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혜민,장진구,송후림,이수영,홍민하,김세주,김찬형,Lee, Hye Min,Chang, Jhin Goo,Song, Hoo Rim,Lee, Soo Young,Hong, Minha,Kim, Se Joo,Kim, Chan-Hyung 대한불안의학회 2021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 The Hoarding Rating Scale-Self-Report (HRS-SR) is a five-item scale that simply assesses the hoarding symptoms. We evaluated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RS-SR (HRS-SR-K). Methods : A total of 144 individuals complet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cluding HRS-SR-K,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Revised-Korean version (OCI-R-K),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Beck Anxiety Inventory (BAI).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RS-SR-K were analyzed. Results : The Cronbach's α value for internal consistency of the HRS-SR-K was excellent (Cronbach's α=0.84). The construct validity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one-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was maintained. The HRS-SR-K total score and each item scores were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hoarding subscale score in OCI-R-K (convergent validity, r=0.71, p<0.01) than the corresponding scores of nonspecific depression or anxiety measures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 : The HRS-SR-K is a simple and reliable self-report scale for examining the severity of hoarding symptoms.
AI역량 면접에 대한 이용자 반응: 블라인드의 게시글에 나타난 감정과 귀인을 중심으로
이혜민(Hye Min Lee),사영준(Young June Sah)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채용 공정성 이슈 및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면접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AI 면접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AI 면접에 대해 갖는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거나, AI 와의 달라진 상호작용에 대해 낯설어 하고 있다. 본 연구는AI면접이 도입된 2018 년 5 월 18 일부터 2022 년 9 월 24 일까지 4 년간 블라인드에서 ‘AI 면접’을 주제로 작성된 게시글 총 222 건을 수집하여, 게시글의 목적과 게시글에 표현된 이용자의 감정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표출된 감정이 부정적인 경우 그 대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정 감정의 표출대상은 글쓴이 자신, AI 면접관, AI 면접 도입 회사, AI 개발 회사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AI 면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원인과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AI 역량 면접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이혜민(Hye Min Lee),박주영(Joo Young Park),김승섭(Seung-Sup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6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진행된 성소수자 건강에 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필요한 연구들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3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성소수자의 건강 관련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검색엔진으로는 국외 웹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 Embase와 국내 웹 데이터베이스인 Koreamed, RISS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성소수자를 가리키는 모든 용어를 포함하고자 했으며, 검색결과 총 2,131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그 중 다음의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논문은 총 123편이었다: (1)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2) 건강 관련 변수 또는 결과를 가지고 있는 연구, (3) 성소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 연구, (4)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 이 논문들은 임상적 연구 98편과 사회적 건강 연구 25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이 논문들의 인용문헌을 검토했을 때 기존의 검색어로 찾을 수 없었던 임상적 연구 3편, 사회적 건강 연구 2편을 추가하여 총 12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101편의 임상적 연구는 3가지 유형, 즉 사례보고(58편), 임상검사(22편), 그리고 임상수술(21편)으로 나뉘었다. 임상적 연구는 1980~1990년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후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인구집단 별로는 간성(Intersex)에 대한 연구가 74편(73.3%)으로 가장 많았고, 트랜스젠더 연구가 22편(21.8%)으로 뒤를 이었다. 27편의 사회적 건강 연구는 주제별로 13편이 정신건강, 4편이 성적행동, 2편이 폭력피해에 관한 연구였으며, 기타 주제의 논문이 8편이었다. 13편의 정신건강 연구 중 9편은 성소수자 정체성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었다. 27편의 사회적 건강에 대한 연구 중 26편(96.3%)이 2000년 이후에 출판되었고, 24편(88.9%)이 남성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편(74.1%)이 양적 연구였다.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 연구 128편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기존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임상적 연구의 경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수술이나 간성의 사례보고에, 사회적 건강 연구의 경우 동성애자 정체성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제한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만성질환을 비롯한 다른 건강결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둘째, 성소수자의 규모와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연구가 부재했다. 셋째, 성소수자들의 의료접근성, 즉 의료보장과 관련된 정책적 연구나 의료서비스를 받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차별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넷째, 성소수자들이 겪을 수 있는 차별, 낙인 등의 부정적인 사회경험이 건강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Background Despite a growing global concern about health condition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questioning, and intersex (LGBTQI) populations, the topic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in South Korea. Methods This research sought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 health studies on LGBTQI populations in South Korea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2013. Online academic databases in English (Medline and Embase) and in Korean (Koreamed and RISS) were used to find those articles by applying a variety of keywords including all possible terms indicating LGBTQI population. We identified relevant articl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inclusion criteria: (1) human subjects, (2) health related researches, (3) LGBTQI population as study participants, and (4) studies from South Korea. Results Among 2,131 articles from the online databases, 123 met the four inclusion criteria. After examining the references of the 123 articles, we added 5 more articles. We analyzed 101 clinical studies and 27 social health studies (non-clinical research) in total. Clinical researches include case reports (N=58, 57.4%), clinical test (N=22, 21.8%), and surgery (N=21, 20.8%). The majority of clinical articles were about intersex (N=74, 73.3%) and transgender (N=22, 21.8%). Among the 27 social health studies, 13 were about mental health, 4 about sexual behaviors such as condom use, 2 about experience of violence, and 8 about other topics. Most of social health studies (N=25, 92.6%) were about gay and lesbia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critical knowledge gaps of the previous health studies among LGBTQI population in South Korea. First, only a few health conditions have been explored in the previous research. Most of clinical studies were about case reports of intersex or sex reassignment surgeries for transgender people, whereas social health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stress related to homosexual identity. Few articles dealt with other relevant health conditions such as chronic diseases among LGBTQI populations. Second, no national-level survey on LGBTQI populations has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which makes it difficult to hav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ir health status. Third, we could not find any previous research about healthcare accessibility of the LGBTQI populations. Finally, few researches were found related to the health impact of negative social experiences (e.g. discrimination and stigmatization) among LGBTQI populations in South Korea.
이혜민(Hye-Min LEE) 한국프랑스사학회 2017 프랑스사연구 Vol.- No.36
1477년 1월 5일의 낭시 전투는 부르고뉴 공작 샤를 용맹공이 로렌 공작 르네 2세와 전투를 벌이다 전사한 사건이다. 그러나 이 전투는 단순히 봉건영주들 사이에 벌어진 국지적인 전투가 아니었으며, 부르고뉴 공국, 로렌, 스위스, 프랑스, 신성 로마제국 등 이 얽힌 복잡한 국제 관계 속에서 일어났다. 낭시 전투와 샤를 용맹공의 죽음은 당대에는 승리자인 르네 2세가 자신의 영광을 기리기 위한 기념의 대상으로 삼았고, 후대에는 합스부르크 왕조에서 부르고뉴 공국과의 연속성 및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기념하였다. 19세기와 20세기 초 낭만주의와 민족주의의 시대에는 민족과 국가 형성의 기점 중 하나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프랑스 로렌 지방의 극우파들이 이민자 축출과 유럽연합 탈퇴를 요구하며 낭시 전투를 국경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이 사건을 기념하고 있다. The Battle of Nancy, which occurred on January 5, 1477, is a historic event where Duke of Burgundy Charles the Bold fought against Duke of Lorraine René II. This battle took place within complex international relationships involving Burgundian State, Duchy of Lorraine, Switzerland, France, and the Holy Roman Empire. The Battle of Nancy and the death of Charles the Bold were commemorated in order to uplift the glory of the victor of the day, and further to consolidate the legitimacy of Burgundian-Habsburg dynasty in the Low Countries. During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battle was interpreted as major demarcating points of the formation of European nations and modern states. Today, it is commemorated by the French regional extreme right wing demanding for expulsion of immigrants and the Frexit.
산술과 대수적 사고의 연결을 위한 분수 scheme에 관한 사례 연구
이혜민 ( Hye Min Lee ),신인선 ( In Sun Shi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초등수학교육 Vol.14 No.3
We observed the process for solving Linear equations of two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do not have any pre-knowledge about solving linear equation. The way of students` usage of fractional schemes and manipulations are closely observed. The change of their scheme adaptation are carefully analyzed while the coefficients and constants become complic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used various fractional scheme and manipulations according to the coefficients and constants. Noticeably, they used repeating fractional schemes to establish the equivalence relation between unknowns and the given quantities. After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equivalent fractions played important role.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shorten the gap between the arithmetic and the algebraic thinking.
뱅상 드 보베의 『역사보감』: 망각 된 “고전”을 왜 다시 읽는가?
이혜민 ( Lee Hye-min ) 한국서양사학회 2020 서양사론 Vol.0 No.146
Written by 13th-century Dominican Friar Vincent of Beauvais, the Speculum historiale is not a popular ‘classic’ in the common sense of today. For the contemporary readers, impassable barriers exist at the levels of languges and the written medium (that is to say manuscripts and ancient printing versions), and even scholars are never thinking of translating this vast medieval encyclopedic work into a modern language. Nevertheless, this book represents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that contributed much influence during the lat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It is also one of the indispensable books for historians to study medieval history and culture. The book was conceived and compiled as a manuel for mendicant preachers of the 13th century and was revised under the auspices of King Louis IX to insert a historical propaganda advocating the French royal power and legitimacy. The Speculum historiale demonstrates the way of historical compilation, the organization of knowledge, cultural symbol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scholastic culture in the high Middle Ages. It also influenced many historical works and hagiographical traditions from the 13th-16th century. (Yonsei University / leehm@yonsei.ac.kr)
이혜민(Hye Min Lee)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4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1
본 연구는 심리 도식에 연극치료를 어떻게 적용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프리 영(Jeffrey Young)이 제안한 심리 도식 치료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초기 부적응 도식의 다섯 가지 영역 중 ‘단절과 거절’ 영역에 속하는 참여자 A의 사례를 통해 연극치료 작업에서 심리 도식이 어떻게 수정되고 재구성되는지 살펴보았다. 영(Young)에 의하면 유년기 정서적 외상 경험에 따라 형성되는 심리 도식은 삶을 살아가는 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A 또한 초기 부적응 도식으로 인해 낮은 자존감,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것이 현재 또래 관계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리 도식은 새로운 상황과 사건에 빠르게 대처하여 적응적으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고정화되고 패턴화된 도식은 이를 유지하고 영속화하려는 속성 때문에 부적응적인 방식으로 고착되기도 한다. 이에 역기능적으로 작동하는 심리 도식을 수정하여, 더욱 적절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극치료는 몸의 감각을 통해 새롭고 낯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한 내적 역동은 고정된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발견하게 해준다. 또한 기존 구조의 파괴로부터 새로운 의미를 찾고 개인의 패턴화된 심리 도식과 이를 작동하게 하는 핵심 욕구를 인지하여,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다른 것으로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에 참여자 A는 자유로운 놀이 안에서 몸의 접촉을 통해 신체 감각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역할 경험을 함으로써 고착된 삶의 패턴에서 벗어나 경험을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극적 세계 안에서 억압된 감정 및 욕구를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부정적 신념을 알아차리고 새로운 이미지로 변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의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심리 도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증명함으로써 연극치료의 효과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그 결과 심리 도식의 새로운 형성 및 재구성까지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drama therapy can be applied and changed to psychological schema. To this end, we first briefly looked at the psychological schema therapy proposed by Jeffrey Young, and examined how psychological schemas are modified and reconstructed in drama therapy work through the case of participant A, who belongs to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rea among the five area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ccording to Young, psychological schemas formed based on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iving life. A also suffered from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low self-esteem and negative beliefs about himself and others due to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this continued to affect his current peer relationships. Psychological schemas may function adaptively by quickly responding to new situations and events, but fixed and patterned schemas may become entrenched in a maladaptive manner due to their tendency to maintain and perpetuate the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modify dysfunctional psychological schemas and reorganize them to function in a more appropriate manner. Drama therapy enables new and unfamiliar connections through the senses of the body. The internal dynamism through this creatively expands fixed images and allows the discovery of new images. In addition, by finding new meanings from the destruction of existing structures and recognizing the individual's patterned psychological schema and the core desires that operate them, it suggests a new direct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framework and transforming it into something else. Accordingly, Participant A was able to break away from fixed life patterns and expand his/her experience by activating his/her physical senses through body contact and experiencing new roles during free play. Additionally, by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and desires within the dramatic world, one was able to recognize one's negative beliefs and change them into a new imag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drama therapy by proving through cases how psychological schemas can be changed through various approaches of drama therapy,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ew formation and reconstruction of psychological schemas are possible.
어머니의 행복감이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행복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이혜민(Hye Min Lee),한유진(You Jin Han)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5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onal role of children’s happin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0<SUP>th</SUP>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Study participants were 1,366 mothers and their children, all of whom were 9 years ol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Results: First, mothers’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econd, both children’s happin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were significant single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ird, the indirect path linking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rough children’s happin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was significant, and the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was supported.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happiness, childrens happin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should a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xplaining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children. Specifically, the strategy to improve childrens ability to self-regulate their media device use by promoting their happiness through improving mothers’ happiness will help improve problematic executive function.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the executive function of school-ag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