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Aprotinin의 안전성

        장병철,김정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5

        초 저체온 및 순환정지하 개심수술시 Aprotinin을 사용하는 경우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신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1992년 11월부터 95년 8월까지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대 동맥 수술을 한 44례 환자 중 고농도 Aprotinin을 사용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주요장기에 미치 는 aprotin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저체온하 순환정지 시에는 좌측대퇴동맥을 통하려 저혈류로 순환시켜 흉부대동맥내로 공기유입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순환정지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대동맥궁을 치 환하는 경우에는 선택적뇌관류를 하였다. 순환정지시 활성응고시간은 639초에서 1531초로 1례를 제외한 모 든 환자에서 활성응고시간을 750초 이상 유지하였다. 대상환자 20례중 수술사망은 4례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원인은 출혈 1례, 폐출혈 1례, 좌 관상동맥 박리에 따른 좌심실 기능부전이 1례, 근리고 다발성 뇌경색이 1례 있었다. 수술 후 뇌손상이 2례에서 발생하였으나 1례는 수술전 부터 자측 총경동맥 박리가 원인이었고 1례에서는 그 원인을 알 수 얼었다. 생존한 환자중 수 술 후 신 기능이나 간기능의 이상은 얼\ulcorner다. 결론적으로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를 이용한 대동맥수술시 avotinin을 사용한 결과 ACT를 750초이상 충분 히 유지하고, low flow retrograde perfusion을 유지하는 경우 신기능의 장애를 포함한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합 병증이 증가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was reported that use of aprotinin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nal dysfunction, and myocardial infarction as a result of intravascular coagulation. We reviewed 20 patients who received high-dose aprotinin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ith(NP group, n= 11) or without selective cerebral perfusion(SP group, n=9). The activated clotting time was exceeded 750 seconds in all but 1 patient. After opening aortic arch, retrograde low flow perfusion was maintained through femoral artery to prevent air embolization to the visceral arteries. Four patients among 20 died during hospitalization'due to bleeding, coronary artery dissection pulmonary hemorrhage and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Postoperatively, cerebrovascular accidents occurred in two patients; one with preoperative carotid artery dissection and the other with unknown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In conclusion, use of aprotinin in young patients undergo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renal dysfunction or intravascular coagulation if ACT during circulatory arrest is maintained to exceed 750 seconds with low-flow perfusion.

      • SCOPUSKCI등재

        호기말 양압호흡이 혈류역학 및 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병철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8 No.1

        The effect of graded increments in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PEEP] on hemodynamics required to ventilate 8 critically ill patients is reported. Acute respiratory insufficiency was a cause of death in only one patient of drug inoxication among the 8 patients studied. The cardiac output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increment of PEEP to the level of 20 cm H2O. The heart rat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5 cm H2O PEEP [P<0.01] as compared to 0 cm H2O PEEP; and the stroke volum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5 cm H2O PEEP [P<0.05]. The blood pressure was not affected at any level of PEEP, but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elevated significantly at 10 cm H2O PEEP [P<0.01]. The right ventricular transmural filling pressure was not affected at the level of 10 cm H2O PEEP, but from 15 cm H2O PEEP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ment of PEEP, the left ventricular stroke work index was decreased slightly; and at 20 cm H2O PEEP, i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right ventricular stroke work index was increased only at 10 cm H2O PEEP. The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5 cm H2O PEEP [P<0.01].

      • KCI등재

        공공투자사업 평가의 적정 사회적할인율 추정에 관한 연구

        장병철,손의영,오미영 대한교통학회 2010 大韓交通學會誌 Vol.28 No.2

        When the cost-benefit analysis is applied for social discount rate(SDR), the choice of SDR to be used in analysis is critical. One of the important issues when public investment project evaluate what is the SDR theory, so there have studied about SDR and no exact answer it so far.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of SDR theories that be estimated social time preference rate, social investment returns and the weighted average method from 1990s, 2000 to 2003 and 2004 to 2008.. First, social time preference method computes consumer's interest rate and the model of Pearce and Ulph(1999). Second, social investment returns method computes private returns of capital. Third, the weighted average method computes the model of Squire, L., Herman G. van der Tak(1975) and private consumption expense and the private investment expense. SDR is estimated in the rage between 2.4% and 3.9% from 2004 to 2008. It is not appropriate that the interest rate was unstable. But it is consider for social equity from present to future generations. Considering this things, downward need to the value of current SDR 5.5%. 공공투자사업평가 시 사회적할인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비용・편익분석의 결과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적정 수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사회적할인율의 개념을 무엇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과 연구가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할인율의 개념을 크게 세 가지 사회적 시간선호율, 사회적 투자수익률 그리고 이 둘을 가중평균 한 값으로 구분하였다. 추정방법으로는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경우 소비이자율과 Pearce and Ulph식을 사용하였고,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민간총자본수익률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중평균은 투자의 잠재가격을 이용한 Squire, L., Herman G. van der Tak식과 공공투자와 대치되는 민간투자와 민간소비지출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점의 사회적할인율을 추정하기 위해 연대구분을 1990년대, 2000년∼2003년, 2004년∼2008년으로 각각 구분한 후, 과거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제시된 1999년 7.5%, 2004년 6.5%, 그리고 2007년∼현재 5.5%와 각각 비교하였다. 추정결과는 1990년대 6.6∼10.7%, 2000년∼2003년 4.0∼7.0%, 2004년∼2008년 2.4∼3.9%로 각각 추정되었다. 현재 공공투자사업평가에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할인율 5.5%는 본 연구의 추정결과보다 약 1.6∼3.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MF이후 급격하게 하락한 소비이자율은 계속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투자사업의 목적인 현 세대부터 장래세대까지 모두를 고려한 사회적 자원의 재분배를 실현시키기 위해선 현재의 사회적할인율은 점차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UDP/IP 메시지 전송의 QoS 성능 향상을 위한IP Over USB

        장병철,박현희,양승민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4 No.5

        The Linux-based embedded systems such as mobile telephones, PDAs and MP3 players are widely in use. USB (Universal Serial Bus) is the interfac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uters and these peripheral devices. Some embedded systems like intelligent home networking and multimedia streaming require guaranteed QoS (Quality of Service), which is needed for real time transmission of UDP/IP messages through USB. Although USB Ethernet driver is supported by USB Gadget API in Linux, it is unable to provide the desirable QoS required by each type of small embedded systems due to the unpredictability of TCP/IP Stack in Linux. This paper proposes IP-Over-USB to improve QoS of UDP/IP message transmission in the embedded systems using USB in Linux system.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휴대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의 소형 내장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내장시스템에서 컴퓨터 또는 주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중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 특히 지능형 홈 네트워킹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소형 내장시스템에서는 USB를 통한 UDP/IP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의 보장을 요구한다. 리눅스에서는 USB Gadget API 기반의 USB 이더넷 드라이버를 지원하고 있지만 TCP/IP Stack에서의 비 예측성으로 인하여 내장시스템에서 요구하는 QoS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SB와 리눅스를 사용하는 내장시스템에서 UDP/IP 메시지 전송 시의 QoS 성능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인 IP-Over-USB를 제안한다.

      • KCI등재

        UDP/IP 메시지 전송의 QoS 성능 향상을 위한 IP Over USB

        장병철,박현희,양승민,Jang, Byung-Chul,Park, Hyeon-Hui,Yang, Seung-M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5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휴대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의 소형 내장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내장시스템에서 컴퓨터 또는 주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중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 특히 지능형 홈 네트워킹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소형 내장시스템에서는 USB를 통한 UDP/IP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의 보장을 요구한다. 리눅스에서는 USB Gadget API 기반의 USB 이더넷 드라이버를 지원하고 있지만 TCP/IP Stack에서의 비 예측성으로 인하여 내장시스템에서 요구하는 QoS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SB와 리눅스를 사용하는 내장시스템에서 UDP/IP 메시지 전송 시의 QoS 성능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인 IP-Over-USB를 제안한다. The Linux-based embedded systems such as mobile telephones. PDAs and MP3 players are widely in use. USB(Universal Serial Bus) is the interfac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uters and these peripheral devices. Some embedded systems like intelligent home networking and multimedia streaming require guaranteed QoS(Quality of Service), which is needed for real time transmission of UDP/IP messages through USB. Although USB Ethernet driver is supported by USB Gadget API in Linux, it is unable to provide the desirable QoS required by each type or small embedded systems due to the unpredictability or TCP/IP Stack in Linux. This paper proposes IP-Over-USB to improve QoS of UDP/IP message transmission in the embedded systems using USB in Linux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타임 워핑 하의 효율적인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을 위한 접두어 질의 기법의 확장

        장병철,김상욱,차재혁,Chang Byoung-Chol,Kim Sang-Wook,Cha Jae-Hyu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3

        본 논문에서는 타임 워핑 하의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타임 워핑은 시퀀스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유사한 패턴을 갖는 시퀀스들을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변환이다. 접두어 질의 기법(prefix-querying method)는 착오 기각 없이 타임 워핑 하의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을 처리하는 인덱스를 이용한 최초의 방식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질의를 편리하게 작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본 거리함수로서 $L_{\infty}$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L_{\infty}$ 대신 타임 워핑 하의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에서 기본 거리 함수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L_1$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접두어 질의를 확장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으로 타임 워핑 하의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착오 기각(false dismissal)이 발생하지 않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기법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는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매우 뛰어난 성능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iscusses the way of processing time-series subsequence matching under time warping. Time warping enables finding sequences with similar patterns even when they are of different lengths. The prefix-querying method is the first index-based approach that performs time-series subsequence matching under time warping without false dismissals. This method employs the $L_{\infty}$ as a base distance function for allowing users to issue queries conveniently. In this paper, we extend the prefix-querying method for absorbing $L_1$, which is the most-widely used as a base distance function in time-series subsequence matching under time warping, instead of $L_{\infty}$. We also formally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incur any false dismissals in the subsequence matching. To show the superiority of our method, we conduct performance evaluation via a variety of experi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our method achieves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in orders of magnitude compared with previous methods.

      • SCOPUSKCI등재

        초저체온하 대동맥수술 환자에서 완전 순환차단의 안전한 체온 및 기간에 대한 연구 - 뇌파 Compressed Spectral Array의 임상적 응용 -

        장병철,유선국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8

        복합 심장질환이나 대동맥궁 수술시 뇌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법 을 이용하고 있다. 수술후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을 이용하여 왔으며, 1994년이후 저자들은 뇌대사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술중 뇌파감시를 하고 있다. 저자들은 심장수술실에 사용이 편리한 뇌 파 압축 스펙트럼 정렬(compressed spectral array; CSA)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대동맥수술시 초저체온 및 설 전순환차단하에 뇌파감시에 적용하여 이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초저체온하 뇌파를 연속감시하여 뇌파가 소 실되고 다시 나타나는 온도를 확인하여 순환정지의 안전한 온도와 시간을 연구하였다. 급성 대동맥박리증 3 례와 대동맥궁 대동맥류 3례(2례는 가성)의 대동맥질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직장과 식도체온을 연 속 감시하였으며,마취후 뇌파를 연속감시하였다. 대상환자들중 3례는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차단하에 수술을 하였으며, 3례는 초저체온하 선택적 뇌관류하에(500 700Ml분) 수술을 하였다. 환자의 체온을 하강하여 뇌 파가 소실된 후 약 3분 후에 순환정지나 선택적 뇌관류를 하였다. 뇌파가 소실된 체온은 직장\ulcorner온이 $16.1^{\circ}C-22.1^{\circ}C(평균:$ $18.4\pm2.0),$ 식도체온이 $12.7^{\circ}C~16.4^{\circ}C(평균:$ $14.7\pm1.6)였다.$ 완전순환차단 환자의 경우 뇌 허혈 시간은 각각 30, 36, 및 56분이었으며, 뇌관류 환자의 경우 각각 41, 56, 92분이었다. 수술중 뇌파가 다시 나 타난 시간 및 체온은(증례 3~6) 5~23분후에 직장체온이 $14.1^{\circ}C~20.3^{\circ}C,$ 식도체온이 $11.7^{\circ}C~15.4^{\circ}C에서$ 나타났다. 수술후 뇌손상의 증상은 없었으며,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식도체온이 $16^{\circ}C이하에서도$ 뇌파가 23분이내에 다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식도체온이 $15^{\circ}C이하는$ 되어야 약 30분간의 완전순환 차단에 안전하리라 생각되었으며, 대동맥 수술시 CSA를 이용한 뇌파감시는 전기뇌활동을 감시하는데 유용 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Profound hypothermia protects . cerebral function during total circulatory arrest(TCA)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a variety of cardiac and aortic diseases.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is no ideal technique to monitor the brain injury from ischemia. Since 1994, we have developed compressed spectral array(CSA) of electroencephalography(EEG) and monitored cerebral activity to reduce ischemic inju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efficacy of CSA and to establish objective criteria to consistently identify the safe level of temperature and arrest time. We studied 6 patients with aortic dissection(AD, n=3) or aortic arch aneurysm(n=3, ruptured in 2). Body temperatures from rectum and esophagus and the EEG were monitored continuously during cooling and rewarming period. TCA with cerebral ischemia was performed in 3 patients and TCA with selective cerebral perfusion was performed in 3 patients. Total ischemic time was 30, 36 and 56 minutes respectively for TCA group and selective perfusion time was 41, 56 and 92 minutes respectively for selective perfusion group. The rectal temperatures for flat EEG were between 16.1 and 22. $1^{\circ}C$ (mean: 18.4 $\pm$ 2.0): the esophageal temperatures between 12.7 and $16.4^{\circ}C$ (mean $14.7\pm1.6).$ The temperatures at which EEG reappeared $5~15.4^{\circ}C$ for esophagus. There was no neurological defic t and no surgical mortality in this series. In summary, the electrical cerebral activity Teappeared within 23 minutes at the temperature less than $16^{\circ}C$ for rectum. It seemed that $15^{\circ}C$ of esophageal temperature was not safe for 20 minutes of TCA and continuous monitoring the EEG with CSA to identify the electrocerebral silence was use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