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산림복원의 생태계 서비스 기반 경제적 가치평가

        임철희,최현아,Lim, Chul-Hee,Choi, Hyun-Ah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북한 산림복원을 생태계 서비스의 관점에서 비용-편익 기반 경제적 가치로 확인하였고, 산림복원 형태에 따른 경제성을 비교하였다. 특히 산림복원에 따른 편익을 탄소저장, 수자원공급, 토양유실방지, 재해저감 등 생태계 서비스로 분류하고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여 종합적 편익을 산출하였다. 산림복원 시나리오에서는 최근의 북한 조림실적과 산림정책을 고려하여 '단독조림 시나리오'와 '산림협력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동일한 복원기간이나 조림의 양적 물량 차이를 시나리오로 도출하였다. 단독조림 시나리오에서는 향후 20년 동안 3조 8,294억원의 비용으로 80만 ha의 산림을 복원하여 6조 8,684억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산출되었다. 순현재가치로 경제성을 평가하였을 때, 3조 390억원으로, BCR은 1 이상이었다. 산림협력 시나리오에서는 10조 531억원의 비용으로 220만 ha의 산림을 복원하여 18조 8,909억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산출되었다. 마찬가지로 순현재가치로 경제성을 평가하였을 때, 8조 3,599억원이며, BCR은 1 이상이었다. 두 시나리오에서 모두 BCR은 1 이상으로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나, 예상되는 편익의 양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다만, 조림면적에 따른 단순화된 비용-편익 분석이므로, 경제성(BCR)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한계가 있으며, 조림속도나 생물리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림복원은 비용보다 편익이 높은 사업이 될 수 있으며, 산림협력을 통해 그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경제성이 근거가 되어 기업과 국제·민간기구 등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산림협력이 추진되길 기대한다. To attain the long-term benefits of forest restoration in North Korea,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economic value of reforestation. This study as aimed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based on cost-benefit analysis from the ecosystem services perspective. The benefits of reforestation were classified into ecosystem services such as carbon sequestration, water supply, soil erosion control, and disaster risk reduction, and were converted into economic values to calculate comprehensive benefits. In the forest restoration scenario, an "independent forest restoration scenario (IFS)" and a "cooperation-based forest restoration scenario (CFS)" were composed in consideration of recent afforestation performance and forest policy, and the difference in the quantity of afforestation was derived as a scenario despite the same restoration period. In the IFS, it is estimated that over the next two decades, 800 thousand ha of the forest will be restored at a cost of KRW 3,829 billion, resulting in a benefit of KRW 6.87 trillion. The present benefit net value is KRW 3,39 trillion. In the CFS, it is estimated that the benefits of KRW 18,890 billion will be generated by restoring 2.2 million ha of the forest at a cost of KRW 10,053 billion. The present benefit net value is KRW 8,359 billion. In both scenarios, BCR had an economic feasibility value greater than 1, bu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expected benefits. In conclusion, forest restoration can have higher benefits than cost, and its value could be enhanced through forest cooperation.

      • 북한의 환경현안 개선을 위한 지속가능한 협력방안 : 국제사회의 대북지원사업이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임철희(Lim, Chul-Hee),최현아(Choi, Hyun-Ah)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1 한반도미래연구 Vol.5 No.1

        현재의 기후위기 상황에서 북한의 환경현안은 식수위생, 식량안보, 영양, 보건서비스 등과 연관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국제적 지원과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지속적으로 북한 당국과 교류협력을 진행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지원 사업의 경우를 보면, 환경을 주제로 습지 보호와 현명한 이용, 산림 복원 등 자연환경과 식량안보와 식수위생 등 정주환경 개선과 연결하여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대북지원사업 활동과 대북제재 면제 현황을 분석하여 가까운 미래 진행 가능한 북한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전 북한 현지에서 대북지원사업을 진행한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북한 주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을 분석하였다. 대표적으로 유럽연합의 지원 사업은 북한 내 파트너기관과 상호교류와 함께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면서 취약계층 지원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북한과의 협력은 인도적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취약 환경 개선사업을 국제사회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지원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때, 국제적 이슈인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대응과 물 문제 해결 등을 연계하여 북한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지속가능한 남북협력, 특히 환경협력 분과를 준비함에 있어서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ssue of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is linked to the deteriorating food security, nutrition, and health services in North Korea.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it needs to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society. The North Korean project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wetland conservation and wise use, forest restoration for natural Environment and food security, water and sanitatio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ject in North Korea supported by European NGOs, locally known as European Union Project Support (EUPS) before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suggested ways to cooperate with North Korea. The project is small-scale project implemented by EUPS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for the country’s most vulnerable people. The EUPS also works with the government to implement regular monitoring to ensure aid reaches the most vulnerable. This study proposed implementation strategies related to water issue and its cooperation in North Korea for the foreseeable future. It needs a network to promote multilateral cooper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issues such as disaster risk reduction and climate change.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epare the sustainable cooperation plan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

        안동댐 유역 기상인자의 시공간분포 추정

        임철희(Lim, Chul Hee),문주연(Moon, Joo Yeon),임윤진(Lim, Yoon Jin),김세진(Kim, Sea Jin),이우균(Lee, Woo K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안동댐 유역을 대상으로 수문기상 정보의 조밀한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수문기상에서 나타나는 시계열적 공간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설치·운영하고 있는 낙동강 상류 안동댐 유역의 수문기상 관측소 7곳의 기상정보와 인근 두 곳의 종관기상관측소(ASOS)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기반한 Semi-Variogram을 추정하여 시공간분포를 확인하였다. 유역에서 변이성을 관찰할 수 있는 기상요소인 온도와 습도를 시간과 각 월에 따라 분석하였다. 계절에 관계없이 온도의 경우 14시, 습도의 경우 10시에 가장 균일한 공간분포를 나타내고, 18시에 온도와 습도 모두 가장 불균일성이 높게 확인되었다. 월별 공간분포에서는 온도의 경우 1월에 가장 불균일하였고, 9월에 가장 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습도의 경우 5월에 가장 불균일하고, 1월에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문기상에서는 일반 산림에서와 달리 계절적 공간분포특성이 적게 나타나며, 온도와 습도가 각각의 특성을 보이는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time series spatial distribution on climate factors in Andong Dam basin by estimating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A spatio-temporal distribution by estimating Semi-Variogram based on spatial autocorrelation was examined using the data from ASOS and 7 hydro-meteorological observatories in Andong Dam basin of upper Nakdonggang River, which were installed and observed by NIMR(National Institute of Meterological Research). Also, temperature and humidity as climat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is a variability in watershed area by time and months. Regardless of season, an equal spati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t 14 o"clock and humidity at 10 o"clock was identified, and nonequal distribution was noticed for both variables at 18 .o"clock. From monthly spatial analysis, the most unequ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was seen in January, and the most equal distribution was detected in September. The most unequal distribution of humidity was identified in May, and the most equal distribution was seen in January. Unlike in forest, seasonal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less apparent, but temperature and humidity had respective characteristics in hydro-meteorology.

      • KCI등재
      • KCI등재

        외화면과 내화면, 두 영화 공간의 변증법

        임철희(Lim, Chul-Hee)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7

        어느 특정 영화작품이나 작가의 성향이 고전적 또는 현대적이라고 인식하는 문제는 영화사의 선형적 흐름에 기초한 통시적 맥락에서 접근해야할 부분은 아니다. 모더니즘 예술이 기존의 것과 근본적인 미적 단절을 전제한다면 여기에는 매체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영화의 ‘현대성’을 논의한다는 것은 곧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사유와 성찰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더니즘 영화는 할리우드로 대변되는 고전 영화의 주류적 관습과 전통적 양식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영화 언어와 형식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던진다. 현대영화작가들 중에서 오즈 야스지로가 흥미로운 것은 그의 영화적 스토리텔링과 이를 다루는 방식 때문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겪는 가족의 해체와 전통의 붕괴를 그려내는 그의 이야기들은 이 일본작가를 보수적 전통주의자로만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게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를 영화에 담아내는 그의 방식은 전통적이거나 관습적이라기보다는 급진적이고 혁신적이다. 이는 곧 오즈 영화의 현대성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오즈 야스지로의 첫 유성영화 <외아들 一人息子>(1936)을 중심으로 외화면과 내화면, 두 영화 공간이 어떻게 조응하면서 서사 안으로 개입하여 영화적인 스토리텔링을 구축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외아들>에서 외화면은 내화면과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는다. 비가시적 공간인 외화면은 단순히 프레임 밖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내화면과 상호작용을 통해 활성화된다. 영화에서 초점의 심도범위는 사진적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사운드의 실험적 배치는 청각적 매개변수로 작동하면서 외화면과 내화면이 변증법적으로 영화공간을 구성하도록 만든다. <외아들>에서 내화면의 시청각적 요소들은 외화면의 단면들을 활성화시키고, 또한 한편으로 외화면의 그것들은 비어있는 내화면을 유기적으로 채우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외화면과 내화면의 관계는 영화 공간을 확장하고 서사의 밀도를 풍부하게 만든다. 모더니즘 영화에서 주제와 형식을 두고 어느 것이 우선순위에 있는가라는 질문보다 중요한 것은 주제가 형식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아들>을 보면, 영화의 주제가 형식과 유기적으로 관계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작가의 끊임없는 영화적 실험과 실천이 자신만의 독자적 영화미학을 일구어 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영화형식에 대한 작가의 치열한 사유는 영화의 시간과 공간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영화를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세심하게 읽어야하는 예술로 승화시킨다. 오즈 야스지로가 현대 영화의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When one talks about that a film director’s artistic tendency is traditional or modern, it is less necessary to consider a diachronic approach based on the linear flow of the film history. If the modernism art means the premise of a fundamental aesthetic disconnection to previous works, it will be more important to consider the artist’s perspective on a medium. From this viewpoint, a discussion on the modernity of the film requires to look at the director’s cogitation and introspection about the cinema. Therefore, the modernism film could be understood as creative efforts and experiments to keep a distance from cinematic conventions. In other words, this is substantial question on the film language and form. For the case study of the modern film, this thesis focuses on Yasujiro Ozu’s The Only Son which is his first sound film produced in 1936. Even though the film is Ozu’s first talkie, it shows radical and innovative film style which does not follow the conventional one. In The Only Son, off-Screen space is as important as on-screen space for the diegesis space and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is, there exists the dialectic between two film spaces. In the film, the depth of a focus acts as photographic parameters while the experimental use of sound does as auditory parameters. With the use of audiovisual elements, the off-screen space is activated by interacting with the on-screen space, and vice versa. Possible off-screen action and sound fill the empty screen space. From The Only Son, one could notice that the film subject organically relates to the film form. It denotes that the auteur’s film practice has resulted in his own film aesthetics. The artist’s cogitation about the film form and style extends the time and space of the film. Ozu film’s modernity requires that the film has not to be seen but to be read.

      • KCI등재

        Semi-Variogram을 이용한 소규모 자연휴양림 내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 분포 추정

        임철희 ( Chul Hee Lim ),유동훈 ( Dong Hoon Ryu ),송철호 ( Chol Ho Song ),주용언 ( Yong Yan Zhu ),이우균 ( Woo Kyun Lee ),김민선 ( Min Seon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3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산림치유를 위해서는 산림 내 기상조건의 시공간분포를 기초로 활동시간 및 공간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에 기상관측 장비를 설치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기상자료의 정밀 시공간 분포를 파악하여 산림휴양·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Semi-Variogram을 추정하는 네 가지 모형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Circular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Circular 모형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Circular 모형으로 추정된 총128개의 Semi-Variogram을 통해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온·습도의 공간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tial Sill 값으로 표출한 Boxplot을 통해 보다 확연한 계절 및 시간대별 분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온·습도가 모두 균일한 미기상 공간분포를 보였고, 여름과 이른 오후에는 온·습도 모두 불균일한 결과를 보였다.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산림활동 시 공간의 이동에 따른 기상조건 변화가 적으므로, 휴양과 치유에 보다 긍정적일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불균일한 여름철과 이른 오후 시간에는 기상조건에 따른 위험이 따를수 있으므로 별도의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 곳의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사계절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계절별, 시간대별 세부적인 결과를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As forest therapy is getting more attention than ever, it is important to organize time for activity and location based o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in fores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by installing long-term weather monitoring device in Yonghyun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using acquired weather data in order to support forest recreation and therapy activity. First, we statistically compared 4 models of semi-variogram and the results were all similar. We selected and analyzed the circular model for this study because it was presumed to be the best model for this case. We derived 128 results from the circular model and through semi-variogram, we identified season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Then, we used boxplot, made of partial sill level,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son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s a result, in spring and early morning,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showed equalized result. On the other hand, in summer and early afternoon,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showed uneven result. In spring and early morning, changes in weather condition are shown little from spatial shifting, it is ideal to perform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orest therapy but in summer and early afternoon, it is unadvisable to do so as the changes in weather condition could be harmful unless any other means of preparations are made. This study proposes its significance by analyzing seasonal micro-weather of single recreation forest and presenting seasonal and temporal outcom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화공간의 사유

        임철희(Lim, Chul-Hee)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8 씨네포럼 Vol.0 No.30

        본고는 일본 전통건축공간의 반 고정성에 따르는 잠재적 개방성이 미조구치 겐지의 영화공간에 적용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이것은 전통적 문화공간이 영화의 공간과 조응하는 방식을 감독의 미적 사유를 경유하여 살펴보는 작업이다. 일본 건축공간에는 전체와 부분의 관계가 가변적인 특성이 내재한다. 이로 인해 공간의 내부와 외부 그리고 중심과 주변의 관계는 유동적이 된다. 미조구치는 이러한 일본 건축공간의 경계적 특성을 영화적으로 잘 활용한 감독이다. 본고에서는 감독의 영화적 성숙기라고 할 수 있는 1950년대 후기작품을 위주로 이 점을 고찰하였다. 일본 건축공간의 가장 주요한 특성으로서의 잠재적 개방성은 미조구치 영화에서 서사의 흐름과 상황에 따라 인물의 정서를 제시하고 그의 현실을 환유하는 밑그림이 된다. 감독은 이러한 공간을 롱 테이크와 롱 쇼트, 딥 포커스 등과 같은 리얼리즘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냉철하게 조망했다. 여기에 카메라 움직임이 결부되면서 미조구치 영화공간의 내화면과 외화면의 관계는 유기적으로 된다. 이러한 관계성의 미적사유는 결과적으로 영화공간의 밀도를 충만하게 만든다. 건축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활용한 미조구치 영화공간의 확장은 인간의 삶과 현실의 중요한 세부들을 섬세하게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 그러므로 미조구치에게 건축공간의 영화적 재현은 삶의 공간을 영화의 공간 안으로 옮기는 일이다. 공간을 관찰하고 그것의 의미를 찾는 일은 인간에 대한 작가의 시선과 삶에 대한 태도가 투영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결국 감독의 세계관이 표출되는 방식을 지시하는 것이며, 작가의 사유가 탁월한 미장센의 언어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atent openness of traditional Japanese architectural space is applied to Kenji Mizoguchi’s cinematic space. The Japanese architectural one has a characteristic which is that the whole and the part of the space are variable. Because of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an be flexible. This study focuses on Mizoguchi’s 1950s film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inematic maturity of the director. The latent openness as the nature of the Japanese space culture helps the narrative to depict the character’s reality and emotional state. The architectural space in his film is presented by realism film techniques such as long take, long shot and deep focus. This is intended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value of life through the hardships and sacrifice of a character. Mizoguchi’s camera movement tends to combin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pace. In addition, horizontal lines, vertical lines, and surfaces of the architectural space shown by the camera movement consequently create the graphic formality of the frame. Eventually, the latent openness of the architectural space expands the film space, which means that the off-screen becomes dynamic. Mizoguchi’s framing represents an aesthetic thought on how to construct the cinematic space from a consideration of how to utilize the architectural space as the place of film narrative. The world view of the director is expressed by his film technique and style. It includes an auteur’s cogitation about the language of mise-en-scè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