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타 그리드상에서 TCP 버퍼의 PID 제어를 통한 QoS 구현

        이홍석(Hongseok Lee),허의남(Eui-Nam Huh),추현승(Hyunseung Choo),조금원(Kum Won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3 No.7

        데이타 그리드 상의 빈번한 대용량의 파일 전송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트래픽에 따른 대역폭 관리는 이제 네트워크 운영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 버퍼 튜닝 연구를 통해 대역폭을 조정하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TCP 계층의 자원을 제어함으로써 QoS를 보장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QoS솔루션은 IP 계층이나 링크 계층에서 네트워크 자원을 관찰하고 관리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위 계층인 TCP 계층에서 네트워크 자원을 제어한다. 그 결과 각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자원관리와 과금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aware that Bandwidth management with dramatically increasing traffic on account of frequent and large file transmission in a data grid environment is one of essential needs. A this paper we propose new method which guarantees QoS (Quality of Service) by being in control of resources in TCP layer based on existing studies that manage bandwidth over TCP buffer tuning. General QoS solutions manage network resources subsequent to observing them in IP or link layer, but the scheme in the paper is able to control network resources in TCP layer that is network upper layer. Consequently, bandwidth allocation to each user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depending on an authority each user is given so that users could be use different bandwidth. It is expected that a new paradigm is supposed in network resource management and the method of levies for users’ bandwidth uses.

      • KCI등재

        소프트웨어 공학 : 클래스 특성 기계학습에 기반한 클래스 이름의 접미사 검증 기법

        이홍석 ( Hongseok Lee ),이준하 ( Junha Lee ),이일로 ( Illo Lee ),박수진 ( Soojin Park ),박수용 ( Sooyo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4 No.6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가 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며 유지보수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소스코드 가독성이다. 가독성의 90% 이상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소스코드에서 사용되는 식별자들의 이름이며 이를 위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클래스의 식별자로 사용된 어휘를 이용하여 식별자의 이름을 검증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관련 연구는 그 특성상 개체의 도메인 관련 특성만을 고려하게 되며 클래스 내의 어휘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의 특성을 추출하여 의사결정트리 기법을 통해 기계학습을 시킨 후 클래스 역할 모델을 생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이름을 검증할 대상 클래스의 역할에 해당하는 접미사를 추천하게 되어 클래스 이름 검증 보고서를 생성한다. 본 연구 기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4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하여 본 연구 기법을 적용하였고 클래스 역할 정보를 담고 있는 5개의 접미사에 대해 정확도와 재현율, ROC 곡선과 같은 지표를 제시하였다. As software has gotten bigger in magnitude and the complexity of software has been increased, the maintenance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for its significant impact on the cost. Identifiers have an impact on more than 90 percent of the readability which accounts for a majority portion of the maintenance activities. For this reason, the existing works focus on domain-specific features based on identifiers. However, their approaches have a limitation when either a class name does not reflect the intention of its context or a class naming is incorrec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series of class name validation process by extracting properties of classes, building learning model by applying a decision tree technique of machine learning, and generating a validation report containing the list of recommendable postfixes of classes to be validated. To evaluate this, four open source projects are selected and indicators such as precision, recall, and ROC curve present the value of this work when it comes to five specific postfixes including functional information on class names.

      • KCI등재

        항행 안전 시스템을 위한 안전 목표 수준 기반 위험 평가 방법론

        이홍석 ( Hongseok Lee ),조상훈 ( Sanghoon Jo ) 한국항행학회 2016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0 No.4

        CNS/ATM 분야에서 안전 평가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개발 활동이다. 현재까지, 안전 평가와 관련된 많은 참고할 만한 자료들이 있으나 CNS/ATM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명확하게 명시된 자료는 없다. 또 다른 문제는 DO-278A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발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프트웨어 보증 수준이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개발 보증 수준을 결정하는 체계도 또한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ICAO Doc 9689에 정의된 안전 목표 수준을 기반으로 한 위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항행 안전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위험 평가 수행 절차를 수학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위험 평가를 위해 필요한 위험원의 심각도 분류, 발생 확률, 시스템 안전 목표 수준 등을 정의하고 위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이벤트 트리 분석 절차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Safety assessment is an essential activity for developing a system in the CNS/ATM domain. Up to now, there are many reference materials, but there is nothing that definitely specifies what to do and how to apply in the CNS/ATM. Another problem is that software assurance level has to be determined for a software under development. But there is nothing that defines a determination scheme of software assurance level.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conduct a hazard assessment based on target level of safety defined in ICAO Doc 9689. To be applied generally in CNS/ATM domain, it mathematically defines procedures of hazard assessment. And it defines severity classification, probability, and safety objective of a system, which are necessary for hazard assessment, and it describes a method to apply event tree analysis process in order to conduct a hazard assessment.

      • KCI등재

        항행 및 항법 : A-SMGCS 기능 위험 평가 사례 연구

        이홍석 ( Hongseok Lee ),조상훈 ( Sanghoon Jo ),최형석 ( Hyungseok Choi ) 한국항행학회 2016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0 No.2

        안전과 관련된 CNS/ATM 시스템의 개발은 안전 평가 활동을 필요로 한다. 안전 평가에는 기능 위험 평가를 포함하며, 이는 시스템의 위험한 상황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안전 요구사항을 도출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은 A-SMGCS에 대한 기능 위험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연구인 Eurocontrol과 EMMA에서 수행한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Eurocontrol 및 EMMA의 기능 위험 평가 체계를 통합하였다. FHA(functional hazard assessment) 범위뿐만 아니라 FHA를 위한 여러 가정 사항들을 인천국제공항에 대해서 정의하였다. 29개의 위험원이 식별되었고, 각각에 대해 심각도가 평가되었다. 그리고 위험원에 대한 노출빈도와 안전 목적이 이벤트 트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와 EMMA의 결과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검토 하였다. Safety assessment is necessary to develop safety related CNS/ATM system. It includes functional hazard assessment (FHA), effects eliciting system safety requirement that mitigates system`s hazardous event. This paper performs a case study for functional hazard assessment of A-SMGCS. To do this, related A-SMGCS studies from Eurocontrol and EMMA are surveyed, and assessment schemes of functional hazard from Eurocontrol and EMMA are combined. Not only FHA scope but also several assumptions for FHA are defined for Incheon airport. 29 hazards are identified and their severities are assessed. And exposures and safety objectives from hazards are analyzed using event tree analysis method. Differences between result of this study and result of EMMA are analysed, and assessment results in this study are also reviewed.

      • 야간차량 주행 환경 장애물 검출을 위한 적응형 영상 알고리즘

        이홍석(HongSeok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 No.2

        현재 주행 중 장애물을 인식하는 알고리즘 개발은 비주얼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자와 차량, 차선을 감지하고 분류하는 데에 집중되어 오고 있다. 이런 연구 방향의 일환으로 최근 근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야간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인식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영상인식의 방안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Blocking 현상과 동시에 이미지 전체의 영상을 개선 할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한 야간 환경 보행자, 차량과 같은 장애물을 인식하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친환경 전력용 케이블의 대용량화 및 축소화 설계를 위한 비가교 폴리올레핀의 절연특성 연구

        이홍석(Hongseok Lee),강형구(Hyoungku Ka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7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1 No.3

        A cross linked polyethylene (XLPE) material has been widely used to develop a power cable due to its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strength. The XLPE material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disruption, electrical aging, thermosetting property, and impurities which cause degradation. Therefore, an eco-friendly dielectric material should be used for a power cable instead of the XLPE. In this paper, the electrical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seven types of non-cross-linked polyethylene materials which are eco-friendly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XPLE. All dielectric experiment methods comply with the standards of ASTM-D149a. In order to calculate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is used.

      • 초분광활용 콩 제초제 피해진단 기술 개발

        이홍석 ( Hongseok Lee ),전현정 ( Hyenchung Chun ),박진기 ( Jinki Park ),정회정 ( Hoejeong Jeong ),이성태 ( Seongtae Lee ),정미혜 ( Mihye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Amo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soybean cultivation, damage from selective and non-selective herbicides used in conventional agriculture continues to occur. In particular, damage from herbicides and nutrients during early growth is difficult to classify even through visual inspection by experts, so analysis is being conducted in a laboratory environment. As such, analysis in a laboratory environment has a delayed response time and requires a lot of manpower.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a technology to detect herbicide damage using hyperspectral imaging. To diagnose damage, Daechan beans were treated with the most commonly used herbicides, foliar treatments, bentazone and glufosinate, and soil treatments, Linuron and Alachlor. Germination of the soil treatment agent began 10 days after soil treatment, and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when the cotyledons were fully unfolded. Reneuron showed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when using 785nm and 890nm wavelengths, and Alachlor showed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when using 788nm and 944nm wavelengths. For Reneuro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s 88.49% (1x), 89.51% (2x), 90.31% (4x), 99.99% (8x), and 100% (16x), and for Alachlor,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s 63.41% (1x). They were 82.82% (2x), 95.06% (4x), 96.62% (8x), and 96.71% (16x). The foliage treatment agent was applied during the third leaf stage of the crop growth season, and imag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10 days. Glufosinate showed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when using 1387nm and 1563nm wavelengths, and bentazone showed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when using 1408nm and 1493nm wavelengths. For glufosin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measured at 77.97% (1x), 93.52% (2x), 93.70% (4x), 96.70% (8x), and 97.53% (16x), and for bentazon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87.06% (1x), 94.04% (2x), 93.72% (4x), 93.02% (8x), and 93.64% (16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