요구를 가지고, 취업담당자로서의 기본자세 확립, 사업 기획ㆍ개발ㆍ운영ㆍ관리 능력 함양, 학생 상담 및 취업연계 능력 함양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이들은 이론보다는 사례 중심으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내용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주제를 조금씩 소개하는 백화점식 교육보다는 특정 주제를 집중적으로 교육함으로써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초급부터 고급까지 단계별로 체계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가로 양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취업지원인력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일반 인구의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건강 중재 요구의 연관성
장서영,안연우,이종훈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2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9 No.3
Objectiv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he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was higher than before the pandemic. Identifying subjects at high risk for mental disorders may be necessary for effective mental health interven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and the related fact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living in Daegu City one year after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need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ssessment,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te anger from 1,000 subjects. This study performed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ost hoc analysis, chi-square 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the need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re 22.4%, 31.3%, and 42.3%. The need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wa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p<0.001). Additionally, the risk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need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need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anxiety, 3.270 [2.337–4.575], p<0.001; depression, 4.475 [3.284–6.097], p<0.001; anger, 4.225 [3.121-5.718], p<0.001). Conclusions: One year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Daegu City was high. The subject’s perceived need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and helps identify subjects requiring additional mental health intervention.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중심으로
장서영,장원섭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ir smooth socialization in new workplac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n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analyzed the data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perienced blurred job descriptions and divisions and unreasonable treatments due to family based management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and long and hard working and lack of job security and personal development (large enterprise). They tri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various solutions such as dialogues with supervisors and/or colleagues, preparation for turnover, and just endurance. In addition, they wanted employers to provide systematic division and assignment of work, more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formal channels for communication and so on. 이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이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대졸 초기경력자들이 조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하였으며, 일정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업무분장의 불분명과 가족경영으로 인한 불합리한 처우(중소기업), 전문성을 쌓기 어려운 업무, 장시간 근무, 직업안정성 부재(대기업)를 이직을 고려하게 하는 어려움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 이들은 갈등 당사자와의 대화 시도, 주변 사람들에게 어려움 털어놓기, 이직을 위한 준비하기, 무조건 참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며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체계적인 업무분담 시스템 마련, 직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기회 제공, 의사소통을 위한 공식적인 통로 마련 등을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을 위해 회사가 제공해야 할 지원으로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