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 L. Koch) 혈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장병수,여성문,Chang, Byung-Soo,Yoe, Sung-Moon 한국현미경학회 1995 Applied microscopy Vol.25 No.2

        The fine structure of the hemocytes in Wolf spider, Pardosa astrigera, is discribed and compared with that of similar cells in other spider species and insects. Five hemocyte types are identified in the hemolymph: prohemocyte, plasmatocyte, granulocyte, spherulocyte and adipohemocyte. Prohemocytes are small with a relatively undifferentiated cytoplasm. The nucleus is comparatively large and has a perinuclear space. Plasmatocytes and granulocytes are pinocytotic function in the hemolymph of the body. The plasmatocytes have some coated pits on the plasma membrane and well developed Golgi complex, The granulocytes appear sequence of events in the formation of coated vesicle from a coated pit on its plasma membrane. Golgi complex become well expressed and give rise to small secretory vesicles which fuse to large bodies. The spherulocytes are larger in cell size than other hemocytes. Their cytoplasm is filled with spherules. The spherules contain the floccurent materials and the helical structured materials, which are 220nm in length and 80nm in width. The adipohemocytes are oval shaped and have a number of lipid droplets.

      • 세균(Bacillus subtilis)에 대한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의 세포성 면역반응

        장병수,문명진한성식여성문 한국통합생물학회 1992 동물학회지 Vol.35 No.3

        비병원성 세균인 고acirlus subtilis(ATCC6633)를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r'rakii Bolivar)의 성충 복강에 주입한 후, 혈구의 반응양상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균에 대한 혈구의 면역반응은 plasmatocyte와 granulocyte에 의한 식 세포작용(phagocytosis)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결절형꽁(nodule formation)은 일어나지 않았다. 식 세포작용의 초기 반응은 혈구의 세포질 돌기가 돌출되 면서 이물질을 둘러싼 후, 원형질막과의 융합에 의해 식포가 형성되었고, 식포의 주변부에서는 일차 리소조옴의 집적이 관찰되었으며, 이런 과정은 세균 주입후, 10분 이내에 완료되었다. 일차 리소조옴은 세균 주입 후 1시간 이내에 식포의 한계막과 융합하여 이차 리소조옴을 형성하였으며, 소화된 이물질은 9시간 이내에 exocytosis에 의해 배출 되었다.

      • 곤충 혈구의 이물질에 대한 면릉반응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I. Gold Particle에 대한 혈구의 면역반응

        장병수,여성문 한국통합생물학회 1992 동물학회지 Vol.35 No.1

        곤충 혈구의 이물질에 대해 면릉고청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지름 10 nm의 gold입자를 함유한 colloidal gold solution을 등 검은 메뚜기 (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 성충의 복강에 주입한 후, 혈구의 반응양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Gold 입자에 대한 혈구의 면역반응은 전체 혈구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는 Plasmatocytes에서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의 형태로 확인되었고, 다른 종류의 혈구는 반응하지 않았다. Plasmatocytes에 의해 식세포작용의 초기반음은 많은 원형질 돌기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포획하는 태면반응과 원형질악의 함입에 의한 식포의 형성과정으로서, 이 과정은 이물질 주입후 10분이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구내에 형성된 식포는 초기에 전자밀도가 낮은, 천상 또는 섬잡상의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일차 Iysosome의 융합에 의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으로 된 후, 결정상의 내부구조로 변형되었으며, 그 이후의 단계에서 multivesicular body형태의 이차 Iysosome을 형성하였다.

      • KCI등재

        인체 두피 모발에서 수질의 미세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장병수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모발 수질의 형태적, 미세구조적 특성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 였다. 수질은 모발의 중앙부위에 존재하며 모발의 장축을 따라 기부에서부터 정단부위까지 불연속적으로 존재한다. 또한, 수질은 일정한 모양으로 존재하지 않고 매우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다. 한 개의 모발에서 연속되는 수질의 두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모발의 가로 절단면에서 수질의 두께는 최고 21㎛로 측정되었고 세로 절단면에서 는 최고 27㎛로 측정되었다. 수질은 모발 직경의 1/3-1/4을 차지하고 있다. 수질은 각화된 수질형성세포의 거대원섬 유들이 분리되면서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수질에 형성된 빈공간은 최고 6.5㎛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로 채워져 있다. Morphological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uman hair medulla was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medulla is located in the central position of hair shaft and appear greatly variable forms which discontinuous shape arranged from hair root to apical portion according to longitudinal axis. The thickness of medulla from a single hair presented as very variable in size. The diameter of cross section of human hair medulla measured as 21㎛ and longitudinal section showed 27㎛. It grows up to 1/3 from 1/4 in diameter of human hair shaft. It appears emptied hole during separating of macrofibrils in the keratinocyte. The empty space measured 6.5 ㎛ in diameter as maximum size and it was filled with air.

      • SCIEKCI등재

        쌀 배유세포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미세구조

        장병수,이수정,김성곤,Chang, Byung-Soo,Lee, Soo-Jeong,Kim, Sung-Ko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6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4 No.3

        조생종 쌀인 오대벼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의 배유세포에 있는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외부형태 및 미세 구조의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배유세포는 긴 막대모양으로 세로 단면이 장방형 또는 마름모형을 하고 있고, 세포벽은 $0.5\;{\mu}m$의 두께로 균질한 막상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포내에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전분복합체가 치밀하게 채워져 있으며, 직경이 $18{\sim}25\;{\mu}m$로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였다. 전분복합체는 12면체 또는 14면체의 중앙 전분과립을 중심으로 약 $5\;{\mu}m$ 크기의 전분과립들이 동심원상으로 2 내지 3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유세포에서 단백질체는 호분층에서 보다 아주 드물게 관찰되었지만, 전분복합체의 주변에 인립하여 산재하고 있다. 단백질체는 직경이 약 $3\;{\mu}m$로 구형 또는 난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세구조적으로 중심부는 전자밀도가 높게, 한계막의 주변부는 비교적 전자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The ultrastructure of the compound starch granules and the protein bodies of Odaebyeo rice of early matured variety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and electron microscope. The endosperm cell appealed rectangular or octangular shape on the cross section. The thickness of cell wall containing of membraneous materials was about $0.5\;{\mu}m$ in diameter. The starch cell was filled compactly with globular or oval shaped compound starch granules with the size of $20{\sim}25\;{\mu}m$ in diameter. The compound starch granules were consisted of central core starch granule and concentrical $2{\sim}3$ layers of starch granule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tarch granules were about $5\;{\mu}m$. Most protein bodies were found in the aleurone layer The globular protin bodies were scattered near the compound starch granules and $2.5{\sim}3\;{\mu}m$ in diameter. The protein bodies composed of central electron dense materials and peripheral electron loose materials in limiting membrane.

      • 물리탐사 기법을 활용한 흙 종류에 따른 다짐 특성 분석

        장병수,민대홍,윤형구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6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 No.-

        The compaction test is performed with measuring elastic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to analyze changes in geophysical properties of elastic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soil types. Two samples of SW and SP, are constructed to derive a compaction curve for each sam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ction curve and geophysical properties is shown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seismic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ompaction experiment. SW is derived in a range with a smaller optimum water content than SP, and both samples showed the maximum compressional wave velocity at a water content smaller than the optimum water content for both samples. The measured shear wave velocity shows a large value in a slightly small or large range based on the optimum water content without a constant tre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showed the opposite result to the compaction curve as the resistance value increased as the water content increase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observe specific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because the experiment is conducted only with two types of SW and SP, it is thought that if more sample conditions are configured, the behavior according to the soil type can be analyzed.

      • 사질토 다짐에 따른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변화 분석

        장병수,민대홍,이승재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6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31 No.2

        사질토 다짐에 따른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및 탄성파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 다짐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짐 실험 진행에 따라 탄성파 속도 및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으며 다짐곡선에 따른 탄성파속도 및 전기비저항 그래프를 도출하였다. 탄성파 속도는 다짐 곡선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최적함수비에서 가장높은 속도를 보였다. 전기비저항은 다짐에 상관없이 함수비 증가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며 다짐 곡선과 상이한그래프 거동을 보였다. 전기비저항 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분 함량이 다짐에 따른 간극 감소 보다 전기비저항 변화에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탄성파 속도는 토립자 골격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며 최대건조단위중량을잘 반영하는 결과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탄성파 속도가 다짐 상태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며, 탄성파를 이용하여 다짐상태를 파악하고 최적함수비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