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임귀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lay Beliefs on Teacher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Kyuja L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lay beliefs on childcare teachers’ competency, and to find out whether childcare teachers' grit mediates this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fte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The effects of play belief and grit on teacher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elief and teacher competency are investigated. Childcare teachers’ play beliefs and grit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competency, and grit acts as a signific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elief and teacher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various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grit in order to increase teacher competency. Key Words: Infant Teacher, Play, Play Beliefs, Teacher Competency, Grit 보육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임 귀 자**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놀이신념이 보육교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보육교사의 그릿이 매개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154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후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놀이신념과 그릿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신념과 교사역량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그릿은 교사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놀이신념과 교사역량 관계에서 그릿은 유의미한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그릿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교사교육 방안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보육교사, 놀이, 놀이신념, 교사역량, 그릿 □ 접수일: 2022년 10월 17일, 수정일: 2022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광주여자대학교의 지원(KWUI22-043)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Professor, Kwangju National Univ., Email: winspace@kwu.ac.kr)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Semantic Mapping)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귀자,김영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그리기 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을 구성하여 유아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J시의 M유치원과 O유치원 유아를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COVA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하위요인인 시각변별, 문자지각, 의미이해, 문장이해 모두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긍정적인 영향 주었고,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그리기 표상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This study illuminates how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perceived and experienced early childhood assessment, explored and implemented new ideas, and gaine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action research, aimed at making meanings out of early childhood assessment for over a year. With a keen recognition of both limited and limiting childhood assessment practices which were often given a low priority and done superficially, the teacher, nevertheles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ecause she desired to improve her assessment practices. Despite numerous intrinsic and situation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good assessment practices, both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ting teacher persisted as change agents and worked together to develop assessment practices appropriate for "here and now" that involve and empower parents and children. The teacher moved beyond technically improving assessment skills to questioning why we do what we do, and made professional growth as a constructivist agent who practices, reflects, and creates her own counter-narratives, not as a passive recipient of authoritative narrative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a cyclic process in which local, context-specific assessment practices are developed, implemented, evaluated and revised by stakeholders in shared meaning-making, rather than the modernistic conceptualization of one right way of understanding and assisting young children through assessment practices.

      • KCI등재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귀자,김영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1

        This study begins to verify that the development and ada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with Creativity Techniques have effects on developing scientific attitude, self-esteem,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At the object of this study, it was categorized into [Hypothesis I] and [Hypothesis II]. The specifics are as follows: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o prove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al program with creativity techniques of hypothesis II to 40 young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self-esteem, and representational skills were tested. At the pre-test, the two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 self-esteem, and representational skills. However, at the post-test, the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overall scientific attitude and the sub-factors of curiosity, candidness, subjectivity, openness, criticism, delay of judgment, corporation, and patie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lf-esteem,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all self-esteem and the sub-factors, cognitive skills, peer acceptance, physical skills, and self-acceptance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representational skills,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all representational skills and the sub-factors, basic shapes and line consolidation, various colors, harmonious constitution, various forms, theme-related representational degree, the creativity of representation, picture completion of repres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on and the language.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with creativity techniqu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self-esteem, and representational skill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an be introduced to the field to improve young children’s scientific minds and skills. 본 연구는 창의성기법을 활용하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구성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과학적 태도, 자아존중감, 표상능력을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전체 과학적 태도 및 하위영역인 호기심, 솔직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 협동성, 끈기성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서는 전체 자아존중감과 하위영역인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자기 수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 표상능력에서는 전체 그리기 표상능력과 하위영역인 기본도형과 선 병합, 다양한 색채,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관련 표상정도, 표상의 창의성, 표상의 그림완성, 표상과 언어와의 관계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프로그램의 현장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교사의 인지조절능력, 보육헌신도 및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임귀자 ( Kyuja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지조절능력과 보육헌신도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국공립, 직장, 가정, 민간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영유아 보육교사 2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인지조절능력, 보육헌신도, 정서조절능력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인지조절능력과 보육헌신도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인지조절능력과 보육헌신도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이 갖는 완전매개효과를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ontrol ability and childcare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ata from 291 infants and child care teachers in national, public, workplace, and private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by SPSS WIN 21.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calcul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Z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teacher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ognitive control ability, childcare commitment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child care teachers. In relation to cognitive control and devotion to childcare, emotional control plays a full mediating role.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ontrol ability and child care commitment of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여성의 평생학습에 대한 요구도 분석: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임귀자 ( Lim Kyu Ja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본 연구는 광주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에 따른 여성평생학습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 400부를 자료분석하여 여성평생학습 참여경험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에 대해 40대에서는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많았고, 20대에서는 ‘중요한 편이다’라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의 경우 400만원 이상집단이 ‘중요하다’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평생학습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 최종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평생학습을 위해 내용구성확대와 가족친화적 프로그램 개발, 운영시간의 유연성, 공간 재구성, 연령별프로그램 차별화 등을 운영개선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female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of women in Gwangju area. To this end, we searched for lifelong education awareness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activation plan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of 400 structured questionnaires, I have searched for the experienc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the activation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40s were ‘very important’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response was ‘most important’ in 20s. According to monthly average income, the group more than 4 million won tend to think ‘important.’ The reasons why women’s lifelong learning is importa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age, final education, and occupation. Therefore, for women’s lifelong learning, we proposed expansion of contents composition, development of family - friendly program, flexibility of operating time, space reconstruction and differentiation of programs by age.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경력교사의 인식차이

        임귀자(Lim, KyuJa),서영임(Seo, Young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areers teachers perceive and understand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November 15, 2017 to February 20, 2018, 203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97 career teachers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omposed of 35 items, and we sought to find specific ways to support curriculum management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eachers showed a higher awareness of respect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ethnicities and recognizing multicultural families as compared with the preliminary teachers, and they were mor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find out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the educ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Respectively. In addition, career teachers demanded more reflection of multicultural contents,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expansion of workshops or a wide range of training opportunities, financial support and support for the curriculum. Career teach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concrete textbooks and materi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경력교사가 다문화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2017년 11월 15일부터 2018년 2월 20일까지 예비유아교사 203명, 경력교사 197명에게 구조적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총 35문항으로 교육과정 운영과 다문화교육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다인종·민족일지라도 존중해주어야 하며 다문화 가정을 인정해 주어야한다’에 더 높은 인식을 보였고, 다문화가정 자녀들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낼 수 있다는 지도능력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또한 경력교사는 교육과정에 다문화 내용 반영, 교수·학습자료나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부족, 워크숍 또는 폭넓은 연수기회의 확대, 행·재정적 지원을 예비교사에 비해 더많이 요구하였으며, 구체적인 교재와 소재에 대한 고민을 나타내고 있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보육헌신도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임귀자(Lim, Kyu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 보육헌신도,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직선택동기와 보육헌신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의 보육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00명이며 연구도구는 교직헌신도, 보육헌신도, 교사효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6월 25일부터 7월 27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교직을 전공한 보육교사들에게 연구에 참여 동의를 받아 2018년 8월 10일에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직 선택동기와 더하여 보육헌신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교직선택동기가 높으면 자아탄력성이 높고, 교직선택동기와 자아탄력성이 높으면 보육헌신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보육헌신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보육교사의 보육헌신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보육교사의 보육헌신도, 자아탄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을 모색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choice motivation, childcare commitment, and ego–resil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hoice motivation and childcare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 city and J city. The research tool used teacher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5, 2018 to July 27, 2018, and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on August 10, 2018, with the particip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Sobel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go-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motivation of teacher selection and the commitment of child care. Second, higher ego-resilience was found to have higher motivation for teacher selection, and higher degree of commitment to childcare than higher motivation and ego-resili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hoice motivation and childcare commitment. It is meaningful that ego-resil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t is suggested that childcare teachers commitment to childcare should seek various support measures to enhance ego-resilience.

      • KCI등재

        표상중심 유아마음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귀자 ( Kyuja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표상중심 유아마음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의 J유치원에 재원중인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2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8주간 16회에 걸쳐 표상중심 유아마음교육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표상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활용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표상중심 유아마음교육 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일반적인 표상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서 자아존중감과 창의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현장에서 표상중심 마음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resentation-centered infant mind education activities on infants’ self-esteem and creativity. To this end, 20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each were selected for 5-year-old children who are enrolled in the J kindergarten in K city, and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representation-centered infant mind education activity 16 times for 8 weeks. After carrying out the activities, the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and creativity was verif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variance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treated the representation-centered infant mind education ac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creativity compared to the inf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performed the general representation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the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representation-centered mind education program in the kindergarten field.

      •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임귀자 ( Lim Kyu Ja ),서영임 ( Seo Young 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읽기능력과 창의성의 향상을 위해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을 구성하여 유아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G시의 S유치원과 T유치원의 유아 각 20명씩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모든 하위요인인 시각변별, 문자지각, 의미이해, 문장이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다만,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서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how speech function of semantic mapping impacts on reading abilities and creativity of children. Wordless picture books were employed for the proof of effects on speech function of semantic mapping.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from S and T kindergartens located in G-city. t-test process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study materials. First, the result indicates that speech function of semantic mapping utilized with wordless pictures books provides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reading abilities. The ability to distinct efficiently at sight, to percept and to comprehend meanings of language has been improved positively. Second, it also shows positive impacts and meaningful improvement on creativity of the children. As a result, the study indicates that speech function of semantic mapping utilized with wordless pictures books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both read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