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법인 사단으로서의 어촌계에 대한 소고

        임종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3

        Fishing village fraternity are organizations legally and formally established pursuant to the Fisheries Cooperatives Act and are economic structures and fishing village communities established by the members of the fisheries cooperatives in their respective regions. In the case of Korean fishing village fraternity, they are deemed to be an association without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According to Korean case law, the joint ownership theory is followed with respect to the proprietorship of unincorporated association, and the same applies for fishing village fraternity that are unincorporated associations. However, a few issues arise with respect to fishing village fraternity in this respect. As each individual member of a fishing village fraternity cannot own a right of share pursuant to the articles of association, they cannot exercise a right to claim for division of equity interest or a claim for distribution of residual property upon the dissolution of the cooperative. Furthermore, initially, it had been long considered that a member may not be reimbursed any of its investment in the cooperative upon withdrawal. In the past, as a fishery industry policy, the government had urged the incorporation of fishing village fraternity; however, such policy soon fell back as there were no instances of property los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corporations and unincorporations and acut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related fishing village fraternity arose during the process of incorporation. Also, in terms of Profit-sharing which is a differentiating factor among unincorporated associations, if fishing village fraternity do not distribute profits to its members on a factual basis, it may not be viewed as an organization not having a non-profit business purpose. We must further consider changing fishery village fraternity to intermediate corporations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resolve unreasonable downfalls of the cooperative system such as the absence of the right to claim for division of equity interest and the claim for distribution of residual property of the members of a non-corporation association, we must consider and review the possible implementation of the intermediate corporation form for fishery village fraternity. As fishery village fraternity are operated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profits for its members, a basis for its incorporation is already in place. Therefore, a fishery industry policy and legislative push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corporation of unincorporated association, such as fishery village fraternity, as interim corporation is deemed necessary. 어촌계는 법률적, 형식적으로는 수산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탄생된 조직이며 지역별 수산업협동조합의 조합원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제체이자 어촌공동체이다. 현재 우리 어촌계의 경우 비법인 사단이다. 우리의 판례의 경우 비법인 사단의 재산귀속형태에 관하여 총유설에 따르고 있으며, 비법인사단인 어촌계의 재산귀속형태 역시 총유설에 따르고 있다. 비법인 사단인 어촌계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어촌계의 각각의 구성원이 정관의 규정에 의해 지분권을 가지지 못해서 분할청구권과 어촌계의 해산으로 인한 잔여재산분배청구권도 행사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탈퇴 시 출자분 등의 환불을 받는 것도 원래는 안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 동안 수산업 정책적으로 어촌계의 법인화를 유도하여 왔지만 법인과 비법인의 차이로 인한 재산적 손실이 없었으며 법인화 과정에서 지선 어촌계간의 첨예한 이해관계의 대립으로 인해 정책의 후퇴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비법인 사단의 구별기준으로 보는 이익분배설에 의한 경우에 있어서도 어촌계의 경우 사실관계에 있어 이익분배를 하지 않으면 영리활동을 주목적으로 하지 아니한다고 볼 수 없다. 어촌계에 대한 새로운 개선방안으로 중간법인을 검토해보아야 한다. 어촌계가 가지는 구성원의 지분권 분할청구권과 잔여재산분배청구권 등의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법인 어촌계의 중간법인화의 도입을 검토하여야 한다. 어촌계의 경우 구성원들의 영리를 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법인화를 위한 기반이 조성되어 있다. 법인화를 통해 영세한 자본을 가진 어촌계에 자본과 전문적 기술을 가진 전문어업인들간의 교류를 통해 소득증대에 더욱 일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생긴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 역시 어촌계가 가지는 지선어장에 대한 어업권은 현재와 같이 인정하고 어촌계원과 준계원에게만 인정되던 행사계약과 입어계약의 확대가 요청된다. 따라서 비법인 사단인 어촌계에 대한 중간법인 등으로 법인화의 도입에 대한 입법적, 수산정책적 유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영어조합법인의 질적 성장을 위한 법적 개선방안

        임종선,김경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33 No.-

        International fisheries environment surrounding our fishing industry is anticipated to change continuously by joining international agreement as TPP through Korea-China FTA. Fisheries Incorporated Association responds to the demand of changing international fishery environment and exists for productivity of fishermen and reinforcement of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through Fisheries Incorporated Association is commercialization of producer organization. Currently Fisheries Incorporated Association is showing a slight growth in quantity. However, the number of Fisheries Incorporated Association that are hiring less than 4 regular employees, which is the standard of smallness, is also increasing. Debt ratio also is annually increasing. Fishery association corporation is a private corporation, aggregate corporation, profit organization and a special juridical person. Fishery association corporation is aiming for promotion of mutual interest through cooperative fishing industry management.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a plan for limitation of similar name use and expansion of selective support should be prepared. Second, applicable provisions related to a limited company should be applied. Third, activation of semi-association member institution is required for the inflow of outside capital and technology. Fourth, clear statement of legal profit along with organization change is required. Fifth, solution plan for fairness of special taxation and expansion of investment in kind scope are required. Based on the study, the researcher expects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problem of Fishery association corporati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thereof, which has meanwhile existed. 국제적인 어업환경은 한중 FTA를 거쳐 TPP 등의 국제협약의 가입으로 다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영어조합법인은 국제적으로 변화하는 어업환경의 요구에 부응하고 어업인의 생산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존재한다. 영어조합법인을 통한 경쟁력 향상은 생산자단체의 기업화이다. 현재 영어조합법인은 소폭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4인 미만의 상시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영세성을 가지는 영어조합법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부채비율 또한 매년 상승하고 있다. 영어조합법인은 사법인이며, 사단법인이며, 영리법인이며, 특수법인이다. 영어조합법인은 협업적 수산경영을 통한 공동이익의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명치의 사용 제한 및 선별적 지원 확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유한책임회사에 관한 준용 규정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외부자본과 기술 유입을 위해 준조합원 제도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넷째, 조직변경에 따른 법적 이익의 명시가 요구된다. 다섯째, 조세특례의 형평성 문제의 해결방안과 현물출자 범위에 대한 확대가 요청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그 동안 존재하고 있던 영어조합법인의 제도적 문제점을 개선하고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강유전성 고분자인 P(VDF-TrFE)공중합체의 전기광학계수의 완화현상

        임종선,박광서 한국광학회 2001 한국광학회지 Vol.12 No.3

        강유전성 고분자인 P(VDF-TrFE) 공중합체의 전기광학계수의 완화현상을 고찰하였다. 이 고분자인 전기광학계수는 단순 반사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완화현상은 KWW 확장된 지수 함수꼴로 분석하였다. Tc 근방에서 극화시킨 공중합체들은 시간적으로 더 안정적이였고 온도에 의존하는 완화시간$au$를 Arrhenius 형태로 분석하여 50mol%의 TrFe를 가진 공중합체가 28mol%를 가진 공중합체보다 활성화에너지가 더 컸다. 이를 통해 $60^{\circ}C$에서 극화시킨 50mol%의 TrFE를 가진 공중합체가 더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Relaxation phenomena of the electro-optic coefficient in ferroelectric copolymer P (VDF- TrFE) were studied. The electro-optic coefficient of copolymers was measured by simple reflection method and the decay curves were fitted by KWW stretched exponentials. The copolymers poled near Tc. Were shown to be more stable than the copolymer poled at lower temperatures. Further, the relaxation time t depending on temperature was found to follow Arrhenius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the activation energy of 50/50 mol% P (VDF-TrFE) copolymer is larger than that of 72/28 mol% copolymer. As a result, the ferroelectric copolymer with VDF of 50 mol% is was more stable.stable.

      • KCI등재

        준점유 등으로서 어업권의 이용에 대한 소고

        임종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1

        Fishery Right can use of Quasi-Possession. Fishery right is exerted in the form of possession regarding its subjects - fishing ground in terms of water surface, and its related varieties – marine animals and plants and facilities. Article 220 of the Civil Act prescribed that “...shall apply in the event that property right is effectively exerted”. This means the law recognizes quasi-possession. Korea’s Civil Act applies the idea of occupation over objects, and quasi-possession over rights or property rights. Article 192 of the Civil Act stated that “effective control over an object” is possession, differentiating the idea of quasi-possession by contrasting objects versus property and effective control and effective exertion. A necessary conditions of quasi-possession are the existence of effective exertion of property rights and the existence of the property right itself. Fishery right acquisition requires fishery right transfer, registration with fishery-right original register, licence by administrative body, etc. These form exterior appearance of effective control that belong to a specific person. And Article 16(2) of the Fisheries Act specified that fishery right is a real right and subject to regulations on land. Therefore fishery right is viewed to be the subject of quasi-possession, that is, a kind of property rights. Rights or property rights’ effective exertion equals to quasi-possession in this case. Fishery right needs to be examined for its application more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about the exertion of quasi-possession according to the kinds of possession. In fishery rights, subjects of direct occupation include fishing ground, marine animals and plants, fishing gear, facilities, and structures. And also most of fishing ground or water surface – the subject of fishery right is public water surface where control by other is prohibited (Article 32 of the Fisheries Act) and fishing industry operators’ effective control is allowed (Article 35-4 of the Fisheries Act). Since the Fisheries Act does not recognize the right of pledge, lease, and lien, while denying superficies, and easement, derivative possession cannot use. The Act recognizes hostile possession, single possession and common possession. Consequentially, acquiring possessory right based on fishery right can ensure continued protection of ccupied protection claim, self-control or self-defense in a due manner. 어업권은 권리로서 준점유이며, 어업권에 의해 매개되는 대상인 수면으로서의 어장과 대상품종인 수산동식물 및 시설물에 대해 점유의 행사형태를 보이고 있다. 우리 민법 제210조에서 “본장의 규정은 재산권의 사실상 행사하는 경우에 준용한다”고 규정하여, 준점유에 대해 인정하고 있다. 우리 민법은 물건에 대해서는 점유를 그리고 권리 또는 재산권에 대해서는 준점유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민법 제192조에서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를 점유라고 정의하여 준점유와는 다른 의미로서, 물건과 재산 및 사실상의 지배와 사실상의 행사의 개념으로 서로 대칭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준점유의 요건은 재산권의 사실상의 행사와 대상으로서의 재산권이 존재하여야 한다. 어업권은 취득은 어업권의 이전, 어업권원부에의 등록, 행정관청의 면허 등을 그 요건으로 하므로, 특정인에게 귀속된다는 사실상의 지배의 외관이 존재한다. 그리고 수산업법 제16조 제2항에서 어업권을 물권으로 하며,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명시하고 있어서, 준점유의 대상인 재산권의 일종으로 파악한다. 권리 또는 재산권의 사실상의 행사인 준점유가 되는 것이다. 어업권이라는 권리의 성질에 비추어 준점유의 행사에 대해 점유의 종류에 따라서 개별적, 구체적으로 그 준용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어업권에 있어서 어장, 수산동식물, 어구, 시설물, 공작물 등은 직접점유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어업권의 대상이 되는 수면인 어장의 대부분이 공유수면이고, 타인지배를 금지하며(수산업법 제32조), 어업 경영의 사실상 지배(수산업법 제35조의 4)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수산업법에서는 질권 금지, 임대차 금지, 유치권 금지, 지상권 부정, 지역권 부정하여 간접점유를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자주점유와 단독점유 공동점유의 태양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어업권에 의한 점유권의 취득은 점유보호청구권ㆍ자력구제 또는 정당방위 등의 점유보호가 지속적으로 정당히 행사될 수 있는 것이다.

      • 물리흡착하는 화학작용제에 대한 방독면 정화통의 성능 연구

        임종선,김철성,Im, Jong-Seon,Kim, Cheol-Seong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9 國防과 技術 Vol.- No.240

        우리 군이 사용하고 있는 K1 방독면은 모든 종류의 화학작용제에 대한 방호력이 뛰어나며 생존성을 보장할 수 있는 화학방호 장비로 병사들은 화학전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자신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언제든지 화학무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평시에 많은 훈련을 쌓아서 전시에 언제든지 자신감을 가지고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자상거래를 위한 XML 메시징 시스템 개발

        임종선,주경수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02 로지스틱스연구 Vol.10 No.1

        XML은 표준화와 운영체제 중립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전자상거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미 많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다. B2B 전자상거래분야를 위해서는 기업간 비즈니스에 대한 업무 규칙과 절차가 표준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업들이 표준화된 XML 문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실정에 맞게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업간 XML 문서 전달을 하고 있어, 이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기반으로 많은 조직과 기업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표준화 작업을 프레임워크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가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는, XML 메시징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메시징 시스템을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XML is a W3C standard and has characteristics like platform-independent, it has a critical role in e-commerce. Business rules and procedures should be standardized for efficient B2B integration. But a lot of companies are its own XML documents instead of standard documents. Therefore many organizations try to make standards for e-commerce based on framework. In this paper, XML messaging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Client requests service in XML and server returns response in XML in this system. So we can more easily and efficiently build E-Commerce based on this XML messag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