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본 학술논문 서론의 문말표현 사용 양상‒서론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중심으로‒
임정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usage patterns, and featur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i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100 articles, which recently submitted to the journal “Studies in Japanese Language” published by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of Japan, are targeted for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introduction was based on JeongA Lim(2020) and reclassified them into eight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After the classification, It is considered w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typ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used in each component,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and tendencies of each type of sentence-ending expression ar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nonたseries’ was used more often than “たseries” in Japanese introductions, and The imperfect form of the verb were used most frequently among the detail categories. In the case of components that had the character of announcing the content of the body of the paper(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explanation of the research method, and 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aper), the majority used The imperfect form of the verb. It was also found that other elements of the same auxiliary verb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For example, for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theme’, ‘れる・られる’ was used most frequently, for ‘the opinion of the author of the paper’, ‘The negative form of the verb + not’, for ‘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たい’, an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paper’ , ‘う(だろう・よう)’was used most frequent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and vocabulary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function of the sentence. 본 연구는 일본 논문 서론의 구성요소별 문말 표현의 특징 및 사용 양상 및 특징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일본어 학회가 발행하고 있는 학술지 ‘日本語の研究’에서 최근 투고된 100편의 논문을 추출하고,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서론의 구성요소의 분류는 임정아(2020)을 참고하여 서론을 내용에 따라 크게 8가지 구성요소로 분류하였다. 분류 후, 각 구성요소에 어떠한 문말 표현이 사용되는지, 문말 표현의 종류와 각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 및 경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 서론에는 た계열보단 비た계열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세부 분류 중에서는 동사의 종지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논문의 본문 내용을 예고하는 성격을 가진 구성요소(연구 목적 제시, 연구 방법 설명, 논문 구성 제시)의 경우, 과반수가 동사의 종지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도 같은 조동사여도 구성요소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지는데, ‘연구 주제 제시’는 ‘れる・られる’가, ‘논문 필자의 의견’은 ‘동사의 미연형+ない’가, ‘연구 목적 제시’는 ‘たい’, ‘논문의 의의’는 ‘う(だろう, よう)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문장의 내용과 기능에 따라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과 어휘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HP를 이용한 건설.IT융합 사업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임정아,권순욱,Lim, Jung-A,Kwon, Soon-Wo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4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ew programs incorporating IT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initiatives calling for changes ensuring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quality and safety, and for the strengthening of global competitiveness, have contributed to the increased need for exploring new markets. Moreover, the government's supportive policies have helped develop profit models. Meanwhile, the industry and the government have supported the efforts for identifying and disseminating successful case studies - as part of the strategy for evaluating and promoting the developed programs. However, the criteria for identifying/evaluating successful cases remain vague, and the viewpoints of participants differ depending on their disciplines. These discrepancies could lead to inconsistent results. Thus, it is imperative that a criterion be provided, upon which to judge the success or failure of implementation cases and to disseminate role models. It is also imperative that a direction of improvement be propo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criteria for and process of evaluating the success of construction-IT convergence to help promote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orporating IT applications. To that end, success factors for and the significance of IT-incorporated construction were identified. 현재 건설업 및 산업전반에서 IT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사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건설 생산성, 품질, 안전향상을 위한 변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시장 개척의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u-city와 같은 수익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개발된 사업을 평가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산업계 및 정부차원에서 성공사례 발굴과 보급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성공사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모호하고 각 분야의 참여자들의 관점이 달라서 판단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도출될 수 있어, 어떤 기준으로 성공사례를 판단하고 성공모델로 보급할 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IT 융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건설 IT융합 사업의 성공요인과 그 중요도를 도출하여 건설 IT융합 성공사례의 평가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목회신학적 연구
임정아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연구는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존 볼비의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어린 시절 돌봄을 제공해 준 중요한 인물, 특히 부모와의 관계경험이 향후 개인의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 구체 적으로 어떠한 상관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상관성에 내포된 목회신학적 함의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인간의 관계경험, 특히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경험은 내담자 혹은 교인이 견지하고 있는 하나님 표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아이는 가장 중요한 대상인 부모 표상을 이용하여 하나님 표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부모 와의 긍정적인 관계경험을 통해 안정애착을 형성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도 긍정적이고 안정적일 수 있으나, 부모와의 관계경험이 부정적이어서 안정애착에 실패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도 부정적이고 불안정한 모습일 수 있다. 부모와의 안정애착에 실패한 자 녀는 다른 원천들을 통해 안정애착을 추구하려 한다. 따라서 일종의 ‘영적인 가족’으로 비유되는 교회공동체는 부정적인 하나님 표상을 가진 채 불안정한 애착유형으로 살아가고 있는 교인들을 위해, 그들 내면의 내적작동 모델과 하나님 표상을 건강하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가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크게 세 가지 사항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우 선 필자는 교회공동체가 중간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상처와 아픔 을 가진 교인들에게 안전하고 수용적인 치유의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함을 강조하였 다. 다음으로, ‘영적인 부모’로서의 상징성을 지닌 목회자가 교인들에 대해 민감성과 수용성, 협력성과 높은 정서적 접근성으로 반응해줌으로서, 건강한 ‘모성적 돌봄’의 제 공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함을 피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교회공동체가 구성 원들의 내면을 온전케 하는 치유의 공동체로서 보다 잘 기능하기 위해, 신학적 관점 이 기존의 죄책감의 신학에서 수치심의 신학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a pastoral theolog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It is investigated pastoral theologicall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the primary care giver in early childhood, especially the parent,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There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Child shapes the God representation by means of the parent representation. Person who had formed the stable attachment pattern due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his parent would have formed the stable and positive God representation. But person who had formed the unstable attachment pattern on account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his parent would have formed the unstable and negative God representation. The child who has failed to form the stable attachment pattern would seek it through other sources. Generally, the church community is likened to a ‘spiritual family.’ Church community as a spiritual family should provide healthy ‘mothering-care’ for the church members who have formed the unstable attachment pattern and live with negative God representation. With this healthy ‘mothering-care,’ the church members can modify their own ‘internal working model’ and God representation positively. A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eed of the role of church community as a ‘transitional object.’ Church community as a ‘transitional object’ can provide the members with a secure, receptive and healing place. And then, it is emphasized the need of the role of pastor as a healthy ‘mothering care giver.’ Pastor with the symbol as a ‘spiritual parent’ can provide the members with the sensitive, receptive, cooperative and highly accessible ‘mothering care.’ Finally, to achieve the more effective functioning of church community as a healing group, it is proposed the need of the transition of the the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guilty theology to the shame theology.
임정아 한국화학공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23 No.1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properties for the influent of the BAC pilot plant have shown a 42%biodegradable fraction and a 58% was degraded entirely by biodegradation; the removal efficiency was 65-83% . The BDOC removal efficiency at emptybed contact time (EBCT) 15 minutes was larger than at EBCT 8 minutes. At increasing EBCT, a more slowly bio-degradable fraction of BDOC (H2) was utilized. The non-biodegradable disolved organic carbon (NBDOC) was re-moved mostly by adsorption, and the removal amount was 24-58% . Therefore, the DOC was removed by adsorptionand biodegradation; the removal efficiency by biodegradation was 31% , and that by adsorption was 24% . The break-breakthrough curves maintained a certain ratio according to the bed volume.
임정아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0 No.3
This paper aims to tell unjustness of the antithesis between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and utilitarianism by showing the two, one of which is that some of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consist of incompatible basic human rights and the other of which is that the grounds of an argument which argues that utilitarianism denies the right and liberty of a person are groundless. The basis of the antithesis between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and utilitarianism is that the criteria of moral rights should be distributive and egalitarian one or aggregative and utilitarian one.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emphasizes on indispensible individual human rights, however, all rights are not distributive nor egalitarian. Mill, a representative utilitarian, doesn't deny human right but argues liberty as an individual human right, at the same time he takes utilitarian principle as more fundamental one. Futhermore, he argues nurture of autonomy of an individual who is supposed to develop one's humanity through participation in politic institutions. By challenging unjustness of the antithesis between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and utilitarianism, I will seek the methodology for compl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y changing focus of human rights from distributive and egalitarian one or aggregative and utilitarian one to nurturing autonomy of an individual and ensuring liberty. 인권과 민주주의 등과 같은 규범적 가치들은 그 정당성이 충분히 검토되기 이전에 우리 사회가 현대화되는 과정에서 추구된 것들이고, 이러한 가치들은 근대화과정에서 무시되었거나 혹은 왜곡되어 사용되었다. 우리는 ‘개인’의 절대적 자유의 보장에 초점을 둔 인권보다는 공동체 전체의 생존이 더 우선한다는 과거 ‘한국적 민주주의’에서 그 왜곡과 무시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다문화사회에서 예측, 진행되는 여러 인권 유린의 상황에서 ‘한국적 민주주의’는 비판, 극복되고 지양되어야 할 가치일 것이다. 인권 및 사회 정의의 객관적 정당성을 주장하는 일부 인권에 대한 논의는 마치 ‘아시아적 가치’ 담론 비판과 유사성을 갖는 것처럼 보인다. 그 가운데 ‘개인’의 절대적 자유 보장에 초점을 두지 않고 전체의 효용을 더 우선시 한다고 ‘공리주의’ 이론을 비판하는 것으로써 ‘인권’의 객관적 정당성을 주장하는 입장이 있다. 연구자는 그러한 비판이 공리주의자 밀의 주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공리주의자인 밀은 개인의 거의 ‘절대적’ 자유를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현대인권론과 공리주의의 대립이 부당하게 설정되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대인권론의 다양한 형태와 주장의 다양성을 검토하여 개인의 어떤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가 그 차별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그러한 대립의 부당성의 근거를 제시하고, 공리주의자 밀의 개인, 권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공리주의의 주장에서 인권 이념의 내적 함축을 보여줌으로써, ‘인권’의 객관적 정당성을 현대인권론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시하고 두 이론의 보완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親環境性 評價를 이용한 共同住宅의 環境改善에 관한 硏究
임정아,이훈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3
The study has analysed the level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dentified the elements which can be factor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s. Followingly, the study has made a few sugges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apartment housing policies, which are supposedly to result in the long term adop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In the upshot,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partment is relatively low. Secondly, the fixed element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re meeting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to the higher degree, while the variable elements, to the lower degree. Therefore, it is construed that any effort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is prone to secure the higher degree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Thirdly, The study has listed the priority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elements. Fourthly, The study has raised a need to modify and renovat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program.
AI 기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 모델 파티셔닝 기법
임정아,김영진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6
최근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물체 인식 및 비디오 분석과 같은 실시간성 모바일비전 어플리케이션이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높은 정확도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기 위하여 모바일 엣지 컴퓨팅 (MEC)을 활용하지만, 네트워크 비용 및 지연으로 인해 낮은 사용자 경험 품질(QoE)을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과 MEC 서버 사이 딥러닝 추론 연산을 레이어 단위로 나누는 딥러닝 모델 파티셔닝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 연구는 모바일 비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단대단 지연 시간, 에너지 소모, 추론 속도 (fps) 중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지표만을 개선할 수 있는딥러닝 모델 파티셔닝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세 가지 성능 개선지표의 향상을 위하여 1) 모델 파티션 포인트, 2) 입력 프레임 중 처리할 프레임 수, 3) 모바일 단말의 GPU 클럭 주파수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을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동일 단대단 지연 시간에서 모바일 단말 단독 추론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 90.2%의 평균 에너지 소모 성능 개선을 보이고, MEC 서버 단독 추론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 91.8%의 처리 fps 성능 개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