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성의 매개효과

        임효신,서현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cep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courage the stable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and facilitate their organization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9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7 kindergartens and 14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strengthened turnover intentions. Second,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weakened psychological receptivity. Third, psychological receptivi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weakened turnover intentions. Fourth, psychological receptivity was found to hav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The teacher's job stress is directly related to the teacher's turnover. At the same time, psychological acceptability partially mediate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se facts indic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deal directly with the stress of the job and at the same time need to deal with the causes of stress with an open mind.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안정적인 교육활동과 기관에의 적응을 돕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치원 7곳과 어린이집 14곳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99명이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회귀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정적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수용성과 부적상관을 형성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수용성은 이직의도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넷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수용성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의 이직과 직접적인 상관을 가지기도 하고 여기에 더해 심리적 수용성이 양자 간에 부분 매개를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직무스트레스를 대할 때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와 아울러 스트레스 원인에 대한 개방적 자세, 즉 심리적 수용성을 가져 관련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사헌신과 수업전문성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관계(친밀감, 갈등감)의 다중매개효과

        임효신,서현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3

        This study recog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devotion, teacher expertise,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intimacy, confli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urpose was investig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fin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333 pre-school teachers at 35 institution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Pusa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commitment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timacy, conflict), and the teacher's commitment to the teaching experti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effect of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intimacy, conflict) on class expertise, intim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expertise, but conflict was not related to class expertise.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devotion and class expertise, it was confirmed that intim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currently no active research between the teacher's dedi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in relation to them. It is meaningful that the rationale for the subsequent studies related to this has been established by verifying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헌신과 수업전문성,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교사헌신과 수업전문성과의 관계에서 유아-교사관계(친밀감, 갈등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P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35곳의 기관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최종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헌신은 유아-교사관계(친밀감, 갈등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헌신은 수업전문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관계(친밀감, 갈등감)가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밀감은 수업전문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갈등감은 수업전문성과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교사헌신과 수업전문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친밀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나 갈등감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유아교사의 교사헌신과 수업전문성간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와 관련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둘의 관계에서 유아-교사관계(친밀감, 갈등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임효신,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s among creativity,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tatus and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tatus between creativity and ego-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25,235 third grad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limited to agricultural, industrial and commercial high school. With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600 third grade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ampled for the study.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creativity scale, ego-identity scale,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scale and demographics. 570 out of 6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95%), of which 450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with and alpha level of 0.05 to establish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7.0 statistics pack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nalysis: 1)The level of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nd 8 sub-scales were also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except for perseverance and independence scale. After conducting ANOVA or t-test, the level of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types of vocational high school, domestic economy level, types of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2)The level of ego-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nd 6 sub-scales were also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fter conducting ANOVA or t-test, the level of ego-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types of vocational high school, gender, domestic economy level, types of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3)career decision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fter conducting ANOVA or t-tes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types of vocational high school, gender, domestic economy level, types of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4)ego-identity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5)career decision status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6)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and ego-identity was not moderated by career decision status except for imagination scale which is a character of creativity.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그리고 창의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아정체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125,235명으로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의 계열비율을 고려하여, 유층표집하여 총 600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불성실 및 무응답 질문지를 제외한 450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 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유의미성을 판별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계열, 가정경제 수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의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계열, 성별, 가정경제 수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보통이며, 계열, 성별, 가정경제 수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은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아질수록 창의성의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진로결정수준은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수록 창의성의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정체감 하위요소들과 창의성의 하위요소 중 하나인 상상의 관계에 있어서는 진로결정수준의 조절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심리·행동통제와 자녀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임효신(Lim hyoshin),서현아(Seo hy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어머니의 심리·행동통제와 자녀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한 유치원 6곳과 어린이집 10곳에 재원중인 242명의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회귀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 심리통제는 낮을수록 정서표현성은 높아지고,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정서표현성이 높아졌다. 다음으로 어머니 심리통제와 행동통제는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정서표현성은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심리통제와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행동통제와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에서도 정서표현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emotional dis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behavioral control and young children s emotional regulation. Data were gathered from 242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six kindergartens and 10 daycare centers that were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emotional expressivity became better when there was les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expressivity became better when there was more behavioral control. Nex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Maternal emotional expressivity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emotional expressivity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d that emotional expressivity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control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s well.

      • KCI등재후보

        “境由型生”-視覺傳達設計的本土化意境表達

        임효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The diversified characteristic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ut more emphasis on embodying the regional culture and the spirit of the age. Being simple and pure, it conveys feelings and ideas from its modelling. Multielement is good, what is more, difference is rare. Today, with the vigorous promotion of diversity and compatibility, it is essential for us to carry forward the precious fine tradition of unique of all nationalities. Ideal condition that has been regarded as the highest aesthetic pursuit by artists, is a core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and artistic creation. The native expression of ideal condition-"ideal condition develops from modelling" then is a discriminative and distinct native cultural endurance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of the day and an important way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sign culture. 視覺傳達設計的多元化構成特徵,更多的體現了區域文化和時代精神,視覺傳達設計簡單純粹,是通過造型傳情達意的設計藝術形式。美在多元、貴在差異,在呼喚多樣性和相容性、共生性的今天,各民族獨特的優秀傳統彌足珍貴,更需要我們發揚光大。意境是中國傳統美學和藝術創作的一個核心問題,被藝術家視為最高的美學追求,“境由型生”的本土化意境表達,是視覺藝術由形式美上升為精神美的昇華和飛躍,是當代視覺傳達設計體現區別於他者的、獨特的本土文化承擔,這也是推動設計文化可持續發展的重要途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