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代 國際 關係의 기틀 - 洪武帝의 15個 不征諸夷國 構想과 그 形成 過程 -

        임상훈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0 韓中關係硏究 Vol.6 No.3

        Emperor Hong-Wu left a book titled Huang Ming Zu Xun (『皇明祖訓』) for the purpose of advising and admonishing the rule of the country by future emperors. He listed 15 neighboring countries that should not be punished here, which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oreign relations of later generations. “The 15 No Punish Countries” established by Emperor Hong-Wu were confirmed by listing 15 countries from the first edict of the Hong-Wu 4th year (1371), the second year of specified in the Huang Ming Zu Xun Lu (『皇明祖訓錄』) completed in the Hong-Wu 6th year (1373), and the last year from the Huang Ming Zu Xun (1395), which was published in the Hong-Wu 28th year. Although the rough contents are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scope has become more specific as time goes by. In addition, “The 15 No Punish Countri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ems from the lessons left by the invasion of Liu-Qiu (琉球) by the Emperor Sui-Yang (隋煬帝), and we can see the practical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mperor Hong-Wu, which we believe may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closedness of the name, which values convergence rather than expansion. Second, Emperor Hong-Wu gradually narrowed down the scop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from the initial dourness, and finally confirmed “The 15 No Punish Countries”. I think this is a strict selection of countri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name-oriented international order that they want without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the order. Thirdly, it is a change in the placement order of the records concerning the Second and Third False Jays. Emperor Hong-Wu placed the contents of the “The 15 No Punish Countries” in the 18th place in the 2nd place, but the 4th place in the 3rd place, which is much earlier than that. I also think this was the result of Emperor Hong-Wu’s long-term management of state affairs, which determined that international rela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rvival of the name. Finally, it is a proviso clause to the fraudulent “The 15 No Punish Countries”. Emperor Hong-Wu stated that it does not punish neighboring countries ‘unconditional’ but ‘conditional’. 홍무제의 후대 황제들의 통치에 대한 조언과 훈계를 목적으로 『황명조훈』을 남겼다. 그는 여기에 처벌해서는 안 되는 주변국 15개를 열거하였고, 이는 이후 명의 국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홍무제가 설정한 ‘15개 부정제이국’은 홍무 4년(1371)의 첫 선유부터, 두 번째 홍무 6년(1373)에 완성한 『황명조훈록』에서의 명시, 그리고 마지막으로 홍무 28년(1395)에 간인한 『황명조훈』에서 15개국을 나열하면서 확정되었다. 그 대략적인 내용은 大同小異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명확히 범위가 좁혀가는 등 더욱 구체화된 것을 볼 수 있다. 15개 부정제이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수양제의 류큐 침공이 남긴 교훈에서 비롯하여 확장보다는 수렴을 중시하는 명의 폐쇄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홍무제의 국제관계에 대한 실용적인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둘째, 홍무제는 주변국에 대해 처음의 두리뭉실함에서 점차로 범위를 좁혀가다가 마지막에 15개 부정제이국을 확정지었다. 이는 처음의 선유로부터 20여년이라는 긴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주변국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쌓인 결과물로, 명에 그다지 위협이 되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바라는 명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입할 수 있는 나라를 엄선한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로, 제2차와 제3차 부정제이국에 관한 기록의 배치 순서 변경이다. 홍무제는 부정제이국의 내용을 제2차에서는 18번째에 배치하였지만, 제3차에서는 그보다 훨씬 앞부분인 4번째에 배치하였다. 이 역시 홍무제가 긴 시간의 국정운영을 통해 국제관계가 명의 존망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한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부정제이국에 대한 단서 조항이다. 홍무제는 주변국을 ‘무조건’ 정벌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조건적’으로 정벌하지 않는다고 명시하였다. 즉, ‘중국에 환이 되지 않는다면’이라는 조건을 달았으며, 몽골에게만은 항상 전쟁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물리계층 보안 기술연구

        임상훈,전형석,최진호,하정석 한국통신학회 2014 정보와 통신 Vol.31 No.2

        본고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분산 검출 분야에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물리계층 보안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복잡한 연산과정을 요구하는 기존 암호학 기반의 보안 시스템은 배터리용량과 연산 능력이 제한된 센서 네트워크에서 많은 유지보수 비용을 유발할 수 밖에 없다. 본고에서 소개할 물리계층 보안기술들은 기존의 통신 모뎀 기술을 보안 강화의 목적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복잡한 연산이나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이 제한된 센서 네트워크에 매우 적합하다. 본고에서는 센서네트워크에서 제안된 대표적인 물리계층 보안기술인 확률적 암호화 (stochastic encryption) 기법과 채널 인지 암호화 (channel aware encryption) 기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물리계층 암호화 기술을 두 가지 무선 채널 모형 PAC (parallel access channel)과 MAC (multiple access channel)에서 간략화된 모델로 재해석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 기술로서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Adaptive Gaussian Model Based Ground Clutter Mitigation Method for Wind Profiler

        임상훈,Shaik Allabakash,장봉주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9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2 No.12

        The radar wind profiler data contaminates with various non-atmospheric components that produce errors in moments and wind velocity estimations. This study implemented an adaptive Gaussian model to detect and remove the clutter from the radar return. This model includes DC filtering, ground clutter recognition, Gaussian fitting, and cost function to mitigate the clutter component. The adaptive model tested for the various types of clutter components and found that it is effective in clutter removal process. It is also applied for the both time series and spectrum datasets. The moments estimated using this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derived using conventional DC-filtering clutter removal method. The comparison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removes the clutter and produce reliable moments.

      • KCI등재

        미래교육을 대비한 정보관련 정책들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임상훈,조미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2

        미래를 주도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교육정책을 실시해왔다. 교육정책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 근무하는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래교육 대비 정보 관련 주요 정책인 STEAM교육, 스마트교육, 소프트웨어교육, e-교과서, 교육정보통계시스템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실태를 조사하고, 주요 교육정책 간 교사의 인식 분포는 어떠한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책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나, 교사들의 연수 경험이나 희망 수준, 그리고 지도 준비 수준은 높지가 않았다. 또한 각 교육정책 간 교사들의 인식 분포는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정부의 교육 혁신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반영되기 위한 적절한 지원 및 교육 방안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A variety of educationa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o educate outstanding individuals who will lead the future and to adopt supporting system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as main agents of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elementary teachers in Chungcheongbu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jor policies related to ICT(i.e., STEAM, Smart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e-textbook, and EdudataSystem).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poli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eachers had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polic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teachers' training experiences and readiness for teaching related to ICT were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patterns of teachers' perception on STEAM, Smart Education and Software Education were similar.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appropriate support and educational strategi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