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 유형화와 맞춤형 서비스 설계 방안 연구 :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중심으로

        임예직,김주옥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7 No.57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맞춤형 서비스 설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유형화된 장애정도에 따른 돌봄 부담 수준과 서비스 욕구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에 응답한 2,87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여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를 유형화하였다. 다음으로 회귀분석으로 유형화된 장애정도가 돌봄 총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서비스 욕구 파악을 위해 유형화된 장애정도에 따른 대응일치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는 ‘최중증’, ‘중증’, ‘경증’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유형화된 장애정도가 높을수록 보호자의 총 돌봄 시간은 길어졌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유형화된 장애정도에 따라 원하는 서비스 종류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호자의 돌봄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설계 및 수립해야 한다는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대상 설문조사의 조사 방법에 따른 비표본오차 비교 : 대면조사와 비대면조사 방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예직 통계청 2023 통계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non-face-to-face surveys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such as COVID-19 and to find an appropriate survey metho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PWDs). To this e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s of 3,695 people who responded to the 2021 PSED(Panel Survey Employment for PWDs) 2nd wave, and statistically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 responses depending on the face-to-fac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when a survey was conducted on PWDs, mixed results may appear according to the survey questions rather than the survey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sability acceptance, which is a subjec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survey method,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house income, which is an objective matter, according to the survey method, resulting in conflicting results. When designing a survey for PW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introducing non-face-to-face surveys for individual subjective or qualitative survey questions, but if objective or sensitive items such as income are included, more detailed consideration is needed when applying the survey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등 변화하는 사회환경에 따라 도입되고 있는 비대면조사와 관련하여, 비대면조사 적용 여부에 따른 응답 내용의 통계적 차이를 검증한 후 장애인을 대상으로 적절한 조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에 응답한 3,695명의 응답 결과를 기반으로 성향점수매칭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면조사 여부에 따라 응답자의 응답 내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할 때는 조사방법보다는 조사항목에 따라 혼재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관적인 내용인 장애수용도는 조사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객관적인 사항인 소득은 조사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어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설계할 경우, 개인의 주관적인 사항 또는 정성적인 설문조사 항목은 비대면조사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해볼 수 있으나 소득과 같은 객관적인 사항 또는 민감항목이 포함되어 있다면 조사방법을 적용할 때 보다 세밀한 고려가 필요하며, 행정자료 연계와 같은 방안을 적극적으로 도입 및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인식 유형에 따른 장애인 고용수준 비교

        임예직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of PWDs(persons with disabilities) by companies and to empirically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employment of PWDs depending on the types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of PWDs. To this end, data from 6,285 enterprises that responded to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9 Survey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PWDs in Business was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of PWDs in corporations. Next, a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mployment of PWDs and the level of employment of PW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ypes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of PW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completely positive’, ‘somewhat positive’, ‘positive reaction to others’, ‘somewhat negative’, and ‘completely negative’. Second, the types that are highly likely to comply with the duty to employ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as ‘positive reaction to others’, ‘somewhat positive’, and ‘completely positive’. Third, as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creased positively, the level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PWDs in the workplace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need for additional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ncrease positive awareness among colleague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ve response type of others is suggested. 본 연구는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인식 유형을 살펴보고, 장애인 고용인식 유형에 따라 장애인 고용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19년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에 응답한 6,285개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인식을 유형화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대응일치분석으로 유형화된 장애인 고용인식과 장애인 고용수준 간 관계를 직관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형화된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인식이 장애인 고용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 고용인식 유형은 ‘매우 긍정형’, ‘다소 긍정형’, ‘타인 반응 긍정형’, ‘다소 부정형’, ‘매우 부정형’ 5가지로 구분되었다. 둘째, 장애인 고용의무를 준수할 가능성이 높은 유형은 ‘타인 반응 긍정형’, ‘다소 긍정형’, ‘매우 긍정형’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인 고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장애인 고용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 장애인식 개선 교육의 실효성을 강화해야 하며, 타인 반응 긍정형 유형을 고려하여 동료 간 긍정적인 인식을 증대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추가로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장애인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임예직,문영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 노동 규모 및 현황을 파악하고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고용, 임금, 사회보험의 세 측면을 고려하여 노동시장 불안정성을 개념화 한 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4차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자 1,614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정 상태에 있는 장애인 임금근로자는 61.2%로 나타나, 전체인구 불안정 노동자 비율의 약 2배 가량으로 나타났다.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보면 개인 요인에서는 여성인 경우, 고령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인 경우 불안정 노동에 종사할 확률이 높았다. 장애 요인으로는 정신적 장애 또는 감각장애를 가진 경우, 중증일수록 높았다. 노동시장 요인에서는 2차 산업 및 사회간접자본이 포함된 공익산업과 서비스업, 기능기계조작,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경우 불안정 노동에 참여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노동시장 참여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개인 및 장애 요인 외에도 노동시장 요인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cale and status of precariousness in the disabled labor market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precarious labor. After conceptualizing precariousness in disabled labor market in three aspects of employment, wages and social insurance, 1,614 disabled paid-workers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analysis showed that 61.2 percent of disabled paid-workers were in an precarious state, about twice the rate of total population precariousness. Looking at the factors influencing precarious labor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individual factor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precarious labor in the case of women, the older, the lower their education, and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In the case of mental disability/sensory disability and the higher the severity, the higher the precariousness. In the labor market factor,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precarious labor was significantly high when working in the public service industry, service industry, technical machinery operation, and simple lab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labor marke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individual and disability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precariousness of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for the disabled.

      • KCI등재

        발달장애인 취업자의 초기 업무적응 기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과 고용유지 방안 모색

        임예직,김주옥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60 No.60

        본 연구는 동일 직장에서 장기간 고용을 지속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취업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초기 업무 적응기간이 짧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초기 업무 적응기간을 단축시키는 영향 요인에 대해서 탐색하고, 발달장애인 취업자의 고용유지를 증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491명의 발달장애인 취업자를 대상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업무적응 기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 수준과 사업체의 산업 및 업무의 기술적 난이도, 주관적 근로능력과 발달장애인 본인의 업무 만족이 업무의 적응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체 내에서 주기적인 상담을 진행하거나 업무 시간을 조정해주는 경우 초기 업무 적응기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용 초기 단계에 업무 적응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유연한 근로제도를 운영하고 주기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인력의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장애인의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임예직,문영민,이정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2 No.-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언택트 상호작용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장애인의 정보통신 서비스 활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정보통신 서비스 활용 변화 패턴이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에서 총 2,200명의 장애인 표본을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변화 패턴을 유형화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화 패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이 주요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 변화 유형은 평균형, 감소형, 증가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유형별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노동시장 요인, 역량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감소형과 증가형이 될 확률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정보화 역량 역시 감소형과 증가형이 될 확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정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 정보통신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확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