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의 정치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인터뷰와 유튜브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임소연,이종명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1

        The study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how documentary films reached large numbers of audiences, citizens, producers, activists, decision makers, and politicians interacted and contributed to political and social action. Through the Coalition Model of Whiteman(2004) and YouTube comment analysis of citizens who reacted to shorts videos on digital platforms,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the documentary film <Criminal Conspiracy>(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tivist group MBC Labor Union and the Citizens' Coalition for Democratic Pr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mocratic Press Practice) made extensive use of the YouTube platform with previews, discussions, and movie shorts videos, informing the entire nation of their goal of “normalization of media.” In the process, responses to documentary producers and problem consciousness are observed through comments. Furthermore, it influenced decision-makers such as board members and lawmakers who appoint the president, resulting in the proposal of a bill on “improving the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broadcasting.” This is due to the peculiarity of documentary films. In other words, close links between producers and activist groups, various and wide-ranging actions of activist groups using movies, and various forms of distribution strategies that draw citizens'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idely diagnosing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pursued by documentary films through producer interviews and response analysis of commentary audiences.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전통적인 상영방식인 극장 개인 관람을 벗어나서 많은 수의 관객, 시민에 어떻게 도달했는지를, 제작자, 활동가 단체, 의사결정자 그리고 정치 인 등이 어떻게 상호작용했고 정치 사회적인 행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화이트맨(Whiteman, 2004)의 통합모델(Coalition Model)과 디지털 플랫폼에서 쇼츠 영상들을 보고 반응했던 시민들의 유튜브 댓글 분석을 통해, 다큐멘터 리 영화 <공범자들>의 영향력을 탐색해 보았다. 분석 결과, 영화는 활동가 단체인 MBC 노동조합과 민주언론실천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이 시사회와 ‘돌마고 파티’라는 토론과 공론의 장, 영화 쇼츠 영상들이 실린 유튜브 플랫폼을 폭넓게 활용하면서, ‘언론 정상 화’라는 그들의 목표를 전 국민에게 알렸다. 이 과정에서 댓글을 통해 다큐멘터리 제작 자 및 문제 의식에 화답하고 동조하는 반응이 관찰된다. 나아가 사장을 선임하는 이사 진, 국회의원 등의 의사 결정자들에게 영향을 끼쳐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법 안을 발의케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갖는 특이성에 기인한다. 즉 제작자와 활동가 단체들의 긴밀한 연계, 영화를 이용한 활동가 단체들의 다양하고 폭넓 은 행동, 또 시민들의 참여와 논의를 이끌어내는 다양한 형태의 배급 전략 등이 그것이 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추구하는 사회적 변화의 가능성을 생산자 인터뷰와 댓글 수용자의 반응 분석으로 폭넓게 진단한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성형외과 상담실장의 역할과그 의료윤리적 함의에 대한 민족지 연구

        임소연 한국의료윤리학회 2015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8 No.2

        Based on long-term ethnographic fieldwork at a plastic surgery clinic, this article shows that non-medical professionals called “patient managers” have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and possibly challenged medical ethics and authorities. Unlike previous social studies of plastic surgery,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the unethical aspects of the private medical market, this study starts from their realities and considers them as resources for medical ethics. By taking the roles of non-medical professionals into both ethical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 this study supplements current medical ethics,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and extends medical ethics education to include more common problems faced by patient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draw ethical implications from social studies of medicine. It demonstrates that medical ethics is a concern, not only for physicians, but for multiple agents including non-medical professionals. This kind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can thus contribute to improving both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ethics and the social perception of doctors and medicine. 본 논문은 장기간의 현장연구에 근거하여 성형의료시장에서 상담실장이라고 불리는 비의료인이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윤리와 의사의 권위에 도전적인 존재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사회과학 연구들이 성형의료산업의 비윤리성이나 상업성을 비판해 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사설의료시장에서 발견되는 상업성과 이질성을 현실로 인정하고 윤리적 자원으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의료현장에 개입하는 비의료인의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의사나 간호사 혹은 환자 개인에 한정된 기존 의료윤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의료윤리교육에 포함시킨다면 의사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갈등을 다루는 데 더욱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적 연구로부터 의료윤리적 함의를 이끌어 내려는 시도로서 이러한 학제적 접근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다양한 관계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사이를 매개하는 다양한 존재들을 발견하게 해준다. 의료윤리가 의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주체들의 윤리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일임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러한 학제적 윤리 연구는 의료윤리의 실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의사와 의료행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을 위한 공공후견인의 경험에 관한 연구

        임소연,이진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ublic guardianship to grow into a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Public guardianship consists of practitioners’ practices, so researching actual guardian's experience is an indispensable prior work. In order to study, we examined nine cases in the K local government by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Based on the data of within-case analysis and across-case analysis showed three major themes of the experiences of public guardians. These were ‘jumping with expectation and warmth’, ‘experience of unexpected failure and conflict’, and ‘keep a distance for continuity’. In the early stage, emotional aspect of human relationship led to more active intervention. These overactive interventions can lead to the point of change through the negative experience of conflict and difficulty. As a result, there was a risk of keeping distance that a certain level can afford. Since early active intervention may affect the self-determination, the guardian and support center should conduct a practical discussion including the scope and interpretation of the du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difficulties by linking with the community like a bank. Final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meetings with support organizations and self-help groups. This will be an open opportunity for monitoring and learning to take place naturally.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제도로 성장하기 위해 공공후견의 본 모습을 탐색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공공후견은 공공후견인의 실천으로 구성되므로 실제 후견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Creswell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후견사례 9건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공공후견인들의 경험은 ‘기대와 온정으로 뛰어들기’, ‘예상치 못한 실패와 갈등의 경험’, ‘지속을 위한 거리두기’ 로 구성되는 동적인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공공후견은 대부분 사회복지실천가가 기대감이나 이타심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개입활동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갈등과 어려움 등 부정적 경험을 통해 변화의 지점을 맞이하게 되고, 그 결과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일정한 정도를 찾고 그 간격을 유지하면서 후견활동의 지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견인의 적극적 개입은 피후견인의 자기결정과 후견활동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후견법인 및 발달장애인센터는 선임 후 후견인, 피후견인과 함께 임무의 범위와 해석 등 후견활동에 대한 실질적 논의를 해야 한다. 또한 자주 접하게 되는 주거래 금융기관 등 외부와 연계를 통해 후견인의 어려움을 완화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후견활동을 오픈시킬 수 있는 간담회, 자조모임 등을 활성화하여 후견활동의 공개와 공유를 통해 모니터링과 배움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