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를 통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효과

        장민영,박선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angladesh children’s right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content based on four children’s rights was delivered offline using a tablet PC. Study participants were 842 10- to 15-year-olds in eight regions across Bangladesh. The researchers sought to deter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differences among subjects’ personal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via a pre-test and post-test survey questionnaire on children’s perception of child rights which was given to participants before the start of the program an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respectively. The level of children’s perception was measured by a post-test. Paired t-test and two-independent samples t-test as well as one-way ANOVA and ANCOVA method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Bangladesh Children’s Rights Education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ligion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age, religion, sponsorship and ICT device experience. This study prov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ontinuous expans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s rights to promote the well-being of children around the world. In the case of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specially, the educational approach needs to reflect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country.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를 통하여 방글라데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글라데시 전 지역의 만 10세~15세 초등학생 842명을 대상으로 4대 아동권리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오프라인으로 담당 교사가 교육하였다. 연구문제는 전반적인 프로그램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로 아동권리 인식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아동권리인식에 관한 설문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사후검사를 통하여 변화된 아동권리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및 범주에 따라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공분산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방글라데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성별, 연령, 후원여부, ICT 기기 경험에 따른 집단별로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의 아동권리 인식이 증진되었다. 특히 종교 변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의 아동권리 인식이 변화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전 세계 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체가 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을 질적・양적으로 확대하여 운영해야 한다. 또한 공적개발원조를 통한 아동 대상 프로그램 지원 시 참여자의 개인적인 특성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부인종양확 : 진행된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서 2차 항암화학요법 후 측정한 혈청 내 CA 125의 의의

        장민영,이경은,조한별,채두병,송은섭,조남훈,남병호,김재훈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9 No.-

        목적: 진행된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수술 전, 후 및 각 주기의 항암화학요법 이후 측정한 혈청 내 CA 125에 따른 예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4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세브란스 및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병기 설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2c~4기를 진단 받아 6회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230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후 그리고 각 항암화학요법 3~4주 후 측정한 혈청 내 CA 125가 전체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자에 대한 정보는 의무기록을 조회하여 얻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항암화학요법 전 그리고 1차부터 6차까지 각 주기의 항암화학요법 이후의 CA 125를 측정한 뒤 4분위수를 기준으로 4그룹으로 나누어 알아보았을 때 전체 생존율에 대한 위험률 (Hazard ratio)은 1차 항암화학요법 이후 CA 125값이 하위 25% (CA125≤23.1)를 나타내는 그룹에 비해 상위25% (CA125>122.8)를 나타내는 그룹은 11.6배 증가하였고 (p<0.0001) 2차 항암화학요법 이후에는 하위 25% (CA125≤11) 그룹에 비해 상위 25%(CA125>33.1) 그룹의 위험률이 8.3배 높게 나타났다 (p<0.0242). 무병 생존율의 경우 1차 항암화학요법 이후 측정한 CA 125값이 상위 25%(CA125>122.8)일 경우 하위 25% (CA125≤23.1) 그룹에 비해 11.3배 (p<0.0001), 상위 50% (42.9<CA125≤122.8), 75% (23.1<CA125≤42.9) 그룹은 그 위험률이 각각 약 4배씩 (p<0.0001; p<0.0001) 증가하였다. 다변량분석 결과 2차 항암화학요법 이후의 혈청 내 CA 125와 1차 항암화학요법 이후의 CA 125는 각각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의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로 나타났고 (p<0.0001) 그 외에 전체 생존율에서는 복수양(p=0.0127) 및 6차 항암화학요법 이후의 CA 125가 (p=0.036), 무병 생존율에서는 잔여종양의 크기와 (p=0.0061) 복수양이 (p=0.0177)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임상병리적인 요인들은 예후인자로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진행된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1차 및 2차 항암화학요법 이후 측정한 혈청 내 CA 125는 각각 무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Sesamin에 의한 PC12 세포중의 Dopamine 생합성 촉진작용

        장민영,최현숙,이명구 한국생약학회 2010 생약학회지 Vol.41 No.3

        The effects of sesamin on dopamine biosynthesis in PC12 cells were investigated. Sesamin at concentration ranges of 20-75 µM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dopamine levels and tyrosine hydroxylase (TH) activities at 24 h: 50 µM sesamin increased dopamine levels to 132% and TH activities to 128% of control levels. Sesamin (50 µM)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TH,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PKA) and cyclic 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for 0.5-24 h. Sesamin (50 µM) also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TH and CREB for 3-24 h. In addition, sesamin (50 µM)associated with L-DOPA (50 and 100 µM) further increased the intracellular levels of dopamine for 24 h compared to L-DOPA al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samin enhances dopamine biosynthesis and L-DOPA-induced increase in dopamine levels by inducing TH activity and TH gene expression, which is mediated by PKA-CREB systems in PC12 cells. Therefore, sesamin could serve as an adjuvant phytonutrie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 KCI등재

        환경권 측면에서 영국의 청정화력발전 육성 법제 연구

        장민영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3

        It is regarded as a legal obligation, not a recommendation, that states take effectiv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s, including the UN and the EU, are approaching to climate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Therefore, state parties have positive lgeal responsibilit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order to guarantee human rights. Further, the environmental treaties, including the Kyoto Protocol and Paris Agreement, assign contracting parties specific and legal responsibilities in connection with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The United Kingdom promptly and positively responded to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UK enacted the Climate Change Act in 2008 and legalized carbon target which quantifies national goals in term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Considering that significant portions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come from energy, the UK have amended its energy acts and established a national framework to sup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ow-carbon thermal power plant technologies. Based on the relevant laws, the UK government have implemented multilateral polici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low-carbon thermal power plant: financial and legal ai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ow-carbon thermal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infrastructure development to help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ies, and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in the energy marke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ve provided various and consistent supporting projects for demonstration test in the field of low-carbon thermal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The UK's legal and administrative efforts to support low-carbon thermal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have recently produced remarkable results. As well as securing outstanding technological skills in the field of low-carbon thermal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the UK, by comparison with the 1990 emissions, achieved a 38%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201, exceeding the existing carbon target. The UK's legal system to promote low-carbon thermal power plant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Korean law in that recent greenhouse gas emissions of Korea have doubled in comparison to 1990. 현대 사회에 있어서 국가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입법적 및 행정적 조치를 취하는 것은 권고적 사항이 아니라 법적 의무로 여겨지고 있다. 사회권규약 및 유럽연합 기본권헌장 등 국제 사회의 인권규범체계는 기후 변화를 인권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는 인권 보장 차원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할 적극적 의무를 부담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쿄토의정서, 파리협약 등 일련의 국제적 합의를 통해 개별국들에게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영국은 이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가장 빨리 그리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2008년 기후변화법 제정을 통해 세계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량화 및 법제화하였다. 영국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의 상당한 부분이 에너지 분야, 특히 화력발전에서 기인되는 점을 감안하여, 에너지법 개정을 통해 청정화력발전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한 국가적 지원 제도를 입법화하였다. 관련 법령들에 근거하여 영국 정부는 청정화력발전 기술 육성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들을 추진하였다. 청정화력발전 기술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지원, 실용화를 위한 환경적 기반 구축 그리고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들을 마련·시행하였다. 특히 청정화력발전 분야에 있어서 실증 시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하고 체계적인 재정적 지원 프로젝트들을 꾸준히 운영하였다. 청정화력발전 지원에 관한 영국의 법적 및 정책적 노력들은 최근 주목할 만한 성과들을 산출하고 있다. 청정화력발전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음은 물론, 이를 토대로 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에는 1990년 대비하여 38% 감축되어 기존 목표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1990년 대비하여 하여 2배 이상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 우리에게 영국의 청정화력발전 육성 법제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