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종류,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 파종립수, 액비, 차광수준에 따른 털부처꽃의 유묘 생육

        장보국,연수호,이상인,박경태,정미진,조원우,조주성,이철희 한국화훼학회 2022 화훼연구 Vol.30 No.3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은 전국에 분포하는 다년생초본식물로 척박하고 습한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잘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하천변, 척박지에서 정원용, 화훼용 및 관상용 식물로 이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털부처꽃의 적정 육묘 조건(토양종류,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 파종립수, 액비농도 및 차광)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원예상토) 에서 재배된 유묘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용토는 육묘기간이 지속되면서 생육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셀 크기는 용적이 가장 큰 162 셀에서 재배된 유묘의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200셀과 288셀에서 자란 묘도 건강했다. 한편 유묘의 결주발생을 고려하면 셀당 2립을 파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액비 처리는 유묘의 생육을 촉진하였다. 특히 Hyponex 1000배는 초장, 줄기직경, 엽수, 마디수, 근장, 지상부 생체중 및 지하부 생체중을 증가시켰다. 또한 유묘의 생육은 55% 차광 하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털부처꽃의 가장 효과적인 생육조건은 원예상토가 충진된 288셀 플러그 트레이에 셀 당 2립을 파종하고 Hyponex 1000배를 시비하면서 55% 차광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환경조건과 화학적 처리의 영향

        장보국,조주성,이철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1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9 No.2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of seeds in the forms of various environment and chemical compounds. The present study was aim to produced effective seed propagation method of Astilbe koreana (Kom.) Nakai which had expected high value for the cut flower, ornamental and pharmaceutical material. Seed width and length ranged 0.62, 2.22 ㎜, respectively, and weight of thousand seeds was 40.5 ㎎. As result of imbibition test, showed moisture content of fresh seed (2.57%) increased rapidly by water-soaking treatment under 24 hours, recording to maximum value of 29.8%, and expansion of the seed coat was observed. Seed germination was the best at 15℃ and light conditions (40.8%) among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s treated. Percent germination of seeds was improved under the low (15, 20℃) than high temperature (25, 30℃). In addition, the seed was not germinated at dark condition regardless of temperature. Seeds of A. koreana thus seemed that it had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conditions. To improve germination rate, seeds were submerg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growth regulators such as GA3 and kinetin, and minerals as KNO3 and KCl. As a results, KNO3 treatment, regardless of concentrations, promoted germination compared to control. Especially, percent of germination (77.8%), germination energy (96.1%), mean germination time (11.3 days) and T50 (6.5 days) were effectively improved by treatment of KNO3 20 mM. Key words - Astilbe, Saxifragaceae, GA3, Kinetin, KNO3, KCl 본 연구는 절화, 관상 및 의약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은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 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에 사용된 종자는 크기가 0.62×2.22 ㎜이며, 1,000립중은 40.5 ㎎으로 조사되었다. 종자의 기간별 수분흡수율을 조사한 결과, 2.57%였던 수분함량이 침지처리 24시간 만에 29.8%로 증가하 였으며, 종피의 팽창이 관찰되었다.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는 저 온요구성 광발아성으로 15℃, 명조건에서 최종발아율(40.8%) 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상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율은 낮아 졌다. 암조건에서는 어느 온도조건에서도 전혀 발아되지 않았 다. 종자에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처리한 결과, KNO3는 농 도에 관계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발아촉진 효과를 나타 내었다. 특히 KNO3 20 mM 처리구에서 최종발아율(77.8%)과 발아세(96.1%)가 향상되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11.3일)와 T50 (6.5일)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Propagation methods for gametophyte proliferation and sporophyte formation in silver cloak fern (Cheilanthes argentea)

        장보국,조주성,이철희 한국원예학회 2019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60 No.3

        Cheilanthes argentea (S.G. Gmel.) Kunze is a highly valued indigenous/endemic Korean bracken species used for ornamentalpurpos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ractical proliferation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C . argentea plants using tissueculture. The gametophyte proliferation using the chopping method produced gametophytes that were morphologicallyidentical to those obtained from in vitro spore germination. This new method increased plant fresh weight by more than40-fold, from 300 mg to 12.7 g, in Murashige and Skoog medium. A blending method was used to produce 74.3 sporophytesin 7.5-cm 2 plastic pots using 1 g of gametophytes. Furthermore, addition of exogenous gibberellin promoted sporophytedevelopment and growth,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sporophytes formed. However, furtherstudies are needed to explain the eff ect of exogenous gibberelli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ex-determining hormoneantheridiogen, on the number of sporophytes and its mechanism of action. Our new tissue culture system is capable of massproliferation of C. argentea gametophytes in vitro and the formation of sporophytes by ex vitro preparation using the generatedgametophytes.

      • KCI등재

        상록성 목본 64종의 추출조건에 따른무좀원인균의 항균활성 스크리닝

        장보국,지래원,조주성,이철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vergreen woody species extracts on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o do this, leaves and stems were collected from Wando and Jeju islands, and were used for the extraction with different solvents (i.e., distilled water, 80% ethanol, and 100% methanol), and at different ultrasonic extracting times (i.e., 15, 30, and 45 minut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sing the agar diffusion method. The clear zone was measured after incubating the paper disc containing the plant extract in a bacterial culture medium. The controls were synthetic antimicrobials, methylparaben and phenoxyethanol, at concentrations of 0.4, 1, 2, and 4 mg/disc. Altogether, extracts of 56 out of 64 species used in this study had inhibitory activity, which confirm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thlete’s foot. Among them, the crude ethanolic extract of Elaeocarpus sylvestris in 45 min showed a zone of inhibition < 20.2 ㎜, while the clear zone of Actinodaphne lancifolia ethanolic extraction for 30 min was 23.5 ㎜. Also, Quercus acuta, Dendropanax morbiferus and Daphne odora showed clear zones of 28.0 ㎜ (45 minutes ethanolic extraction), 20.5 ㎜ (45 minutes crude methanolic extraction) and 19.7 ㎜ (45 minutes methanolic extraction), respectively. Thu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extracts of evergreen woody species have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Athlete’s foot, and suggest that in order to extract adequate amounts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plant sources, ideal extraction condition has to be considered. Key words - Athlete’s foot, Methylparaben, Phenoxyethanol, Pruning product, Ultrasonic extraction 본 연구는 무좀균(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상록성 목본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완도와 제주도에서 채집한 잎과 줄기를 용매(증류수, 80% 에탄올, 100% 메탄올)와 초음파 처리시간(15, 30, 45분)을 달리하여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한천확산법을 사용하여, 박테리아 배지에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종이디스크를 배양한 뒤 클리어존(생육억제환)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합성항균제인 methylparaben과 phenoxyethanol 0.4, 1, 2, 4 ㎎/disc에 농도로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64종 중 56 종의 추출물에서 클리어존이 보여, 무좀균에 대한 항균작용을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담팔수는 에탄올에 45분간 추출한 처리구에서 20.2 ㎜, 육박나무는 80% 에탄올로 30분간 추출한 처리구에서 23.5 ㎜의 클리어존을 나타냈다. 또한 붉가시나무, 황칠나무 및 서향의 잎 추출물은 각각 28.0 ㎜ (80% 에탄올 45분 추출), 20.5 ㎜ (100% 메탄올 45분 추출) 및 19.7 ㎜ (100% 메탄올45분 추출)의 클리어존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상록성 목본 추출물의 무좀균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확인할 수있었으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한 식물소재를 얻기 위해서는식물의 적정 추출조건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참지네고사리의 포자발아, 전엽체 및 포자체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장보국(Bo Kook Jang),조주성(Ju Sung Cho),이기철(Ki Cheol Lee),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원예학회 2017 원예과학기술지 Vol.35 No.4

        본 연구는 참지네고사리의 기내 포자발아,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지 및 배양토를 구명하고 균일묘를 생산하고자 수행되었다. 포자는 배지의 종류와 농도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우수하였다. 그 중 Knop배지에서는 MS 계열 배지에 비해 전엽체로의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포자를 발아시켜 획득한 전엽체를 재료로 배지의 구성물질을 달리하여 배양하였다. 전엽체의 증식율은 Knop배지에 비해 낮았으나, 장정기 등 생식기관의 형성이 활발한 1MS배지가 전엽체 증식용 배지로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MS배지의 sucrose 농도는 2%, 총 질소급원의 농도는 60mM, NH4<SUP>+</SUP>와 NO3<SUP>-</SUP>의 비율을 20:40mM로 조절하는 것이 전엽체의 생육 및 형태형성에 효과적이었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양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믹서기로 분쇄한 전엽체를 인공토양(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마사토)을 단용 또는 혼용한 토양에 분주하여 14주간 재배하였다. 그 결과, 원예상토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 및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하였을 때 포자체의 형성(0.83개/cm<SUP>2</SUP>)이 가장 왕성하였다. We investigated a suitable method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pores, propagation of prothalli, and the formation of sporophytes in the fern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Spore germina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regardless of culture medium. Prothallus development was faster in Knop medium than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a. Prothalli used in all experiments were obtained from germinated spores, and were cultivat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edia components. The active formation of sexual organs such as antheridium made 1MS medium suitable for prothallus propagation, although there was a lower propagation ratio compared to Knop medium. Growth and morphogenesis of prothalli were most effective on 1MS medium containing 2% sucrose, and 60 mM of total nitrogen source with 20:40 mM ratio of NH4<SUP>+</SUP>:NO3<SUP>-</SUP>.To select a suitable soil composition for sporophyte formation, ground prothalli were cultivated on single and mixed soils using bed soil, peat moss, perlite, and decomposed granite for 14 weeks. Bed soil promoted sporophyte formation and growth regardless of single or mixed use. In particular, a mixture of bed soil and decomposed granite in a 2:1 ratio (v:v) led to accelerated sporophyte formation (0.83/cm<SUP>2</S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