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망매가(祭亡妹歌), 보살(菩薩) 수행(修行)하는 망매(亡妹)의 마음을 그려낸 노래

        임주탁 한국문학회 2024 韓國文學論叢 Vol.96 No.-

        이 논문은 개인 서정시를 읽는 일반적인 독법 곧 화자를 작가와 등치하는 방식을 따르는 <제망매가>의 독법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텍스트 속 화자를 ‘망매’와 등치하는 방식의 독법이 텍스트의 맥락에 더 부합한다는 사실을 논증해 본 것이다. 특히 균여(均如)의 <원왕가(願往歌)>의 맥락을 통해 후세 성인(聖人)의 도덕률과 감각을 체현한 작가에 의해 지어지는 향가(鄕歌)가 작가 자신의 마음이 아니라 독자 혹은 청자의 마음을 그려내기도 했음을 근거로, 향가 텍스트 속 화자를 작가와 등치하는 방식을 따르는 독법이 항상 참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고, <제망매가>가 월명사의 마음을 바로 그려낸 노래가 아니라 보살 수행을 하는 ‘망매(亡妹)’의 마음을 그려낸 노래로 읽을 가능성을 탐색했다. 결과적으로 <제망매가>는 ‘보살(菩薩, bodhisattva) 수행을 하는 망매’의 마음을 그려낸 노래로 읽을 때 의미론적 통일성이 좀 더 분명하게 파악될 수 있었다. 월명사는 그런 노래를 망자와 실제로 만난다고 믿어진 의례인 제례에서 종이돈처럼 ‘망매’에게 쥐여주어, ‘망매’가 아미타 정토에서도 아미타 보살이나 승만 부인의 중생(衆生, sattva) 구제 서원을 자기 서원으로 내세우고 수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중생에게 남겨 ‘망매’가 그런 보살로 기억될 수 있도록 지은 것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독법이 텍스트를 사성제(四聖諦, catvāri āryasatyāni)의 단계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거나 회향(廻向, pariṇāmanā)의 노래로 해석한 선행 독법이 포함하고 있는 오류, 곧 사성제나 회향의 수행 주체를 월명사로 봄으로써 불교적 용어의 개념을 왜곡하는 오류를 바로잡고 <제망매가>에 대한 좀 더 핍진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essay raises issues with the general reading of individual lyric poetry, that is, the reading of “Jemangmaega 祭亡妹歌,” which follows the way of equating the speaker in the text with the author, and demonstrates that the reading of equating the speaker in the text with its reader or listener, ‘Mangmae 亡妹,’ is more in line with the context of the text. Based on the context of “Wonwangga 願往歌” by Gyunyeo 均如, it draws the fact that Hyangga 鄕歌 pieces, which were been made by, in particular, writers who embodied the morality and senses of the later Saints including Buddha used to depict the mind of readers or listeners, not the mind of the authors drew the mind of readers or listeners, confirms that the reading of equating the speaker in the text with the writer is not always true,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ading the text as a song that depicts the mind of ‘Mangmae’who practices Bodhisattva precepts rather than a song that depicts the mind of the author, Wolmyeongsa 月明師.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the semantic coherence could be more clearly understood when we read “Jemangmaega” as a song that depicts the mind of “Mangmae who is practicing Bodhisattva precepts.” It implies that Wolmyeongsa gave the song like paper money to ‘Mangmae’in the ritual where it had been believed that living people could actually meet the dead. The song seems to have been designed as song that left to the people so that ‘Mangmae’ would be remembered as a Bodhisattva who practiced Amitā Bodhisattva 阿彌陀菩薩 or Queen Śrīmālā 勝鬘夫人’s vow as its own vow in the Amitā Pure Land. This reading is expected to help correct the errors of the preceding readings, analyzing the text according to the step-by-step procedure of the catvāri ̄ryasii 四聖諦 (Four Noble Truths) or interpreting its meaning as a song of parin ̄man̄a 廻向 (Gaining Buddhist Merit), in which the such Buddhist concepts are misunderstood because of equating the speaker in the text with the writer.

      • KCI등재

        우탁 시조 작품의 창작 맥락과 함의

        임주탁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이 연구는 우탁(1262-1342) 시조 작품의 창작 맥락을 추론하여 창작 의도 를 새로이 해석한 것이다. 우탁의 시조 작품을 3편으로 비정한 다음, 3편의 작품이 다루고 있는 늙음의 문제를 인간이면 누구나 사유하는 상으로 환 원하여 접근했던 방법을 지양하고 작가의 정치적 행보와의 연관성 속에서 창작 맥락을 추론하는 방법을 적용하다. 언어 텍스트 분석을 통해 세 작품 이 사뭇 다른 정서를 아울러 함축하고 있으면서도 상호 연관성을 지니고 있 음을 확인하고, 우탁의 정치적 행보에서 각 작품에 함축된 정서를 가졌을 법한 시기를 추정하다. 그 결과 실제로 늙음의 문제가 보편적 사유의 상 이 아니라 우탁이 자신의 정치적 행보의 결정에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던 문제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의 정치적 행보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한 타자의 공감이 필요할 때마다 시조 작품을 통해 사회적 소통을 시도하음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확인과 추론을 바탕으로 3편의 작품에 함축된 작가의 창작 의도를 새로이 해석했다. 첫째, 시조 < 손에>는 “한 손에 도끼들 들고 한 손에 상소를 들고” 충선왕의 폐행을 극간(極諫)했던 우탁이 늙음을 명분으로 내세 워 관직에서 물러나고 또 충숙왕의 재소환에도 응하지 않은 정치적 행보를 합리화하려는 의도를 함축하고 있다. 젊은 시절의 행동에 한 자기 패러디 를 통해 극명하게 비되는 늙은 시절의 무기력한 모습을 자기 패러디를 통 해 우스꽝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행보를 합리화하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시조 <춘산(春山)에>는 연로(年老)를 관직에 나 가지 않는 명분이라고 천명했던 우탁이 다시 관직에 나가고자 결심했던 시 기에 사회적으로 소통하는 차원에서 창작되었다. 이전과는 상반되는 자신의 정치적 행보를 합리화하고 그 선택에 해 타자들도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시조 <늙지>는 시조 <춘산(春山)에> 에서 나타낸 자신의 의지 표명에 한 자기 패러디를 통해 늘그막에 의리지 학의 실천을 추구했던 정치적 행보가 실제적으로 부적절한 판단이었음을 솔 직히 인정하고 젊은이들에게 부끄러운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자기 합리화를 꾀하는 의도를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 결과는 작가 문제를 확정적으로 해결할 만큼 관련 정보가 충 분하지 않고 우탁의 행적이 연기적으로 온전하게 복원할 만한 정보가 충 분하지 않아 상당한 전제를 안고 있기는 하지만 작가 문제와 우탁의 연기 적 행적에 한 논의가 실상에 다가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편의 시조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늙음의 문제가 인간 보편의 사유 상이 아니라 우탁에게 각별한 의미를 가지는 문제이었음과, 3편의 시조 작품의 함의가 우탁이라는 인물의 정치적 행보와의 관련 속에서 유기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작품에 한 논의를 확·심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life of U Tak (1262-1342) by interpreting the context in which he wrote his Sijo works. Three works were selected which linked the issue of aging and U Tak’s political life and actions. The first poem “ Han Sone Gasi Deulgo ” (Taking a thorn in one hand), a self-parody, implies U-Tak’s intention to rationalize his early retirement from political office. He once had been faithfully devoted to King Chungseon, “holding an ax in one hand and an appeal in the other hand” but he resigned from his government service by declining the next King’s request for reinstatement on the basis of his old age. The second poem “ C h u n s a n e N u n N o g i n e u n B a r a m ” (The wind melting snow of mountains in the spring) restates U-Tak ’s reason of old age for not reentering into government service however it also implies he later changed his mind and wanted to return to his position but by that time he was too old. The third poem “ N e u l kji M a l r e o i g o ” (Trying not to get older) contains U Tak’s admission that practicing Neo-Confucianism was not appropriate and expresses a sense of guilt through self-parody in “ C h u n s a n e N u n N o g i n e u n Baram ”. Based on the text analysis, the author expresses different feelings at different stages in his political life and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U-Tak tried to communicate with readers in the form of poetry when he needed some social sympathy to justify his political actions.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accurately plot U Tak’s life chronologically it does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his writing through his issues surrounding aging. This study also provides contributions to the literary discussion by interpreting these three poems in more multilateral view in the way of connecting the undertones with the author’s political actions.

      • 鄕歌 전통에서 본 <思母曲>의 主題

        임주탁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3 한국민족문화 Vol.21 No.-

        In general, we are appreciating that the theme of work Samo-gok whould be missing of mother because which word could be translated as 'song of missing mother' and that the work could have been transmitted in the period of Goryeo(考慮) and Choseon(朝鮮) Dynasty because its theme was corresponding to their ethics. However the theme is more or less inconsonant with their confucian ethics, so I try to approach to the theme in the view point of tradition of Hyng-ga. Especially I examined the meaning of Anmin-ga(安民歌), a work of Hyan-ga written and sung by Chungdam-sa(忠談師) in the period of Shilla(新羅) Dynasty and found that it was focused to that understanding and estimating vassal's authority highly could lead to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vassals harmony and making the country world ruled by them peaceable and that the song Samo-gok would have accepted and transmitted by 'father' rulers not conflicting with their ethics. This conclusion maybe contribute to reading of contexts fo acception and transmission of the work further.

      • KCI등재

        <속미인곡>의 화자 분석과 작품 해석

        임주탁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0 No.-

        Sokmiingok, a continuation of Samiingok(思美人曲, Song of Missing the King), is one of well known works of Jeong Cheol(鄭澈),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e not elucidated up to now. It can be back up by the fact that the results of all the researcher have not been in accord each others. So this paper tried to analyses its speakers by means of Soksamiingok(續思美人曲) which Kim Sang- suk(金相肅) translated Sokmiingok into Chǔcí's language, and to interpret the writer's intention of the continuation, the reason why he did set up different speakers from Samiing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The lingual text of Sokmiingok can be divided four parts; the first and last part are discourses of a female speaker who is similar to the female speaker of Samiingok, and the other parts are the narrator. While two speakers could not utter different voices in the text of Samiingok, but two ones could in the text of Sokmiingok. 2. Through this establishing speakers, the writer are present his authentic voices which contain discontent against the king, severe criticism against people around to the king, and strong desire for being reinstated in his former position. These voices could not be expressed it the former work, Samiingok, because the narrator and female speaker do not be separated. 송강 정철의 <속미인곡>은 작품성이나 문학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 작품이지만 그의 <사미인곡>과의 차별성은 명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속미인곡>은 두 화자의 직접 발화로 이루어진 작품인데 어디서 어디까지가 어느 화자의 발화인지를 둘러싸고 아직도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속미인곡>을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한 핵심 의도가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음을 반증한다. 이 논문은 김상숙이 <속미인곡>을 초사체로 번역한 <속사미인곡>에 반영된 화자 분석을 바탕으로 <속미인곡>의 화자 분석을 새로이 시도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작가의 의도를 새로이 규명하였다. 결론적 내용은 이렇다.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에서 통합되어 서술자와 화자(여성)를 두 화자로 분리 독립시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에서는 표현할 수 없었던 군주와 측근에 대한 불만과 비판, 정계 복귀에 대한 강한 열망을 곡진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이규보 슬견설의 맥락과 독법

        임주탁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8

        This is a thesis that infers the context of Yi Gyu-bo 李奎報’s Seulgyeonseol 蝨 犬說 (An Essay on Dog and Sucking Lose) through context study, and proposes a reading method, process, and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read the text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hus the phenomenon of avoidance of Korean Classical literary works by teachers and students is gradually expanding. Even if textbook commentary is often referred to, it is not very helpful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the text themselves. Seulgyeonseol is an educational material widely used in many language curricula today.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learning activities does not show a reasonable process by inferring the context of the text. For this reason, it seemed difficult to expect the learning experience to have a practical effect on literacy competency development,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education. In this regard, by applying the method of context study, I try to interpret the author’s core intention by infer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text of Seulgyeon-seol creates a core message with semantic coherence and the real context in which the message has meaning. And I examine not only the criticism of previous interpretations, but also the issue of sympathy for the writer’s mindfulness. It is hoped that these processes and results will help to broaden the way for reading Korean Classical literary texts to become an activity based on primary literacy and an activity to develop that competency as well as critical literacy. 이 글은 맥락 연구를 통해 이규보(李奎報)의 <슬견설(蝨犬說)>의 맥락을 추론하며 읽는 방법과 과정, 결과를 제안하는 논문이다.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육재료로 쓰이는 한국고전문학 텍스트는 읽어내기가 매우 어렵고, 따라서 교사와학생의 기피 현상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교과서적 해설을 참고하더라도교사와 학생 스스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을 주지못하고 있다. <슬견설>은 오늘날 여러 언어 교육과정에서 두루 쓰이는 교육 재료이다. 하지만 학습 활동 설계에 반영된 작품의 해석은 텍스트의 맥락을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과정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학습 경험이 언어교육의 최종 목표라 할 수 있는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실제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보였다. 이에 맥락 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슬견설> 텍스트가 의미론적 통일성을 가지는 메시지를 만드는 맥락과 그 메시지가 의미를 가지는 실제적인 상황 맥락을 추론하는 과정을 밟아 작가의 핵심 의도를 해석하고, 선행 해석에 대한 비판은 물론 작가의 마음 씀씀이에 대한 공감 문제도 따져본 것이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가 고전문학 텍스트 읽기가 리터러시 역량에 기초한 활동이자 그 역량을 기르는 활동이 되는 길을 넓혀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려속요 연구의 현황과 전망

        임주탁 한국시가학회 2022 韓國 詩歌硏究 Vol.57 No.-

        This essay tries to elucidate why Goryeo-sokyo 高麗俗謠 (Korean song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have been concerned and how they have been studied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now, and to examine what is needed and how they are studied from now on. In the beginning period of Goryeo-sokyo studies, most Korean scholars got started regarding that all the pieces of Goryeo-sokyo were a sort of Korean traditional ethnic culture, thus Korean people should be justly proud of them, and inherit and develop them into forms of modern Korean poetry. These viewpoints based on nationalism and populism have resulted in not a few several hypotheses that has not been confirmed and have seemed to block the way to go near to the reality of it. Most of their inner/external contexts have not been fully explained because of the lack of positive data necessary to reconstruct them. Nevertheless, they have been treated as objects of Western Poetics and Aesthetics for multiplying their value. As a result, Goryeo-sokyo studies have grown distant from the public in Korea and entered scholarly downturn. Thus, this essay suggests that all the researchers, including me, should reflect on the reason why Goryeo-sokyo has to be studied and the way how it is examined, out of all the hypotheses and ideologies. Only when all the pieces of Goryeo-sokyo go back again, we can seek out their own values and contemporary values as well. For this, Goryeo-sokyo studies need more efforts to get rid of all the prejudices against Sokyo, to restore their real contexts and the contexts of all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m than before (“contextual study”). In this process, the grammar of the written Korean language and the usages of Korean vernaculars as well are preferentially considered, and the fact Goryeo was not poetry but song which had used for all the rites of court and central or local government and the fact all the music of all the dynasties in the history of the East had been made for a common goal, a peaceful world by changing all the people’s personalities into the worm, tender, and generous through it including poetry and song, and the fact that Goryeo-sokyo was the outcome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considering the very tune of the Saints and the reality of the people as well.

      • 문학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임주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8 No.-

        이 글은 최근 정권 교체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 교육과정 개정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길을 모색해 본 것이다. 문학 교육과정이 교육 외적 환경에 따라 수시로 개정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현실이 되어 버린 데에는 지금까지의 문학 교육과정이 내적으로도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현행 문학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정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현행 문학 교육과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문학 교육 혹은 교육과정의 목표가 측정 가능한 방향으로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문학 교과의 성격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음에 비해 뚜렷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교육 내용이 지나치게 많이 열거되어 있다는 것이다.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활동이 문학 교육의 중심에 놓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열거된 교육 내용을 학습하는 데 치중할 수밖에 없도록 되어 있는 셈이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문학에 대한 흥미와 문학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줄이거나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과 내에서 문학 영역 또는 과목의 통합교과적 성격을 분명하게 정립하고 문학 교육 혹은 문학 교육과정의 목표를 국어교육의 목표의 하위 범주로 명료화하고, 국어의 특성을 잘 살려 그 이해와 감상이 학습자의 사고 능력과 언어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학 작품을 선별하는 노력과 아울러, 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국어과 교육과 정을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경험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서경별곡>의 텍스트 독법과 생성 문맥

        임주탁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2 한국민족문화 Vol.19·20 No.-

        In this paper, I supplied ourselves with a new reading of Seogyeong-byeolgok(西京別曲), one of the poetry-song in the period of Goryeo(高麗) Dynasty. Reading this text, I considered not only the lingual text but also its extra-text containing, for example, some language usages and historical events related with its words. So I could read the lingual text as follows; Even if Seogyeong(西京) is our capital, The second of the new-built Capital, Rather than I do leave my lover, because he, casting aside his weaving hemp cloth, dose love me(or another our host), I will follow him in spite of crying and crying Even if a gems-chained necklace dropped to a rock, Would its chain be cut off? Even if, for a millenium, you(or they) lived alone Would our(or their) faith to you be broken off? Knowing the river Daedong(大同) is very wide, Why did you put your boat on the river, boatman? Knowing unsuitable to your extent, Why did you take yourself(or your hostess) to the boat, boatman? The flower at the opposite side of the river will I break, As long as taking a ride in a boat and crossing over the river. The theme of Seogyeong-byeolgok is not a separation of a lover's, nevertheless many researchers have thought so, but the separation of people from the Capital of Gory대 Dynasty in which they have lived as representatives of their home, which boundary limit lay from north of the river Daedong to south of the river Amnok(鴨綠). The reasons of their separation were related to two historical events; the invasion of Mogol Empire(A.D.1234) and the betray of Lim, Yeon(林衍) who dethroned the king Wonjong(元宗) and enthroned Wang, Chang(왕창), a younger brother of the king, for the purpose of taking the power hegemony of the Dynasty(A.D.1269). The former brought out transfer of the Capital. It meant her standing against Mongol(蒙古) Empire and their suffering from everlasting war so they decided to separate themselves and their home from the Dynasty. The later, also, meant it. While the first and second stanza of Seogyeong-byeolgok was created at the former, the last one was created at the later. The text of Seogyeong-byeolgok with musical refrains, I think, would be made in 1290's not for rule of power but for one of civil administrations, song-and-music. At that time, about, the province which were separated from Gory대 Dynasty at the two events, was re-united to her. I read the text very newly and I afraid to assert that the reaing is right absolutely for lack of some evident data which would make my reading turned out to be truth. But it may be allowed for me to insist the text could be read clearly and explicity by my own way of reading. In conclusion, according to my reading the text of Seogyeong-byeolgok have implied tragic destine of people who had lived in the North Province(北界) which lay north of the river Daedong and was reigned by Seogyeong(西京), the second capital of Gory대 Dynasty and who repeated parting from and coming back after transferring the holistic capital from Gaekyeong(開京) to Kanghwa(江華). In that point, even though each voice of three stanza do not agree whith each other and each creating time is not same, three stanza are related to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