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박흥식,최진우,제종길,Lim, Hyun-Sig,Park, Heung-Sik,Choi, Jin-Woo,Je, Jong-Geel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1

        남해안에 위치한 앵강만의 저서동물 군집 구조파악을 목적으로 1994년 10월, 1995년 1월, 5월 및 8월에 앵강만 내에 18 개 정점을 설정하고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233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90 종, 갑각류가 66 종 및 연체동물이 46 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358 개체/$m^2$였으며, 다모류가 874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전체 밀도의 64%를 차지하였다. 습중량은 262.0 gWWt/$m^2$였으며, 극피동물이 137.8 gWWt/$m^2$로서 전체 습중량의 52.6%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 밀도 및 습중량은 앵강만 동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서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석회관갯지렁이인 Ditrupa arientina, 실타래갯지렁이류인 Tharyx sp. 그리고 굴족류인 Fustaria nipponica였는데 각각 밀도가 245 개체/$m^2$, 166 개체/$m^2$ 및 132 개체/$m^2$였다. D. arientina와 F. nipponica는 앵강만 입구역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Tharyx sp.는 앵강만 중앙부 해역에서 밀도가 높았다. 집괴분석 결과 앵강만은 내만에 1 개 정점군, 만 중앙부에 2 개 정점군, 그리고 만 입구에 2 개 정점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앵강만의 저서동물 분포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Aenggang Bay,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ampling was performed seasonally using van Veen grab from October 1994 to August 1995. A total of 233 species occurred; polychaetes accounted for 90 species, crustaceans 66 species, and mollusks 46 specie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was 1,358 ind./$m^2$, and polychaetes accounted for 64% of total abundance with its density of 874 ind./$m^2$. Mean macrobenthic biomass was 261.96 gWWt/$m^2$, and echinoderms accounted for 52.6% of total biomass with its biomass of 137.76 gWWt/$m^2$. Dominant species were a serpulid worm, Ditrupa arientina (245 ind./$m^2$), a cirratulid worm, Tharyx sp. (166 ind./$m^2$), and a scaphopod Fustaria nipponica (132 ind./$m^2$). Ditrupa arientina and Fustaria nipponica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mouth of Aenggang Bay, whereas Tharyx sp. showed its high densit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ay. The study area showed a regional difference in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biomass; the eastern region of the bay sustained relatively more abundant and richer macrobenthos than the western par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5 regions by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macrobenthos; the inner bay, two central regions, and two mouth areas of the bay.

      • KCI등재후보

        기획주제: 현대 기독교철학과 미학 : 흔들림의 미학적 가치에 관한 고찰 -기독교음악학의관점에서-

        임현식 ( Hyun Sik L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3 기독교철학 Vol.17 No.-

        본고의 목적은 기독교음악학의 관점에서 흔들림의 미학적 가치를 고찰하는데 있다. 오늘날에 흔들림의 의미는 물리적, 심리적 측면 모두에서 대부분 부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흔들림은 음악적 아름다움의 물리적인 토대가 될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미적 가치를 인식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모든 존재는 흔들림으로 존재하며 흔들림의 과정을 통해 불완전한, 그렇지만 균형적인 현재를 유지한다. 따라서 흔들림의 과정을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인정함으로써 물리적, 심리적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흔들림의 미학적 가치에 관한 고찰은 과학적, 이성적 지식에 비하여 열등한 것으로 여겨져 왔던 예술적, 감성적 지식의 가치를 회복시키고, 시각적 판단에 의해 소외되었던 청각적 관점에 대한 새로운 조망의 기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aesthetic value of wavering in the view of Christian musicology. The meaning of wavering is using as negative meaning in both sid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way. However, wavering in the view of the aesthetic is not only could be a physical foundation of musical beauty, but also an imperative process to recognize an aesthetic value in psychological way. Nothing exists without shaking and it maintains the balance through imperfectible wavering. Thus, it need to improve elasticity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y recognize that a process of wavering is an imperative phenomenon. Consideration the view of aesthetic value of wavering provides a chance of new prospect of an auditive view which used to be excluded from optical judgment, and recover knowledge of an artistic and emotional value which considered as an inferior thing than the scientific and rational knowledge.

      • 교회음악의 정체성에 관한 소고

        임현식 ( Hyun Sik Lim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5 기독음악·문화 Vol.1 No.1

        오늘날의 교회음악에 대한 정의들 대부분은 교회음악이 가지고 있는 매우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포괄한다는 면에서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그 내용이 과도하게 포괄적이어서 교회음악의 정체성 확립이나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분명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서로 다른 음악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반목과 대립의 단초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회음악 정체성 확립의 근본적인 토대가 될 수 있는 교회음악의 정의는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는 다원화된 패러다임이 공존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교회음악의 정체성 부재가 가져온 문제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찬양의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교회음악의 정의에 포함되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Most of the definitions of today``s church music seem to have validity in that the definitions embrace a wide variety of diverse contents and forms of church music. However, the contents are so excessively comprehensive that such definitions have a problem resulting from the failure to clearly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church music, or directivity for church music to pursue, and such an aspect works actually as the beginning of enmity and conflict between the people having separate musical backgrounds. Hereupon, this paper is aimed at seeking what the definition of church music, which could become a basic found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church music, really is. For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is going to look into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identity of church music in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en the multi-layered paradigms are co-existent, and discuss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a praise, and what are the concrete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church music`` in order to make realistic alternative ways to cope with the problems.

      • KCI등재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의 시 공간적 양상

        박흥식(Heun Sik Park),임현식(Hyun Sig Lim),홍재상(Jae Sang Hong)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benthic environments and macrobenthos on the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Seasonal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similar to the bottom layer, but freshwater discharges into the outlets decreased the surface salinity around the dyke in summer. Bottom dissolved oxygen was decreased deeply around the dyke and created the de-oxygenated layer during summer. Sediment grain size was consisted of finer at the neighboring of the dyke than the mouth of the bay. Organic matters including the sediment were decreased at the mouth of the bay. A total of 311 species (769 ind./㎡) were identified. Polychaetes were the most abundant faunal group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ies. The number of species revealed the spatial patterns that it was higher in the mouth of the bay, and their densities showed seasonal changes by mass recruitment occurred at the most of the area in summer. At this time, opportunistic species, Lumbrineris longifolia and Theora fragilis, were also recruited massively. Chonsu Bay were classified into five station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The dominant species around the dyke were composed to opportunistic species, those in middle area were Sternaspis scutata, Paraprionospio pinnate, and those in the mouth of the bay were Mediomastus californiensis, Nephtys polybranchia. Seasonal fluctuations and spatial difference of environments seem to have influenced to the species compositions and affected to the stability of benthic ecosystems spatial-temporally in Chonsu Bay.

      • KCI등재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제종길,이재학,임현식,최진우,Je, Jong-Geel,Lee, Jae-Hac,Lim, Hyun-Sik,Choi, Jin-Woo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본 연구는 강릉 연안역의 사질퇴적상에 서식하는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보기 위해 1993년 4월부터 1994년 2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전체 출현종수는 봄철에 109종으로 가장 많았고, 겨울철에 7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다모류가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고,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이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다. 전체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여름철에 1,995개체/m$^2$로 최대치를 보였고,가을철에 631개체/m$^2$로서 최소치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주요 우점종은 전 계절에 걸쳐 점하였던 다모류의 Spiophanes bombyx를 포함하여 Prionospio sp., 연체동물의 Alvenius ojianus, 갑각류의 Wecomedon sp.와 Urothoidae spp.였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해역의 저서동물은 크게 수심이 얕은 연안역과 수심이 깊은 외해역으로 구분되어져 수심에 의해 군집조성이 달라짐을 보였다. 그러나 가을철과 겨울철의 경우에는 남대천과 군성강 등 소규모 하천 주변해역에서는 외곽의 해역과는 군집조성이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os in the subtidal sandy bottoms of the east coast of Korea, and seasonal samplings were performed from April 1993 to February 1994. The species number of macrobenthos was in the range from 70 in winter to 109 in spring season. Polychaete worm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but mollusks showed the highest biomas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fluctuated from 631 individuals/m$^2$ in autumn to 1,995 individuals/m$^2$ in summer. The major macrofauna in abundance were polychaetes, Spiophanes bombyx which occurred all seasons with top rank and Prionospio sp. and a mollusk, Alvenius ojianus, and crustaceans, Wecomedon sp. and Urothoidae spp. were also numerically dominant macrobenthic fauna. The macrobenthos in the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wo assemblages by water depth. However, they showed a different community structure near small rivers in autumn and winter seas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