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가족기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혜순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4
본 연구는 청소년 967명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가족기능, 정신건강 간의 관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아분화 수준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으며,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형태가 친척집에서 생활하는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부가 무직인 경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형태가 부와 생활하는 경우보다 높으며, 부모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부 직업이 무직인경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출생순위에서는 외동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자아분화 및 가족기능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아분화와 가족기능이 낮을수록 정신건강 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설명하는 변수는 자아분화의 하위영역인 인지∙정서적 기능, 정서적 단절, 가족투사, 학년, 가족기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반응, 출생순위 즉 6가지 변수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간과되고 있는 정신건강수준을 측정하고 정신건강 관련 요인으로 자아분화 및 가족기능과 같은 가족환경 요인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302 이혜순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6(4), 2010년 10월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발달적 맥락에서 중요한 개념인 자아분화, 가족기능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기 정신건강 문제에대한 예방과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가족에 대한 개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으로 자아분화 및 가족기능과 같은 환경적 변인을 다루었는데, 추후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신의 개인적인 성향이나 기질 등의 요인들을 포함한 연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하며,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정신건강 유발 예측변인들을 찾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이혜순,김남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VDT syndrome and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ho at general hospital in city B and Gyeongsangnam-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6 hospital nurses, who had experience of VDT wor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The mean score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eye related symptoms, skin related symptoms, and psychological related symptoms were 2.32±.63, 1.90±.74, 1.37±.89, 1.60±.84 respectively. Subjects’ socio-demographic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working department, position. Work-related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reak during work, health status, job satisfaction, VDT work time per day, hours of computer use outside of work hour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decrease VDT syndrome considering break during work, health status, job satisfaction, VDT work time per day, hours of computer use outside of work hours. 본 연구는 간호사의 VDT증후군 정도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경남에 소재하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6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문재동, 이민철과 김병우(1991)가 개발한 VDT 자각증상 측정도구로 근골격계 증상, 안관련 증상, 피부관련 증상, 심리관련 증상, 전신관련 증상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VDT작업 특성에 따른 VDT증후군 차이는 근무 중 휴식, 건강상태, 업무 만족도, 1일 평균 컴퓨터 작업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VDT증후군 정도를 분석한 결과 4점 만점에 평균평점 1.79±.77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으로 근골격계 증상 2.32±.63점, 안관련 증상 1.90±.74점, 피부관련 증상 1.37±.89점, 심리관련 증상 1.60±.77점, 전신관련 증상 1.76±.84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VDT증후군 관련 요인을 찾은 것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