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상담자의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은미,강혜정,김성현,구자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Scale for Korean Counselors(KMCCS). To achieve this purpose,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and Mu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model(Arredondo et al., 1996). The items were revised after two preliminary tests. The developed test was conducted for 480 counselors o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9 factors which have 5 items each were extracted. The factors are as follows: the Acceptance of Counselor’s Culture, the Knowledge of Counselor’s Culture, the Effort to Control the Influences of Counselor’s Culture, the Respect of Client’s Culture, the Knowledge of Client’s Culture, the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Knowledge,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kills, the Knowledge of Intervention Skills of Discriminatory Elements, the Skill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Intervention. For concurrent validity verific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MCCS and the California Brief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Gamst, et al., 2004), the Social Issues Advocacy Scale (Lim, 2016; Nilsson et al., 2011) and multi-cultural counsel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Reliability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Scale was also acceptabl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상담자들을 위한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KMCCS: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Scale for Korean Counselor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상담역량 모형(Arredondo et al., 1996)과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문항을 구성하고, 두 차례에 걸친 예비검사를 거쳐 수정 보완하였다. 본 검사는 480명의 상담자와 상담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검사의 결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별 5문항으로 이루어진 9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요인의 이름은 상담자 문화에 대한 수용, 상담자 문화에 대한 지식, 상담자 문화의 영향 조절 노력, 내담자 문화에 대한 존중, 내담자 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적 지식 활용, 다문화적 기법 수용, 개입기법의 차별적 요소에 대한 지식, 다문화적 상담개입 기술이다. 캘리포니아 간편 문화적 역량검사(Gamst et al., 2004), 사회문제옹호척도(임은미, 2016; Nilsson et al., 2011), 다문화 상담경험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함으로써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개발의 의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은미,김현진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02 社會科學論叢 Vol.18 No.-

        본 연구는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김봉환 등(2001)이 제안한 모듈식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개념을 임은미와 장선숙(2002)이 중등학생을 위해 적용한 것을 대학생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제작되었다. 프로그램 회기는 4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프로그램 분위기 조성 및 온라인 직업흥미검사 실시(60분), 직업흥미검사 결과의 해석과 직업세계의 이해(60분), 정보사냥대회(60분), 직업정보탐색과 마무리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J대학교의 1학년 남녀학생 가운데 자발적인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서 의미있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경향은 진로 의사결정 전체 Q뿐 아니라 문제해결 하위영역을 제외한 목표설정, 계획수립, 자기평가, 직업정보탐색의 전 하위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단기에 실시하는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효능감을 높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using internet on the undergraduat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using internet was developed. The main factors of this program are performing the free on-line interest test, explorating the career information web-sites, and getting career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inter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CDMSE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ventory). But for the problem solving subcategory, this tendency was shown in all the sub factors of CDMSES, i.e. goal-setting, career planning, collecting information, and self -evaluation. The implications about education or counseling programs for the undergrauat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전환 준비도의 관계

        임은미,송미숙,이수진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were to examine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of major transition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For these purposes, we measured and analyzed 514 college students’ intention of major transiti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in South Korea Ho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9.5% students of all the subjects intended to change their major. Especially 50.2% freshmen considered changing their major. 10.3% fourth graders had still the same intention. Second, students of having an opinion for major transition showed lower career identity but higher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than students who didn't intend major transition. Thir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as revealed as a full mediation variable in relationship of career identity and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In conclu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transition preparation.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전환 의향 여부와 전공전환 의향에 따른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전환 준비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공전환 준비도에 미치는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북도 소재 4년제 대학의 남녀 학생 513명을 대상으로 전공전환 의향,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전환 준비도를 측정하고 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전체 중 39.5%의 학생이 전공전환 의향을 가지고 있었고, 1학년 학생의 50.2%가 전공전환 의향을 보였으며, 4학년 학생 중에서도 10%가 넘는 학생이 전공전환 의향을 표시하였다. 전공전환 의향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관계모형을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과 전공전환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전공전환 의향이 있는 학생들 중에서도 진로정체감이 높은 학생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전공전환 준비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준비된 전공전환을 하도록 돕기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성숙도의 발달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임은미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youths' career maturity over time empirically. For this, 425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J city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had taken Career Maturity Inventory by Krivet twice. They took the second test 8 months after the first test.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analysis showed inconsistent career maturity level over age. Thes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of career development theorists. But the results of longitudinal analysis showed considerably consistent career maturity level over age. Thes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of career development theorists.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youths's career matur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youths' sex or ag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developed positively in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omain to the contrary negative change in attitude domain.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contrary development in each domain. 본 연구는 진로발달론자들의 가정대로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가 연령에 따라 상승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J시 지역에 거주하는 425명의 중, 고등학교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8개월의 간격을 두고 <진로성숙도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반복측정 결과에 대하여 횡단분석 절차와 종단분석 절차를 거쳐진로성숙도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발달현상을 규명하였다. 횡단분석 결과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에게서는 진로성숙도가 중고생의 학년 증가에 따른 일관된 증가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종단 분석 결과에서는 대개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서 연령에 따른 증가현상이 나타나서 진로발달론자들의 주장이 대체로 지지되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변화는 성별·학년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컨대, 중학생은 능력영역과 진로준비행동영역은 향상된 반면 태도영역 진로성숙도의 저하 현상이 나타난 데 비해 고등학생에게서는 이와 상반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전공전환 준비도 검사의 타당성 탐색

        임은미,이수진,송미숙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ability of using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level. We tested for 677 college students of J city and S city with preliminary modified 60 items of the Job Transition Preparation Inventory for the Middle-Aged. The preliminary subjects wer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reality tests with data from 209 college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extracted 20 items of 4 sub-factors. The extracted sub-factors were transition confidence, psychological stability, transition urgentness and transition assurance. Validity and reality of Korean College Students' Major Preparation Inventory from 468 college students' final test result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roved to be good fit of 4 sub-factors significantly. Concurrent validity of Korean College Students' Major Preparation Inventor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lso tes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Strengths, limitation of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Inventory for college student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전공전환을 고민하는 대학생을 돕기 위한 전공전환 준비도 검사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전공전환 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 적합도와 통계적 특징 및 검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여 본 검사를 제작․실시한 후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예비검사에 사용한 문항들은 Heppner(1991)와 이윤희(2004)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전직 준비도를 측정한 ‘준․고령자 전직 준비도 검사’(여태철, 황매향, 2009)의 예비검사 문항들을 대학생의 전공전환 상황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예비검사의 대상은 J시와 S시 대학생 209명이었다. 예비검사 결과에 대하여 전문가의 문항 적합도 판정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공전환 준비도 검사는 전환 자신감, 심리적 안정감, 전환 긴요도, 전환 확신의 4요인으로 이루어진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전공전환 준비도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와의 관계분석을 통해 검사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신뢰도 또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