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최동훈 영화의 사회반영성

        이민호(Minho Lee),이효인(Hyoin Yi)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최동훈은 <범죄의 재구성>(2004), <타짜>(2006), <전우치>(2009), <도둑들>(2012) 등의 영화를 만들어내며, 한국의 주류 영화감독으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이루어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했다. 본고는 최동훈의 영화가 수많은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시대적 삶을 우화적으로 그리면서 민중 문화적 축제 즉 카니발적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보고자 한다. 이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과 맞닿아 있다. 바흐친에게 카니발 이론은 민중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었고, 최동훈 역시 자신의 영화 속 세계를 묘사할 때 카니발 이론의 요소들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니발 이론의 미적 요소 중 탈관과 대관, 권위의 전복과 조롱, 향연의 이미지가 최동훈의 영화 속에서 캐릭터를 통해, 격하와 조롱, 군중의 언어가 대사와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 시점의 통합이 플래시백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들은 최동훈 영화에 일관되게 드러나며, 최동훈의 영화는 카니발 이론처럼 민중의 세계를 묘사하고 바라본다. 이것이 최동훈이 영화를 통해 하는 현실반영이자 현실참여이다. 관객은 그런 최동훈의 시각에 동조하고 호응한 것이었다고 본다. Director Choi Donghoon is the most famous director in Korea as a box office successor, especially <The Thieves>(2102) has gained No. 1 box office attraction in Korean film history. However some critics have criticised the works of Dr. Choi because of their plebeianness. This paper focused on the reason of interaction with audiences through the theory of carnival of Mikhail M. Bakhtin. Because the theory of carnival is not only the adapted method to account for the power of popular culture to M. Baktin but also the useful method to understand the keys of interaction of Dr. Chois films. Its not difficult to find the esthetic elements of carnival theory example for dethronement & coronation, overturn & ridicule, image of feast, language of square in the films of Choi which are The Big Swindle(2004), Tazza: The High Rollers(2006), Woochi(2009), The Thieves(2012). Therefore this paper has endeavored that the box office attraction and success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is due to the realistic attitude and social reflection of Chois films.

      • KCI등재

        학생의 성장에 있어 모둠활동이 가지는 의미

        길현주(Gil Hyunju),이해영(Lee Haeyoung),이효인(Lee Hyoin),박가나(Park Ga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모둠학습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이 학생의 성장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 11일부터 5월 29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네 학교에서 각각 한 학급씩, 총 4학급에 대한 수업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수업 참여 관찰을 하면서 작성한 연구 노트(필드 노트)를 중심으로 수업 참여 관찰 후, 매회 연구진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총 26차시의 수업 참여 관찰, 17회의 교사 면담, 10회의 학생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수업 관찰 기록과 학생 면담, 수업 일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관찰 결과, 학생들은 모둠활동을 통해 ‘이미’ 이해한 것과 ‘아직’ 이해하지 못한 것을 드러냄으로써, 각자 자신의 배움을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한 모둠을 통해 ‘나의 이야기’와 ‘너의 이야기’가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서로의 같음과 다름이 드러났고, 서로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한편, 모둠 활동 중 다양한 오개념들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학생들은 모둠을 통해 비록 오개념일지라도 가감 없이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수정하고 재확인하면서 배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둠은 공부에 대한 의지가 약한 학생들이나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는 학생들에게 공부 친구를 만들어주고 있었다. 네 학급 모둠활동의 의미를 성장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면, 학생의 성장은 관계에서 출발하여 배움의 주인으로 이어져 결국 존재를 풍요롭게 하는 성장으로 그 의미를 가졌다. 친구와 직접 대면하면서 친구의 생각을 이해하고 나의 생각을 알려주며 표현하고 서로 공 유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는 성장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모둠 속에서 여러 학생들과 자신의 생각, 의견, 지식을 드러내면서 배움을 온전히 자신에게로 가져오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학 생들은 같이 학습하지만 배움의 결과는 오롯이 스스로의 것이 되는 경험을 하면서 성장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xperiences students have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what implications those experiences have with regards to their growth. For this, I conducted class participating observations on four classes in four different school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11 and May 29, 2014. Researchers took notes in their research note while participating in classes and held a conference upon completion of class participation based on what they observed and took notes. We have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fter 26 class participating observations, 17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10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lass observation records, students interviews and class diaries etc. Observation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expressed what they understood and failed to do so through group Learning activities, making individual students further solidify their learning. In addition, it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naturally revealed their identicalness and difference and to understand one another. Meanwhile, a variety of misconceptions have been discovered while engaging in group activities, and students were experiencing learning while revising and reaffirming what they have learned by plainly expressing their own voices through group activities even if some present misconceptions. Last but not least, it helped students who do not know how to study or with less will power for studying find their study buddies. When it comes to the implications of group activities among students in four classes, the growth of students starts from relationships, leads to the owner of learning, and eventually enriches their existence.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a true meaning of growth that builds a new relationship as they engages in directly facing their friends, understanding their friend’s thought, expressing their own ideas and sharing throughout the process. In addition, students were enjoying experience of embedding their learning in themselves as they reveal their thoughts, opinions and knowledge within the group activities. All students engage in learning together but they were able to grow while experiencing that the result of learning is solely under their own responsibility.

      • KCI등재

        수업 경험을 토대로 한 교사의 성장의 의미

        길현주(Gil, HyunJu),박가나(Park, GaNa),이효인(Lee, HyoIn),이해영(Lee, 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경험을 통해 수업에서 교사 성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샛별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김교사를 선정하여 총 8차례의 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외에도 수업과 면담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교사의 개인사적 측면과 수업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 등에 대해서는 교사생애사 일기로 확인하였다. 샛별중학교의 김교사는 힘든 수업을 경험하면서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는 수평적인 관계, 민주적인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수업과 교사의 일상을 분리하지 않고 학생들을 만나고 있었다. 또한 수업의 목표와 오늘 배워야 하는 차시 내용은 계 획하지만 그 배움에 다다르는 과정은 교사와 학생이 수업에서 함께 만들어가고 있었다. 수업을 철저하게 계획하기보다는 느슨하게 설계하고 있었고, 이러한 여백은 오롯이 학생의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김교사는 수업의 고민을 학교 내 동료 교사들과 함께 해결해가고 있었다. 동료교사들과 함께 수업이 왜 어려운지 이야기를 공유하면서혼자만의 수업 고민은 고민으로 끝내지 않고 동료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요컨대, 김교사의 성장은 자기 고민을 통해, 동료교사들과 함께하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survey the meaning of teacher’s development in classroom. One teacher who majored in sc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11 to May 29 in 2014. We investigated her class 8times and interviewed with her about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he did not separate her class from life and treated students fairly because Kim teacher thought that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should be democratic. Kim teacher planed the lesson goal and contents of teaching in her class but she made the lesson plan loosely, not throughly so there were the empty spaces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for themselves in class. Meanwhile, Kim teacher solved her worries of her class, sharing the worries with fellow teachers in learning community. She talked with the troubles and difficulties with them in class and try to solve them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