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외 청각장애 음악연구 동향 분석

        임유경(Lim You Kyoung),이수연(Yi Soo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국내·외 청각장애 음악연구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주요 핵심어와 중심성을 파악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19편, 국외 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주요핵심어의 빈도를 추출하고 상위 50위의 핵심어 간 연결망 및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국내와 국외에서의 청각장애 음악연구 수행률의 연도별 추이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심도 있게 연구될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요핵심어 빈도 분석을 통해 국내는 ‘아동’, ‘음악’, ‘청각장애’, ‘지각’, ‘인공와우이식’, 국외는 ‘music(음악)’, ‘cochlear implant(인공와우이식)’, ‘perception(지각)’, ‘listen(감상)’, ‘user(사용자)’가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어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핵심어 간 연결 빈도 분석을 통해 국내는 ‘청각장애’와 ‘아동’, ‘인공와우이식’과 ‘아동’, ‘건청’과 ‘아동’, ‘음악’과 ‘지각’, ‘음정’과 ‘지각’, 국외는 ‘cochlear implant(인공와우)’와 ‘user(사용자)’, ‘music(음악)’과 ‘perception(지각)’, ‘cochlear implant(인공와우)’와 ‘cochlear implant(인공와우)’, ‘speech(언어)’와 ‘perception(지각)’, ‘normal hearing(건청)’과 ‘listen(감상)’이 관련성 높은 주제어로 나타났다. 넷째, 주요 핵심어의 중심성 분석을 통해 국내는 ‘청각장애학교’, ‘노래’, ‘프로그램’, 국외는 ‘performance(연주)’, ‘hear(듣기)’가 확장성 있는 핵심어로 향후 연구가 수행될 영역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음악연구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청각장애를 위한 주요 중재 매체인 음악요소, 활동 및 대상에 대한 주제어와 향후 연구 분야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청각장애를 위한 음악적용 근거도출을 위한 연구동향 분석 및 심리·정서 영역에서의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by identifying the major key words and centrality from the domestic articles on the hearing impairment and the music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19. To do that, a total 19 domestic articles and 71 overseas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 connection frequency and the centrality among the key words were analyzed from the 50 major key words having higher frequency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music and hearing impairment has been increased constantly and this area is the main field to be studied. Second, for the domestic, ‘Child’, ‘Music’, ‘Hearing impairment’, ‘Perception’ and ‘Cochlear implant’ and for the overseas, ‘Music’, ‘Cochlear implant’, ‘Perception’, ‘Listen (Appreciation)’ and ‘User’ were main key words. Third, for the domestic, ‘Hearing impairment’ and ‘Child’, ‘Cochlear implant’ and ‘Child’, ‘Normal hearing’ and ‘Child’, and ‘Music’ and ‘Perception’, and ‘Tune’ and ‘Perception’, for the overseas, ‘Cochlear implant’ and ‘User’, ‘Music’ and ‘Perception’, ‘Cochlear implant’ and ‘Cochlear implant’ , ‘Speech’ and ‘Perception’, ‘Normal hearing’ and ‘Listen (appreciation)’ were highly relevant key words. Fourth, for the domestic, ‘Music education’, ‘Song’,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for the overseas, ‘listen’, ‘performance’ were the key words for expansion that will be studied.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verified the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and topics to be treated as important in future by identifying major key words and centrality about the music and hearing impairment research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

      • KCI등재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효과 및 상관관계

        김희정(Kim, Hee-Jung),임유경(Lim, You-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있어 유아의 연령별, 성별 차이와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고,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N시와 G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4곳에 재원중인 만 3세-만 5세 유아 2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다중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류숙희ㆍ김주현ㆍ박은실(2005)의 PMI 척도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ㆍ김승희(2010)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18.0을 사용하여 이원변량분석과 LSD추후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지능과 자기성찰지능에서, 그리고 인지적 자아존중감과 가족수용 자아존중감에서 유아의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ge and gender difference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gender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Also it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213 children from three-year-olds to five-year-olds in four kindergartens in G city and N city. Using PASW program ver.18.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two-way ANOVA, LSD post-analysis, and Pearson 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not young children’s genders but young children’s 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ub-area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s age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gender in Children’s sub-areas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multiple-intelligences and total self-esteem.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관한 연구

        정명자(Chung, Myoung Ja),임유경(Lim, You Kyoung),김동례(Kim, Dong Rye) 한국생활과학회 201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father’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among the children’s variables, parent’s variables, and parent’s reactions. The subjects selected were 183 mothers and 183 fathers with children aged three to five-years-old, from a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in Kwang-ju. Parental emotion-related practices regardi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assessed with an adaptation of the CCNES(Fabes et al, 1990) that was modified by Kim Hee-Jung(1994). Descriptiv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ing the SPSS 1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thers and mothers used more positive reactions than negative reactions when their children showed negative emotions. The mot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athers on encouragement of expression, punitive, and distress reactions. Second, the children’s age and gender, parent’s ag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were negatively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father’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공감 간의 관계

        김희정(Kim, Hee Jung),백영애(Baek, Young Ae),임유경(Lim, You K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공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공감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유아교사 226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 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그리고 공감의 수준을 살핀 결과, 교사효능감과 공감의 평균은 5점 평정척도에서 보통보다 약간 높았으며, 직무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공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공감은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효능감과 공감의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공감적 관심, 상상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공감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226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C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than averaged job satisfaction, efficacy, and empath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job satisfaction, efficacy, and empathy.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individual teacher efficacy, general teacher efficacy, empathic concern, and fantasy. In conclusion,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methods to develop their efficacy, and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보육인력(保育人力) 자격관리(資格管理) 현황(現況)과 제도(制度) 개선방안(改善方案)

        서문희 ( Moon-hee Suh ),이상헌 ( Sang-hun Lee ),임유경 ( You-kyoung L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保健社會硏究 Vol.20 No.2

        이 논문은 보육인력의 자격관리제도 개선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에서 보육인력의 전문성과 보육인력이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현재 보육인력 자격관리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격기본법』 에 기초한 보육인력 자격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시설에서는 아동과 가정의 복지를 위한 영양·건강·안전 등의 보호적 기능, 교육적 기능, 사회 서비스 기능 등을 통합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먼저 보육인력의 전문성이 확보되어 야 하는데, 이와 같은 전문성은 보육인력 자격제도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확보·유지될 수 있다. 자격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평가 인정된 지식·기술의 습득정도로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이다. 그러므로 우선 보육인력에 대한 자격 기준을 엄격하게 설정하여야 하고, 보육교사를 배출·공급하는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이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성 확보에 적절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 대학에서의 인정 교과목이나 보육교사교육원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두 번째로는 국가가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발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유아보육법에서 검정의 기준, 방법, 절차 등의 제도가 적절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자격을 취득한 자는 자격과 관련된 직무능력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현재의 보수교육체계를 강화하여 보수교육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일정기간 단위로 보수교육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승급과 연계시켜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improving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childcare personnel. In order to this ends, it will be reviewed how much the profession of childcare personnel affect to the quality of childcare. Also, the present situation of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of childcare personnel will be reviewed. According to this review, the improved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of childcare personnel is suggested. Childcare institutions should guarantee a variety services including nutrition care, health and safety of children,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In order to provide these services to children, childcare institutions must first of all employ childcare personnels who have completed professional childcare programs. Second, childcare institution must effectively manage these personnels through an efficient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ird, the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childcare personnel must rigidly be set up. Fourth, efficient educational courses should be offered a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rain and teach those who aspire to work in the childcare sector. The courses should be updated and improved regularly. Fifth, government must grant a qualification paper to those who are recognized as qualified. In order to set up an efficient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e childcare law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must be revised to be established standard, method, process for the qualification review. Lastly, the childcare personnels must be re-trained and re-educated regularly to work continuously in the childcare sector. Mandatorization of regular re-training and integration of re-training and re-education programs with wage of promotion system will be required to establish an efficient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