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치성 치통의 치험 증례

        윤승현,최종훈,김성택,안형준,권정승,Yoon, Seung-Hyun,Choi, Jong-Hoon,Kim, Seong-Taek,Ahn, Hyung-Joon,Kwon, Jeong-Seung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8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3 No.4

        치아의 통증은 구강안면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통증이다. 대부분의 치아 통증은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병적인 변화로 인한 치성 통증이지만, 구강안면부의 다른 구조물의 병적 변화 또는 다른 질병 등에 의한 통증이 치아의 통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흔히 존재하며, 이러한 통증을 '비치성치통'이라고 한다. 비치성치통은 통증의 발현 부위와 통증의 원인 부위가 일치하는 원발성 통증이 아니라, 통증의 발현 부위와 통증의 원인 부위가 동일하지 않은 이소성 통증에 속하므로 통증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만 개선될 수 있다. 비치성 치통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신경병증성 통증, 부비동질환 기원의 통증, 근막통증, 신경혈관성 통증, 심장질환, 두개 및 구강안면부 종양, 중이염 등에 의한 전이통, 심인성 원인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의한 통증이 치아부위에 나타나는 경우 치아 및 치주조직에 대한 임상 및 방사선 사진 검사 상 병적인 소견이 관찰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치아통증과 유사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임상가들은 비치성 치통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및 관련 증상들에 대하여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세심한 병력 청취, 치아 관련 구조물 및 그 외의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임상 검사를 통해 치성 통증과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치아 통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비치성 치통으로 내원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증례를 통해, 비치성 치통에 대한 고찰 및 진단과 치료시의 고려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말초 opioid의 통증조절

        배성제,김완수,강수경,어규식,홍정표,전양현,Bae, Sung-Jae,Kim, Wan-Su,Kang, Soo-Kyung,Auh, Q-Schick,Hong, Jung-Pyo,Chun, Yang-H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4

        이 연구에서는 말초 opioid 수용체를 이용한 저작근 통증 조절 시 성별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RDC/TMD로 진단된 지원자 남성 20명, 여성 20명을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1.5 mg 주사군, morphine 3 mg 주사군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평가, 맥길통증설문지 평가, 통증부위표시평가 그리고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평가와 압력통증한계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각유추척도평가에서는 남녀 모두가 morphine 3 mg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 (male: p<0.05, female: p<0.05) 2. 맥길통증설문지 평가에서는 남녀 모두가 morphine 1.5 mg군 보다 morphine 3 mg군에서 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 (male: p<0.001, female: p<0.01) 3. 통증부위표시평가와 압력통증역치평가에서는 남성이 morphine 3 mg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 (PD: p<0.001, PPT: 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저작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서 morphine 3 mg을 통증부위에 주사한 경우 객관적인 통증 평가에서 여성 환자보다 남성 환자에게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시간에 따른 그리고 용량에 따른 남녀 치료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ex differences in the pain control effect by morphine injection to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and diagnosed by RDC/TMD.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each from male (n=20) and female (n=20); saline injection group (n=5), lidocaine injection group (n=5), morphine 1.5 mg injection group (n=5) and morphine 3 mg injection group (n=5). Evaluation list was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visual analogue scale, Mc Gill pain questionnaire, pain drawing) and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pressure pain threshold, pressure pain tolerance) and evaluation time was injection before, after 1 hour, 24 hour, 48 hour and then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ale and fema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morphine 3 mg group in visual analogue scale evaluation. (male: p<0.05, female: p<0.05) 2. The male and female were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morphine 3 mg group than morphine 1.5 mg group in McGill pain questionnaire evaluation. (male: p<0.001, female: p<0.01) 3. The ma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morphine 3 mg group in pain drawing evaluation and pressure pain threshold evaluation. (PD: p<0.001, PPT: p<0.05)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morphine 3 mg injection for masticatory muscle pain was effective to pain control male patients and more effect than female patients in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

      • KCI등재

        사이버 치과 진료 상담을 통해 살펴본 구강내과 질환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김수범,정재용,김철,김영준,박문수,Kim, Su-Beom,Jeong, Jae-Yong,Kim, Cheul,Kim, Young-Jun,Park, Moon-S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8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3 No.4

        현대화 사회로 갈수록 현대인들은 대도시 중심의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측두하악장애, 구강점막 질환, 만성 신경병변성 통증 등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홈페이지의 사이버 진료실에 게재된 질문들의 내용들을 검토해서 치과 진료과별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구강내과 영역에 해당되는 질환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전체 2000여 개의 질문 중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질문은 20.92%이었고, 구강악안면외과 진료에 속하는 질문이 16.87%, 치과보존과 16.67%, 치과교정과 14.02%, 치과보철과 12.25%, 치주과 8.36%, 소아치과 4.93%, 예방치과 2.08%, 기타 질문이 3.90%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403개의 질문 중 구강점막 질환에 대한 질문이 44.17%,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질문이 41.19%, 구취에 관한 질문이 4.47%, 구강 건조와 관련된 질문이 3.23%, 다른 구강안면통증에 관련된 질문이 2.23%, 법치의학과 관련된 질문이 1.49%, 기타 질문이 2.98%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영역 질환에 대한 질문의 비율이 타과 진료 영역 질환과 관련된 질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해 볼 때, 구강점막 질환과 측두하악장애를 포함한 구강내과 질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말초 opioid 수용체에 의한 저작근 통증의 조절 효과

        고석호,강수경,어규식,김은철,홍정표,전양현,Ko, Seok-Ho,Kang, Soo-Kyung,Auh, Q-Schick,Kim, Eun-Cheol,Hong, Jung-Pyo,Chun, Yang-H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2

        이 연구는 저작근 통증 환자에게 Morphine을 주사하였을 때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RDC/TMD로 근막통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이 지원하였다. 실험군은 총 네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1.5mg 주사군, morphine 3.0 mg 주사군에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검사, 맥길통증설문지검사 그리고 통증부위표시검사와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검사와 압력통증한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3 mg 군은 48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VAS: p<0.01, MGQ: p<0.001, PD: p<0.05) 2. 객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1.5 mg 군은 1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PPT: p<0.01, PPTol: p<0.05) 3. 맥길통증설문지에서 lidocaine 군, morphine 1.5 mg 군 그리고 morphine 3 mg 군은 모두 처치 후 1시간부터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morphine 3 mg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1h: p<0.01, 24h: p<0.01, 48h: 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저작근에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morphine 주사 시 주관적인 평가에서 48시간 후 통증 조절 효과가 있었고, morphine 3 mg이 더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시간 연장에 따른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ain control effect by morphine injection to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and diagnosed by RDC/TMD.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saline injection group (n=10), lidocaine injection group (n=10), morphine 1.5 mg injection group (n=10) and morphine 3 mg injection group (n=10). Evaluation list was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visual analogue scale, Mc Gill pain questionnaire, pain drawing) and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pressure pain threshold, pressure pain tolerance) and evaluation time was injection before, after 1 hour, 24 hour, 48 hour and then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morphine 3 mg group after 48 hour. (VAS: p<0.01, MGQ: p<0.001, PD: p<0.05) 2.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morphine 1.5 mg group after 1 hour. (PPT: p<0.01, PPTol: p<0.05) 3. The morphine 3 mg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lidocaine group and morphine 1.5 mg group statistically in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evaluation. (1h: p<0.01, 24h: p<0.01, 48h: p<0.001)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morphine 3 mg injection was effective to pain control for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within 48 hours and more effect than lidocaine injection.

      • KCI등재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에 관한 분석 연구

        고명연,허준영,옥수민,김경희,정성희,안용우,Ko, Myung-Yun,Heo, Jun-Young,Ok, Su-Min,Kim, Kyung-Hee,Jeong, Sung-Hee,Ahn, Yong-W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2

        구강내과는 측두하악관절장애 및 신경병성통증 등과 같은 구강안면 통증, 연조직 질환, 구취, 레이저 치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법치의학적인 감정 분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질환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며 환자에게 큰 불편과 고통을 안겨주며 때로는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하기도 한다. 구강내과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현대 사회로 갈수록 생활 패턴의 변화와 스트레스 증가 등의 원인으로 턱관절 장애를 포함한 구강 안면 통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연조직 질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법치의학적인 감정 등과 같은 구강내과적인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의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치과학 중에서 구강내과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다. 연간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의 질병명에 따른 분포도와 증상의 이환 기간, 내원 경로 등을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구강내과의 역할과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환자를 위한 원활한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년간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을 분석하여 향후 구강내과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신환은 주로 측두하악장애, 연조직 질환, 신경병성 통증 환자로 나타났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신환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세부 진단순은 복합 장애 환자, 근육통 환 자, 관절원판 내장증 환자 순이었다. 3. 연조직 질환 환자 중 구강건조증 환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그다음 편평태선 환자,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순이었다. 4. 신경병성 통증 환자에서 구강 작열감 증후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Oral Medicine includes temporomandibular disorder, orofacial pains such as neuropathic pain, soft tissue diseases, halitosis, laser treatment, snoring, sleep apnea and identification through forensic dentistry etc. Such diseases are relatively common and cause great inconvenience and pain to the patients, as well as incur fatal health scare at times. In terms of oral medicine, the number of orofacial patients is growing due to a change in the life style and an increased stress as time goes in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demand of areas requiring oral medical professionalism, such as soft tissue lesions, snoring and sleep apnea, forensic dentistry evaluation and others are rapidly ascending. Consequently, among the areas in dental science, the calls for the expertism in oral medicine and its role are mounting. Analyzing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disease entity, symptoms, duration of disease, and the prehistory courses of new patients visiting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in a year provides information of the rol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oral medicine in prospect and enables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s for the patient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by analyzing new patients visiting the oral medicine clinic in our dental hospital for a year and by evaluating the role and the professionalism in future oral medicine, the authors concluded the followings: 1. It was founded that new patients to oral medicine mainly ha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oft tissue diseases, and neuropathic pains. 2.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order within this was the patients with combined disorders, muscle disorder, and internal derangement of joint disc. 3. The number of patients with xerostomia appeared to be the highest percentage within soft tissue disease, followed by lichen planus and recurrent apthous ulcers. 4.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ppeared to be the highest percentage within neuropathic pai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효과 및 관절면의 변화 비교

        전혜미,김경희,옥수민,허준영,정성희,고명연,안용우,Jeon, Hye-Mi,Kim, Kyung-Hee,Ok, Soo-Min,Heo, Jun-Young,Jeong, Sung-Hee,Ko, Myung-Yun,Ahn, Young-W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4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만 12세-19세(평균나이 : $15.75{\pm}2.17$세)의 청소년환자 중 임상검사, 방사선검사 및 전산화 단층촬영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을 통하여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고 하나이상의 과두나 하악와의 관절하골에서 erosive change를 보이는 149명 167개의 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평균 9개월($9.03{\pm}4.64$ 개월) 이후 CBCT를 재촬영하고, 임상검사를 재실시하였다. 구강내과 전문의와 치과 방사선과 전문의가 영상 진단을 하였고, 임상 검사 결과와 CBCT의 영상 결과를 추적 연구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약물치료, 물리치료, 행동조절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은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치료 후 통증, 개구제한 증상에서 유의한 증상 개선을 나타냈다. 2.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급성환자군은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급성환자군보다 치료 후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이 더 많이 개선되었고, 그 중 통증과 개구제한은 유의한 증상 개선을 보였다. 3. 치료 후 침식을 보이는 하악과두의 골변화 양상은 치료방법에 상관없이 개선되는 방향(improved)으로 진행되었으나,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에 비해서 교합압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하악과두의 침식성 골 변화가 더 악화(worsen)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반대쪽 하악과두에 새로운 침식이 나타난 경우도 더 많이 관찰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and to assess follow-up study of condylar bony change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n adolescents patients (12-19 years) with TMJ osteoarthritis(OA). 167 eroded condyles in 149 subjects were chosen among the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of Pa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iagnosed as TMJ osteoarthritis by clinical exam, x-ray and CBCT from 2009 to 2012. They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physical therapy, medication, behavioral therapy and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After average 9 months, CBCT was retaken and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were investigated. Condyle bony changes were classified by unchanged, less severe and more seve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1. Pain, Noise, LOM(Limitation of motion) and MCO(Maximum comfortable opening) measurement of TMJ OA patients were markedly improv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2. In the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Pain and LO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d than non-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3. In the acute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Pain and LOM were remarkably improved. 4. In comparison of CBCT1 and CBCT2 images, the transition of bone changes to lesser severe was most commonly in joint with erosive change. 5. In the non-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the transition of condylar bone changes from erosion to more severe was many than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 SCOPUSKCI등재

        어깨관절과 상박부 통증에 대한 견해

        강영선(Yeong Seon Kang),송찬우(Chan Woo Song) 대한통증학회 1996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9 No.1

        N/A Localized or radiating pain in the arm and shoulder joint may result after faulty alignment causing compression or tension on nerves, blood vessels, or supporting soft tissues. The critical site of faulty alignment is the quadrangular space in the axilla bounded by the teres major, teres minor, long head of triceps, and humerus. The axillary nerve emerges through this space to supply the deltoid and teres minor. The activity of the trigger point on teres minor compressing the axillary nerve causes pain to develop through the area of sensory distribution of cutaneous branch of the axillary nerve. Relieving compression on the axillary nerve and suprascapular nerve is the key point to re- lieving the pain. Spasm of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compressing the suprascapular nerve caused pain to develop in the shoulder joint and scapular area. We treated those patients experiencing such pain with local anesthetic infiltration or I-R laser stimulation on the identi- fied trigger points.

      • SCOPUSKCI등재

        전기수지자극의 통증관리효과 - 척추후궁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통증과 경추부 염좌환자에 대한 통증관리효과 -

        이상훈(Sang Hun Lee),김성곤(Seong Kon Kim),우남식( 대한통증학회 1996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9 No.1

        N/A Electrical stimulation is a common method for successful pain management for both acute and a some cases of chronic pain. The incidence of cervical sprain is very high with automobile accidents. Treatment of cervical sprain is consists of analgesic drugs and physi- cal therapy. Lower back pain is a common problem in pain clinics. Back pain management are complex, so we have difficulty to choose best treatment modality. The prevalence of herniated lumbar disc(HLD) is 1-3% of lower back pain. The cases of laminectomy varies between 10-20% and postoperative pain is prolonged for several day. We applied Acupuncture like TENS(ALTENS) on the digit for cervical sprain patients and post laminectomy pain patient for three days. The result was very satisfactory. And we found that total hospital days in ALTENS groups are shorter than control group in both disease entities. In conclusion, acupuncture like TENS on finger control gate is an effective method of the pain management.

      • SCOPUSKCI등재

        통증치료를 위한 신경차단 중 발생한 드문 합병증 3예

        김갑동,최현규,윤영무,최훈,Kim, Gab-Dong,Choe, Hyun-Kyu,Yun, Young-Moo,Choe, Huhn 대한통증학회 1989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2 No.2

        통증치료의 분야에서 뿐 만 아니라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의 전반에 걸쳐 예기치 못한 합병증의 발생은 어쩌면 피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는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언제고 염두에 두어야하고, 일단 합병증이 발생하였더라도 임기응변으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폭넓게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통증치료목적으로 지주막하 alcohol차단, 경천추차단, 경막외 catheter 거치중 폐기종, 약물의 이상확산, catheter 절단을 각각 경험하였으므로 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Anesthesiologists are usually responsible for the major works in pain clinics and are often called for many sophisticated nerve blocks in the management of acute or chronic intractable pain. It is, therefore, not uncommon for the anesthesiologists to meet some unexpected and unusual complications during his or her performance. We experienced a case of a pneumothorax following a thoracic intrathecal alcohol block. There was an unusual and yet unexplainable cephalad spread of alcohol following an injection through the 4th sacral foramen, and a shearing off of the catheter by a Tuohy epidural needle following the epidural catheterization. All these three cases are herein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