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 재정사업의 평가결과 활용과 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임유미,하연섭 한국국정관리학회 2015 현대사회와 행정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부재정사업 성과평가의 대표적인 정책수단인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의 평가결과 활용이 성과 향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성과평가를 실시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성과평가 활용을 통한 사업의 성과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는 성과평가 결과를 예산배분에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면서, 이를 통해서 성과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에서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의 평가결과 활용이 성과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결과 활용이 사업의 성과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평가결과 활용 외에 사업의 특성이 성과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평가결과의 활용 중 예산의 삭감이 예산의 증가보다 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에서는 평가결과와 예산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재정사업의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사업의 특성 중 사업의 규모가 대규모일 때 성과향상은 부정적인 반면, 사업의 나이가 5년 미만의 신생사업일 때 성과 향상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를 통해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에서는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사업의 특성이 재정사업자율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유미,하연섭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대표적인 정책수단인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결과를 중심으로 예산운용을 하면서 합리성을 추구하는 성과주의 예산제도는 사업에 대한 정확한 성과평가를 기본으로 할 때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 사업자율평가제도는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평가를 실시하면서 사업의 특성이 순수한 성과평가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에 사업의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재정사업자율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업의 특성을 ``사업의 유형``과 ``지표의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재정사업자율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사업의 특성에 관한 변수는 ``사업의 직ㆍ간접 여부``와 ``사업의 지표 수``였으며, 사업의 특성이 재정사업자율평가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재정사업자율평가의 성과평가에서 순수한 성과가 평가될 수 있도록 ``사업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가 결과와 예산편성을 연결시킨 예산제도로써 ``결과``가 좀 더 중점적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환경, 직무스트레스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임유미,심문숙 한국보건간호학회 2022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6 No.3

        Purpose: This study applies an ecological model to investigat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RQOL of industrial employees. Methods: Totally, 133 industrial workers of a vehicle company were enrolled, who understood the purpose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Resul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job Stress(β=-.44, p<.001), and hobbies(β=-.21, p=.013) wer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the Physical Component Summary of HRQOL, which had an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f 11.5%.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Mental Component Summary of HRQOL were job stress(β=-.43, p<.001), and coronary artery disease(β=.17, p=.034) with an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f 13.5%.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is suitable as a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the HRQOL. We further propose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consider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job stress, activation of in-house clubs, and assessing and managing of the risk of cerebral and cardiovascular diseases. .

      • KCI등재

        현대단편소설을 활용한 고급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인지의미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임유미,이희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3 언어와 문화 Vol.9 No.3

        The paper tries to analyze the words and sentences in modern short story with the basis of cognitive semantics and has the purpose to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advanced learners. The Korean learners who approached to the advanced level have learned new vocabulary so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meaning of the words as they approach to the various aspects in the established words. Since the common vocabulary expressed in the modern short story tends to have the connotation as a literary language, those words can be used as a specific and economic learning material. Moreover, when the connotation is connected with the tendency and specific aspects of the modern society, it can be applied effectively for plann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Viewed from these perspectives, expressions in the modern short story are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cognitive semantics-Conceptual Metaphor theory and Frame semantics. It has the aim to approach to the topics showing contemporary social culture. This is not to have the distributive concept but to create the specific meaning through the social-cultural tool and metaphorical mechanism to help learner’s text interpretation ability. As each analyzed expressions are linked to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s, the paper tries to show the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with the materials of language in novel.

      • KCI등재

        선천성 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 및 관련 요인

        임유미,김은숙,유일영 한국아동간호학회 2012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8 No.3

        본 연구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애착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초음파에서 정상 태아 소견을 보인 임부와 비교하고, 모-태아 애착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선천성 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은 정상 임부의 애착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없었다. 태아가 선천성 심장병이 있다는 것 자체는 임부와 태아 사이의 애착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배우자의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태아의 선천성 심장병 유무와 관계없이 배우자의 지지가 애착관계 형성에가장 중요한 관련 변수이다.

      •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임유미,이영숙 한국성품협회 2012 성품저널 Vol.2 No.-

        본 연구는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인관계는 개인의 적응과 성장, 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인 대인관계 경험은 개인의 적응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대인관계가 넓어지는 중학생 시기에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은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삶을 더 풍성하고 조화롭게 만들 수 있다. 대인관계에 대한 고민이 학생들에게 많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찾기가 힘든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에서 신체?심리적 변화가 최고조에 이르나 인지적 발달이 충분치 않아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많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형 12성품교육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아울러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자신들의 행복지수 향상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 중에서 기쁨을 주제로 한 성품교육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켰는지의 여부를 사전?사후 동일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설문지 데이터를 spss 18.0을 사용한 통계처리의 결과가 유의미함을 밝혀 다양한 교육 현장에 폭넓게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사)한국성품협회의 청소년 성품교재 Teen-Teen School 기쁨 교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안양시 S중학교 2학년 9개 학급 학생 336명이었고 8주 동안 주 1~2회에 걸쳐 기쁨을 주제로 한 성품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의 내용은 10분 Happy Time, Story Telling(ST), Think Tank(TT), Real Action(RA), Q&A 순으로 진행되었다.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 검사를 사전?사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 후 t 검증을 통해 효과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생들 각자가 주관적인 점수를 기록한 행복 지수 역시 사전?사후 t 검증을 통해 행복지수의 향상여부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형 12성품교육론에 입각한 성품 수업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와 행복지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폭력 예측용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임유미,김영환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초등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을 위한 스마트 기반 교사지원 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학교폭력의 단초를 미리 예측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의 심적ㆍ행동적 변화 뿐만 아니라 가정적 요인까지 관찰해야 하므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학부모와 소통하는 것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행정적 업무가 감소되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둘째, 학부모들도 학교폭력 예측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교사와 소통하는 것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이었다. 특히, 지금까지 교사와의 면대면 소통에 대하여 느끼는 심적인 부담이나 시간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기대하고 있었다. 셋째,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교사와 학부모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활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기기 중독, 게임 중독, 학습 방해, 무절제 등 여타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을 위한 도구로서의 스마트 기기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use of smart devices as a tool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school violence. To do this, we analyzed, using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felt the need to communicate with parents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because students had to observe not only mental and behavioral changes in school life but also domestic factors in order to predict the outcome of school violence in advance. It should be reduced. Second, parents were very positive about communicating with teachers using smart devices to predict school violence. Especially, I expected the efficiency because I can solve the psychological burden and time constraint that I feel about face-to-face communication with the teacher so fa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smart devices, teachers and parents should solve the problems due to other problems such as smart device addiction, game addiction, and learning disturbance, I was aware of i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ssibility of using a smart device as a tool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school violence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