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최현실(Choi Hyeon-S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례인 ‘상호성의 원리’를 찾아 적용하였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다민족적 역사는 비록,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통합의 성격이 강하지만, 이들 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면면히 살펴보면, 그 속엔 민족과 인종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다문화적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된 다인종국가이지만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싱가포르 사회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공을 향유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에 상관없이 실력우선’을 취해 다인종적 위계질서를 지양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중 언어와 종합교육정책을 통해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통합정책을 적극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정책을 통해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른 이익을 경제적 소외자와 각 민족에게 골고루 나누어 사회통합의 장애를 제거하였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민족과 인종, 종교를 구분하지 않는 동등대우 그리고 교육과 언어정책의 공평성, 경제적 형평성의 유지정책은 한국에 이주해온 외국인들과 그 자녀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향후 한국사회에 생산적 주체로 양성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당고조 2년(619년)에 만들어진 민족정책의 기본원칙조서와 追中前弊(추중전폐), 당태종의 夷夏一家(이하일가), 오늘날 중국정부의 當家作主(당가작주) 등에서 민족자치구역의 전통이 있어 오랜 역사동안 소수민족이 민족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중국 사회와 융화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역대 정책에 나타난 ‘상호성의 원리’를 한국사회의 통합정책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교육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원한다면 부모나라의 문화와 모국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인을 대상으로 초ㆍ중등 교과에 사회연구(Social Studies) 과목을 설치하는 등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여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상호간의 문화이해를 확대한다. 그 외에 제도적 장치 안에 결혼이민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공식 체널(예를 들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 자조집단을 마련하고 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관에 전달하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향후에 고려해 볼 다문화적 사회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the multiracial nation for a long history, and apply it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reciprocity principle' does not make any excuse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confucian value's being connected with a value system, which conforms with the universal faith and emotion of the Oriental people. Instead, it actively admits the difference on an open position, and tries to accept it. The reciprocity principle also includes community position, which values much of members' mutual agreement on and observance of values and goals the society commonly seeks after. Although this kind of principle was derived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liberalistic position, it is considered to be on the same track with the Wester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history of Singapore and China mostly represents confucian, communal, nationalistic, and socialistic integration. It also shows the union and the assim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f you closely examine each nation's policy of minority race, you will discover the 'reciprocity principle,' which respects cultures and languages, regardless of the nation and race. Singapore is a multiracial country of people of Chinese, Malaysian, and Indian. However, it has succeeded in integrating the society as one. 'Singapore's only one policy' includes not only the national communalism, but also the 'reciprocity principl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ingapore maintains the multicultural rank and order through 'the merit system regardless of the race' so that members of society can enjoy the social success. Even though people of Chinese descent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hold the merit advantage, Singapore, through the bilingu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actively promoted the society-integrating policy where various races coexist with each other. Also, Singapore got rid of the obstacles to integrating the society by raising the rate of moving into public housing to 89%, and by distributing profits from the economic growth to each race and those economically estranged. The policy of Singap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cultivating those immigrated into Korea and their children to be the productive subjec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lso, it is a good example that implies a policy, which aims at equal treatment regardless of nation, race, and religion, fairness in education and linguistic policy, and maintenance of economical balance, is needed in integrating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ina consists of 56 races. And, 'reciprocity principle', in which minority races, for a long history, can maintain their racial peculiarity, and develop cultures in harmony with the Chinese society, is well described in the record of basic principles of racial policy written in the second year(619) of the Danggojo reign. It is also found in the principle of Chujungjeonpye(To make the people feel at ease by removing tributary states, being friendly with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staying away from the troubles), Dangtaejong's Ihailga(To Make all the minority races a family by governing them with virt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of today's Danggajakju(Minority races act as the owner of the land they reside in, and govern their territories by themselves).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China includes the idea of Hwaibudong(Get along well with others, but do not mix with people for no good reason) and the principle of Dobyeonghaengibulpae. Also, through coexisting mutually, respecting the harmony and differences, and opposing to the single homogeneity, it has served to let cultures of other races keep the peculiarity and develop for itself with

      • KCI등재

        한국화교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성찰

        안미정(An, Mi-Jeong),우양호(Woo, Yang-H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서구의 다문화주의 이론이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비판적 고찰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이 글은 한국의 오랜 이주집단인 화교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성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화교는 한국의 소수민족 집단, 디아스포라 혹은 ‘이방인’ 등 단일민족 담론 속에서 차별을 받아 온 오래된 이주집단으로 지적되어 왔다. 세계 여러지역의 화인들과 달리 한국화교들은 대부분 출신지가 중국의 산동성이며, 거주국이 아닌 대만의 국적을 가지고 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한국화교의 특징을 이 글에서는 한국사회와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 한국화교들의 재이주하는 현상은 한국사회의 이념적 편향성, 민족국가 담론, 경제활동영역의 축소와 같은 내부적 압력으로 인해 그 출구를 외부세계에서 찾은 결과이다. 한국의 역사적 변동에 따른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산물인 것이다. 이들의 재이주는 단지 차별받은 이들의 이주인 것만이 아니라, 한국사회로서는 일찍이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었던 기회를 상실해버린 것과 다름없는 것이었다. 또 한국화교의 대만 국적 선택은 흔히 해방 후 한반도의 냉전체제 산물로 귀결되곤 하지만, 식민지시대로부터의 연장선상에서 개입된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영향임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즉 중국 대륙과 한반도에 형성되어 있던 식민주의와 반공주의의 두 개의 이념이 공진(共振)하는 속에 이뤄진 것이다. 이처럼 한국화교가 세계의 화교화인들과 다른 특징은 그 집단의 본질적 특징이 아니라 한국사회와 함께 변동해 온 결과이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이문화란 민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타문화’로 지칭되고 있지만, 한국화교가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타문화는 자문화와 별개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 속에서 서로 형성되어 왔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다문화주의가 한국사회에 요청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부분일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flect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Western theories of multiculturalism is seen through the ethnic immigration group of overseas chinese(Korea-Hwagyo) in Korea. Korea-Hwagyo is an old immigrant group in Korea. They are minority groups, diaspora or "stranger" and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in a Korean ethnic discourse. The Korea-Hwagyo hometown, unlike in many regions, most of Shandong Province(山東省) of China, Taiwan is their nationality. This is not the nationality of the country of residence. Overseas Chinese Korea has a number of features across the nation and the country. I looked at this in terms of interaction with the Korea Society. Many Korea-Hwagyo are re-immigration to other area that it can be seen as early as the Korea Society ditches to los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they choose their nationality in Taiwan is not the only effect of the Cold War.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of South Korea"s colonial indicator is also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Korea-Hwagyo had to choose their nationality in the two ideologies that are in colonialism and anti-communism. These points are another feature of the Korea-Hwagyo and Overseas Chinese in the world. It is the result of a variation of the Korea society together. It is called "cross-culture" in Korea and refers to the "Other culture" based on ethnicity, nation and race. However, as Korea-Hwagyo is showing us that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in correlation to each other. It is requested that multiculturalism in Korea will be because to say that multiculturalism must recognize these inter-relationships.

      • KCI등재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 <팔 없는 여인>과 <손 없는 색시>의 비교를 통해

        김형복, 이행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992 한국민족문화 Vol.65 No.-

        본 논문에서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몽골과 한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설화를 활용하여 문화 비교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몽골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습이 책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져 그들에게 설화는 아주 친숙한 소재이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 학습에 설화를 활용하면, 흥미 유발과 배경지식 활성화에 유용하다. 그리고 몽골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은 학습자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한국 문화 수업이나 문화 교재는 한국 문화에서 출발하여 한국 문화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모티브가 유사한 양국의 설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자가 비교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가정 안에서 생활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방적인 한국 문화 수용만을 강조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 문화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수반을 강조해야 한다. 양국의 설화 비교는 그런 점에서 의의가 깊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유의미한 몽골 설화로 <팔 없는 여인>, 그에 대응하는 한국 설화 <손 없는 색시>의 문화 교육적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두 설화는 주인공이 여성이며, 특히, 여성이 일생 동안 수행하게 되는 딸,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 ‘결혼’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여러 문제들이 설화 속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설화 속에 공통으로 드러나는 문화 교육 요소를 선정하였다. 먼저 가족 관계에 초점을 두고 문화 교육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설화의 주요 모티브인 ‘손’과 관련한 관용어를 언어 문화 교육 요소로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의 모형을, ‘설화 읽기 교수-학습’과 ‘문화 교수-학습’으로 나누고, 그 실제를 수업 활동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토포필리아 함양을 위한 한국 주거문화 교육 방안 연구

        박정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주거문화교육의 방향을 ‘토포필리아’로 설정하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토포필리아’는 인간의 본능적 성향으로 최초의 낯선 장소라도 인간이 그 장소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장소 애’, 즉 장소에 대한 애정과 애착을 의미한다. ‘토포필리아를 위한 주거문화교육’은 ‘장소로서의 지각’, ‘장소로서의 태도’, ‘장소로서의 가치’를 함양하는 교육이다. ‘장소성’의 상실을 경험한 결혼이민자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중요한 사회통합 대상이다. 결혼이민자의 토포필리아를 함양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한국사회 내 안정적 정착과 건강한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방법적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토포필리아의 특성과 교육적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결혼이민자의 주거문화 이해 양상과 실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주거문화교육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밝혔다. 다음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한국문화를 교육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나타난 주거문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토대로 ‘토포필리아로서의 주거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s as 'topophilia', and suggested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opophilia is an instinctive human tendency, meaning affection and attachment to a place, that is, love and attachment to a place that develops gradually as humans give value and meaning to the place even at the first unfamiliar space.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for ‘topophilia’ is education that cultivates ‘perception as a place’, ‘attitude as a place’, and ‘value as a place’. Cultivating the topophilia of married immigrants can ultimately serve as a method alternativ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ir stable settlement in Korean society and healthy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elucidate such content,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ortance of topophilia,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patterns and conditions of married immigrants’ residenti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the following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we looked at the aspects of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shown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Lastly, based on the above conten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as a topophilia’ was designed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상호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 민속 교육의 설계

        이성희(Lee, S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3 No.-

        세계화 추세로 인해 ‘이주’가 두드러지게 되어 다문화적 양상이 가속화되어 이제 다문화적 상황은 한국문화와 세계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가 되었다. 이에 대학에서의 한국 민속 교육 또한 세계화와 다문화 추세에 발맞추어 더 넓은 지평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대학의 민속학 교수?학습에 있어서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상호문화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대학생들이 민속 지식을 구성적으로 이해하며 실제 직업 세계에서의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면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PBL(Problem-Based Learning)의 교육공학적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가장 많은 유학생들의 출신국인 중국과 한국의 민속을 상호문화적 시각으로 이해하고, 실제 세계와 연관된 체험적 지식으로 이끌기 위해 양국의 ‘端午’ 민속을 비교해 보고, 상호 이해할 수 있는 구성주의적 교수 방안을 설계했다. 현재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외국 학생들의 경우 학교 외의 현장에서 한국인들과 심도 있는 만남을 갖기 어렵다. 한국 학생과 함께 하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한국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 학생들은 외국 학생들과 팀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민속을 타자의 시각으로 조망해 보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양한 민속 지식 중의 하나인 ‘단오’에 한정하여 연구했지만, 앞으로 다양한 민속 지식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한국 대학생들과 외국 대학생들이 진정으로 타 민속을 이해하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계기들이 민속 교육 현장에서 이뤄지길 바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 한국 민속 교육의 한 시도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다문화적 상황에 대해서 미리 고민해 보고, 다문화인으로 살아가야 하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상호문화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반응 및 결과물을 통해 교수?학습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후속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sample of folklor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classes, which are composed of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For this purpose,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essential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folklore education. Secondly, this paper makes a teaching sample of the "Dan-Oh(단오)" using a PBL(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establish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is paper designs a class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at is because Chinese students are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y classes. They are about 75%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designs a class which has several specific aims. Firstly, let the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of "Dan-Oh(단오)". Secondly,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ir own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working world. Thirdly,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i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본 논문에서는 몽골의 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그와 유사한 한국 설화를 선정한 다음,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화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몽골 지역은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이 기록된 책(또는 교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 역시 옛이야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한국 문화교재를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원리를 다음 5가지로 제안했다. 첫째, 몽골인 학습자에게 친숙하여 학습 동기와 흥미가 쉽게 유발되고 스키마 활성화가 용이한 몽골 설화를 이용한다. 둘째, 모티브가 유사한 두 나라의 설화 비교를 통해 양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문화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양국의 설화 비교를 통해 습득한 문화 내용은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문화 행위로 전이될 수 있도록 연습 활동을 해야 한다. 넷째, 옛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문화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그 내용이 과거 전통 문화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현대한국 문화와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문화 학습도 결국은 한국어 사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목표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므로, 문화 학습 활동은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의 언어 기능과 통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재 개발 원리를 바탕으로 몽골 설화 〈거북이와 원숭이〉와 한국 설화 〈구토설화〉를 예시로 하여 실제 단원의 개발을 통해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a way to construct Korean cultural textbook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y comparing Korean folktales with representative stories of Mongolian stories. Since the Mongolian region is based on nomadic life, the learning was done by old stories based on oral traditions rather than books and textbooks. As a result,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rough old stories.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storytelling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several studies. I analyzed the Korean cultural textbooks developed so far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inted the problems out. Most of Korean textbooks are conveying Korean cultural knowledge unilaterally, and the activity of comparing learner’s culture with Korean culture is also fragmentary. First of all, as in this paper, there were no textbooks to suggest and compare Korean culture, starting with learner-centered interest and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ve principles as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Korean culture textbook comparing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First, Mongolian folktale, which is familiar to Mongolian learners, facilitate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facilitates schema activation. This is a learner-centered textbook in that it is approached by learner interest and learner culture. Seco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should be improved by comparing the tales of two countries with similar motif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become a crucial issue. Therefore, by comparing two tales, learners can understand and accep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two cultures. Third, cultural contents acqui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arratives of both countries should be transferred to cultural activities necessary for adaptation of life in Korea. The most useful way to transfer cultural knowledge to cultural activities is "comparison". It is necessary for the textbook to design various exercises so that the learners can actively compare cultures out of the fragmentary cultural comparison activities. Fourth, because the 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the story of the old story, its content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past, but should be linked with modern Korean culture. Because it is meaningful to the learners how the value of the past has changed in the past. In other words, foreign learners need to understand how Koreans think and act in everyday life. Fifth, cultural learning should be integrated with language functions of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listening, because cultural learning is eventually achieved through using Korean language and its goal is to improv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Fin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veloping these textbooks, this paper develops and presents actual units by exemplifying Mongolian tale 〈A turtle and a monkey〉 and Korean folk tale 〈A turtle and a rabbit〉.

      • KCI등재

        일본과 한국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이행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3 한국민족문화 Vol.86 No.-

        최근 일본에서는 대학을 비롯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강좌가 신설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문화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내용이나 방법, 교재 등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일본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이때 학습자의 흥미와 문화에 초점을 두기 위해서 일본의 설화와 함께 그에 대응되는 한국 설화를 활용하였다. 먼저 일본 설화를 제시하고 그와 관련되는 한국 설화를 제시함으로써 일본인 학습자가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스스로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의 설화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사항을 학습자들이 포착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인 학습자에게 널리 알려진 일본 설화 13편을 선정하여 각 설화의 서사 구조, 중심 소재, 주제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한국 설화를 대응시켰다. 다음으로, 양국 설화의 비교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였고, 문화 요소를 활용한 활동을, 일본의 <방귀쟁이 며느리(へっこき嫁さん)>와 한국의 <방귀쟁이 며느리>를 통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초탐(初探)

        박성혜(Park, Sung-Hy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2

        이 글은 유네스코에 선정된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가운데 변방에 거주하고 있는 소수민족의 것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대해 의문점을 갖고 출발한 초보적인 탐색이다. 이에 먼저 위구르족의 무캄에서부터 허저족의 이마칸에 이르는 14개 항목에 대해 개략적으로 소개하며 그 특징을 찾아본 결과, 크게 국내적으로는 지리적인 균등분배와 민족단결을, 국외적으로는 이웃나라들과의 경쟁에서 문화선점을 꾀한다는 사실로 정리할 수 있었다. 소수민족의 무형문화유산이야말로 중국 내 유네스코 신청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심의위원회’-사실상 중국정부-가 대내외적으로 무엇을 추구하는지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유네스코 등재는 국가와 민족의 자존심일 뿐만 아니라, 국가와 지역의 이미지 제고 및 ‘문화유산산업’이라고까지 불리는 경제적인 이해관계와도 관련이 있기에 전 세계적으로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때문에 중국은 ‘중화의 문화로 우뚝 서려는(文化興國)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변국과 문화갈등을 일으키며 선점하는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본래 명칭처럼 국가와 민족을 뛰어 넘어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 보려는 큰 시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이는 최근 일본과의 우열을 비교하며 ‘제주 해녀문화’를 유네스코에 등재시키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는 우리가 비춰봐야 할 거울이기도 하다.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in inquiring into why those of minorities form a large part of the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China. Fourteen items ranging from the Uighur Muqam to Nanai Imakan were outlined and characterized; then, it was found that they pursued geographically equal distribution and national solidarity at a domestic level and cultural preoccupancy in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at an international leve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minorities definitely show what the Experts" Deliberation Committee―Chinese government in practice―in charge of application to UNESCO in China pursue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t is certain that the UNESCO registration is a matter of globally great concern since it is not only the national pride but also is associated with economic concern even called a cultural heritage industry. China should not be bent on preoccupancy while causing cultural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o achieve the goal of being first with Chinese culture but take a wider view by seeing them as common heritages for the human race beyond the scop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as suggested by the title. South Korea needs to take this issue into account while trying hard to register the culture of Haenyeo in Jeju with UNESCO in competition with that of Japan.

      • KCI등재

        在日コリアン敎育と民族アイデンティティ

        金泰泳(김태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한국민족문화 Vol.27 No.-

        재일한인의 교육애 관한 연구는, 일본의 학교제도 속에서 어떠한 위치에 놓여져 왔으며, 현재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 하는 제도적(濟度的)인 측면과, 민족교육의 세계에 반영되는 민족관(에스니티시視)의 문제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재일한인 교육의 역사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삼천리(三千里)』, 『청구(靑丘)』에 나타난 재일한인 교육에 관련된 기사를 통해 재일한인의 교육에 반영된 민족적 아이덴티티관의 형성 및 그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제도적 측면을 살펴보면, 일본정부는 외국인 자녀를 위한 학교를 아직 법률상의 정규학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또한 민족학급이나 민족어린이회 등의 교육의 장(場)도 민족적 소수자의 기본적 인권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인식이 희박하다 이러한 현실을 생각할 때 일본의 교육제도는 다문화적(Multicultural)이라기보다 문화다원주의(Cultural Plurali-sm)의 전단계로, 동화주의적(Assimirational)이라 할 수 있다. 필자가 후쿠오카(福岡) 인근도시애서 실시한 외국인의 생활의식실태조사에 의하면, 외국인에게 주어지는 최대한의 권리가 「일본인과 동등한 권리」라는 한계가 드러났다, 재일한인이 일본사회의 주민으로서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납세의 의무 등을 지고 있지만, 그들에게 주어지는 권리는 일본인과 같은 종류의 것으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일본인과 같은 권리가 주어진다 해도 그것이 외국인의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닐 경우도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외국인에게는 외국인을 위한 독자적인 주민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다. 일본사회에서는 다원적(多元的)인 권리에 대한 요구를 권리기 많은가 적은 가라는 양의 문제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교육권(敎育權)의 문제 역시 그러하다. 기관적인 학력에 각자의 민족성, 그러고 처해 있는 입장에 따라 요구되는 학습권(學習權)의 내용, 즉 학습권의 질은 다원적일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재일한인은 현대사회에서 생활해 가기위해 필요불가결한 지식이나 기능을 교육받을 권리가 있으며, 동시에 재일한인이라는 독자성 때문에 배워 두어야 하는 여러 가지 사항이 있다. 이것이 바로 다문화적인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정부는 외국인자녀를 위한 교육의 장(場)에 세금으로 공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이진에 발표된 재일한인의 교육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이러한 제도적인 측면에 접근한 것으로, 재일한인의 교육내용이나 거기에 반영되어 있는 민족관(民族觀), 그리고 그러한 민족관이 아이들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에 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교육내용이나 교육장면에서 언급되고 있는 언설(言說)이 교육을 실천하는 재일한인지도자의 성역으로 터부시되어 있어 침범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상황은 현재에 또 기본적으로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재일한인과 일본사회의 "공범관계"가 재일한인의 민족교육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잡지 『삼천리(三千里)』, 『청구(靑丘)』에 나타난 재일한인의 교육에 관한 언설을 살펴보면 지금까지의 재일한인의 교육은 일본사회의 「동화(同化)」압력에 대치하는 「투쟁의 역사」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재일한인의 민족교육이 재일한인이라는 집단적 아이덴티티를 중요시하게 되고, 집단내부의 다양성이 억압되기도 했다. 민족문화를 습득하여 문화적 수탈과 부정적인 지기의식을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의도를 가지고, 공통의 역사체험과 역사적 기억, 민족의 전통 등이 주로 강조되어 왔던 것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수단과 기술의 습득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제일한인을 둘러싼 환경이 개선된다 해도 그것을 활용할 지식과 기능을 갖추지 못한다. 민족교육의 장(場)에서 지도자로 활동한 바 있는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민족교육의 세계에서는 바람직한 민족상(民族像)을 승인하지 않는 존재에 대해 배외적(排外的)인 경향이 있다. 즉, 재일한인이 사회에서 받아온 배제의 논리가 재일한인내부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자기모순의 논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의 공격」을 방패삼아 내부의 다양한 의견을 막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재일한인의 민족교육계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러한 「배타성」은 향후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