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탄력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임소현(So Hyun Im),이영광(Yeong Gwang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직업 세계로 인해 야기되는 혼란과 어려움 속에서 개인이 변화에 대처하고 적응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인 진로탄력성의 선행 및 결과 변인 간 상관계수의 평균 효과크기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RISMA flow chart를 기반으로 문헌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19편(학술지 12편, 학위논문 7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메타분석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문헌을 분석하였고 R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패키지인 ‘meta’, ‘metafor’를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 출간 편향 검정, 효과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을 적용하여 높은 효과크기, 중간 효과크기, 낮은 효과크기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탄력성과 선행변인으로써 진로장벽이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였고, 결과변인으로써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인 계획수립, 목표설정, 문제해결, 자기평가 및 정보수집에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의 구성요인인 정보수집행동과 도구준비행동 및 진로준비행동 전체에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대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에 따라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과 후속 연구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siz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antecedence and consequence 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the ability and attitude of individuals to cope with and adapt to change in the chaos and difficulties caused by the changing work worl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was collected based on the PRISMA flow chart. Finally, 19 papers (12 journal papers and 7 thesis) were se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selected literature was analyzed using meta-analysis research method, and homogeneity test, publication bias test, and effect siz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meta’ and ‘metafor’, which are meta analysis packages of R program. Effect size was classified into high effect size, medium effect size and low effect size by applying Cohen (1988) criteria. As a result, first, career barriers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 as career resilience and antecedence 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s. Second, the constitutive factors of career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planning, goal setting, problem solving, self-assessment, and information gathering, which are the constitutive fa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Third, the constitutive factors of career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 tool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re the constitutive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study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study subjects. Final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임소현(Im, So-Hyun),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2

        이 연구는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수입과 비용의 재정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함에 있어 사립대학을 소재지, 규모, 계열 등의 특성에 따라 중도탈락학생비율에 영향을 주는 재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에서 2011년까지 총 4년간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공시된 4년제 일반 사립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축적된 자료를 학교단위의 패널데이터로 구축하여 패널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에는 전반적으로 재학생 1인당 산학협력ㆍ보조금수익, 학생 1인당 교육비,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이 영향을 미치는 재정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재학생 1인당 산학협력ㆍ보조금수익과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는 재정요인으로,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사립대학 특성에 따라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거나 또는 높이는 재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립대학의 특성별로는 수도권 소재 대학의 경우 학생 1인당 교육비가,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경우 재학생 1인당 산학협력ㆍ보조금수익이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는 재정요인으로 나타났고, 규모 및 계열에 따라서는 대형 규모 사립대학과 인문사회계 중심의 사립대학의 경우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이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는 재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은 수도권 소재 대학보다 비수도권 소재 대학이 높고, 규모가 작은 대학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은 등록금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정부나 기업체 등 외부의 재정지원과 장학금 지원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립대학의 규모와 소재지가 교육성과인 중도탈락학생비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규모의 크기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대학의 성과지표인 중도탈락률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문사회계 중심의 사립대학이나 재학생 수가 15,000명 이상인 대형 규모의 사립대학의 경우 중도탈락학생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재정요인이 다른 집단들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여, 대학의 특성에 맞는 재정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부의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의 방향을 장기적으로는 학생에 대한 직접 투자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으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국가장학금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도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at the financial factors in aspect of income and cost influenc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of Korean private colleges. The data of 4-year general private colleges disclosed through the Websit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over the four years from 2008 through 2011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and the accumulated data were constructed into panel data with unit of college and thereby the pan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 income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subsidy per enrolled student,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and scholarship per enrolled student are the financial factors influenc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of private colleges. The income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subsidy per enrolled student and scholarship per enrolled student were analyzed as the financial factors de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and the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by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colleges was analyzed as the financial factor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By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colleges,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is the financial factor de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in colleges located in capital area, and scholarship per enrolled student is the financial factor de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in college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 dropout rates of private colleges are higher in colleges located in non-capital area than in colleges located in capital area, and are higher in colleges of smaller scal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nalysis, it is desirable to convert the directions of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colleges into the direct investment for students, and it is needed to constantly discuss the policies of national scholarship being currently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needed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financial investment plans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 KCI등재

        수요집단 특성에 따른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 연체율 분석

        이윤희(Lee, Yoon hee),임소현(Im, So hyun),한유경(Han, You 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1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교육투자의 정책 대안인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는 대학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쟁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대출금리유형(무이자, 저리, 일반), 전공계열(인문, 사회, 교육, 자연, 공학, 예체능, 의약, 기타), 설립주체(국립, 공립, 사립), 설립유형(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 기타대학), 대학소재지(수도권, 비수도권)에 따라 연체율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 연체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출금리유형, 전공계열, 설립주체, 설립유형, 대학소재지에 따른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 연체율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 변인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대출금리유형, 전공계열, 설립주체, 설립유형, 대학소재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대출금리유형, 설립유형, 대학소재지, 전공계열, 설립주체 순으로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 연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의 연체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자금대출을 실시할 때 신청자의 대학 입학금 및 등록금만을 기준으로 대출금을 책정할 것이 아니라 대학소재지, 전공, 설립주체, 설립유형 등 학자금대출 신청자의 개인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차별화된 학자금대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특성에 따라 분류된 대학별 자료를 사용하였고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을 받은 후에 졸업 및 취업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연체율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Devised as a policy alternative for educational investment to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y, government student loan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education. This research, based on extant literature in the field, analyzes default rate with respect to loan interest type(No interest, Low interest, General interest), student major(Humanities, Social Sciences, Education, Natural Science, Engineering, Medicine/Pharmacy, Performing Arts/Sports), university founding body(National, Public, Private), university founding type(University, College, Grad. School, Miscellaneous), and location of university(Cpital City, Provinces), and examines if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efault rat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nalyses show that loan interest type, major, university founding body, university founding type, and location of university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in influencing default rat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all the factors exert significant influence upon default rate, and the strength of their influence is in the following order (from strong to weak): loan interest type, university founding type, location of university, major, and university founding body. However, this result should be interpreted with two qualifications: first, the data used for the analyses are not those of individual loan recipients but of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classified based on different attributes; and second, default rate has been measured without differentiating those who graduated (and are employed) from those who did not.

      • KCI등재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내용 분석

        정철영(Chul-young Jyung),정진철(Jinchul Jeong),이종범(Jongbum Lee),남중수(Jungsoo Nam),정지은(Jieun Jeong),임소현(So Hyun 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운영 중인 강좌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여 교원 양성기관에서 진로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은 ① 초·중등 진로교육 및 초․중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②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영역 도출, ③ 초·중등 교원 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관련 강좌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④ 교원 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도출로, 관련 문헌 분석 및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관련 강좌 강의계획서 내용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개념, 초등학교의 진로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등의 내용을 다루고 실제로 모의수업을 통해 경험해 보는 강의가 필요하다. 또한, 초등 진로교육 단계의 진로교육 목표 중 중요한 부분의 하나가 긍정적인 직업관 형성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그에 대한 내용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중등교원 양성기관에서는 교직이수 및 대학원 등의 과정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는 사범대학 내에서도 교원의 진로교육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예비교사의 진로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가 필수로 이수하는 교육과정 내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운영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며, 현재 중등교원 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및 보완을 위해 표준화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ourses operated in relation to career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educ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pecific objectiv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we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and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econd, to derive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content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ird to analyze 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 fourth,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eacher"s education related to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literature and syllabus of lectur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pera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mostly include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career theory and self-understanding area. However, understanding of changing gender role, attitudes for occupation and the formation of habits need to be more important. Second, in the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t needs to more cover the contents of school career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tandardized contents of the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th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 대구시티투어 참여 동기와 만족

        김원인,임소현 啓明大學校 産業經營硏究所 2004 經營經濟 Vol.37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domestic Korean tourist market of the City Tour program in Daegu, Korea. This stud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Daegu City Tour program itself, considering it as a tourist attraction. This research paper will provide the program supplier with valuable information to meet the wants and needs of domestic Korean city tour users by indentifying their moti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urists' main motivations to use the city tour program were relaxation, experience and social activity, which influenced their overall satisfaction. This study found that relaxation influenced tourist overall satisfaction most, followed by experience and social activ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s prior to the city tour and satisfactions post the tour, the tourist satisfaction level was highly correlated with several dynamic tourist factors such as economic, social, education, customer service and tourist attractions. Tourists showed high expectations of such factors as systematic tour route of operation, low price, good time value and ease of accessibility. Third, tourists' high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positive and high perceived performance. Tourist satisfaction of high perceived performance has a lasting positive impression. Moreover, higher overall satisfaction was prove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uture repeat intentions, future recommendation to acquaintances and family, and promotion. Finally, this study should be a significant source in providing practical and valuable information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of the Daegu City Tour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