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ian Flame' an Asiatic Hybrid Lily with Unspotted Red Petals

        이혜경,조해룡,임진희,김미선,박상근,신학기,정향영,Rhee, Hye-Kyung,Cho, Hae-Ryong,Lim, Jin-Hee,Kim, Mi-Seon,Park, Sang-Kun,Shin, Hak-Ki,Joung, Hyang-Young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아시안플레임'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에 육성된 절화용 아시아틱 나리 품종이다. 1996년에 적색 아시아틱나리 계통 'A94-34'와 적색 아시아틱나리 'Fire'를 교배하여 종자를 획득하였고, 종자를 파종 및 육묘하여 1998년에 'A98-98'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1999년부터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양구를 거쳐 2007년까지 생육 및 특성검정을 수행하였다. '아시안플레임'의 개화기는 6월 중순이다. 꽃은 상향으로 개화하고, 화색은 적색이다. 초장은 122.7cm이다. 주년재배를 위해서는 $-1.5^{\circ}C$에 구근을 동결저장하여 정식시기를 달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 촉성재배에서 엽소증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구의 외인편을 제거하거나 칼슘제를 시비해 주어야 한다. An Asiatic lily cultivar 'Asian Flame' was bred in 2007 a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Korea. The crossing was conducted between female parent A94-34 ('Montreux' ${\times}$ 'Anabelle') and male parent 'Fire' by stigmatic pollination at Suwon in 1996. First selection was done and tentatively named as A98-98 in 1998. After in vitro multiplication and bulb production of A98-98 line,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 tests has been conducted from 2005 to 2007. The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were surveyed at a lily flower show of NIHHS in 2007 in Taean. The new cultivar 'Asian Flame' flowers in middle of June and grows to an average of 122.7 cm in height. Flowers bloom upward-facing, red (RHS 45B) petals.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storage of the bulb under $-1.5^{\circ}C$ conditions. For forcing culture, it is necessary to add calcium to the fertilizer or remove side scales of large bulb to prevent leaf scorch.

      • 데이타 모델링에서 역정규화의 비효율성

        이혜경,Rhee, Hae-kyung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기술교육 Vol.1 No.1

        데이타베이스를 설계할 때 데이타의 중복을 최소화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질의 응답 시간을 최소화하려는 이중적 목표를 추구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 과정상에 복잡성이 불가피하게 유발된다. 데이타베이스 설계의 후반부에서 적용하는 속성 정규화라는 개념의 본질은 응답 시간 단축보다는 데이타 중복 제거에 그 목표가 있다. 그러나 정규화를 깊숙이 수행한 데이타베이스인 경우 자료 검색 시 필요에 따라 테이블간의 조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료 처리 속도의 저하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규화의 부작용을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업에서는 궁여지책으로 역정규화를 함으로써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화와 역정규화와의 성능 평가를 위해 서비스 업체의 고객관련업무 시스템에 대해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석하석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데이타베이스 크기에 따른 응답 시간은 전체적으로 역정규화 모델이 정규화 모델보다 더 길게 나왔다. 역정규화가 기여하는 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정규화가 모순적으로 데이타 중복을 불가피하게 야기하기 때문이다. For designing database structures, pursuing to minimize the degree of data redundancy as well as to minimize query response time inevitably leads to contradictory conflicts with regard to design goals. The essence of the notion of attribute normalization lies in minimization of data redundancy rather than response time minimization. Deep normalization, however, tends to provoke multiple way of schema join, which could then induces response time degradation. To mitigate this sort of side effect that the normalization could brought, a number of field studies we observed adopted the idea of denormalization. To measure whether denormalization contributes to response time improvement, we in this paper developed two different data models, one with perfect normalization and the other with denormalization, and evaluated their query response time behaviors.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normalization case consistently outperforms denormalization case in terms of response time. This study show that the idea of denormalization, which people tends to believe it could be beneficial to response time improvement, quite rarely contributes to that sort of improvement due ironically to the unnecessary data redundancy it inevitably brought.

      • Two-Way Donation Locking for Transaction Management in Distributed Database Systems

        이혜경,김응모,Rhee, Hae-Kyung,Kim, Ung-Mo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1999 정보처리논문지 Vol.6 No.12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적용분야가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작업처리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래 처리 모형들을 필요로 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syntax위주의 직렬성 이론만 가지고서는 거래의 실행시간상 차별화 특성을 수용하면서 다수의 거래에 대한 단위시간당 처리 생산성을 높이기는 힘든 형편이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타적 잠금기법(altruistic locking: AL)은 거래가 객체를 사용한 다음 더이상 그 객체를 요구하지 않을 때 다른 거래들이 그 객체를 로크할 수 있도록 미리 객체에 대한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거래들의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한 취지에서 제안된 것이다. 확장형 이타적 잠금(extended altruistic locking: XAL)기법은 AL을 자취의 확장 측면에서 개선한 잠금기법으로서 AL이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반드시 기부된 객체만을 처리해야 한다는 부담을 보다 완화한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장기거래로 인한 단기거래의 장기적 대기현상 완화 측면에서의 AL과 XAL의 공통적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분산 환경하에서 장기거래로 인한 단기거래의 장기적 대기현상을 최소화하도록 줄임으로써 동시성 제어의 정도를 높이는 반면, 거래간의 평균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확장형 이타적 잠금기법인 전후진방식의 신형 확장 기법인 2DL(two-way donation locking)을 제안하였다. 기법의 적용 광범위성을 위해 분산 계산 환경에서도 작동될 수 있게끔 설계하였다. 모의실험에 의한 성능평가 결과 장기거래의 길이가 5이상, 9이하인 상황에서 2DL은 2PL보다 작업 처리율과 거래의 평균 대기시간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atabase correctness is guaranteed by standard transaction scheduling schemes like two-phase locking for the context of concurrent execution environment in which short-lived ones are normally mixed with long-lived ones. Traditional syntax-oriented serializability notions are considered to be not enough to handle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transaction in terms of duration of execution. To deal with this situation, altruistic locking has attempted to reduce delay effect associated with lock release moment by use of the idea of donation. An improved form of altruism has also been deployed in extended altruistic locking in a way that scope of data to be early released is enlarged to include even data initially not intended to be donated. In this paper, we first of all investigated limitations inherent in both altruistic schemes from the perspective of alleviating starvation occasions for transactions in particular of short-lived nature. The idea of two-way donation locking(2DL) has then been experimented to see the effect of more than single donation in distributed database systems. Simulation experiments shows that 2DL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two-phase locking in terms of the degree of concurrency and average transaction waiting tim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size of long-transaction is in between 5 and 9.

      •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용 역정규화의 무용성

        이혜경,Rhee Hae Kyung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3

        정규화(normalization)는 데이터의 불필요한 중복의 정도를 최소화찰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규화를 깊숙이 수행한 데이터베이스인 경우 자료 검색 시 필요에 따라 테이블 간의 조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료 처리 속도의 저하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규화의 부작용을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업에서는 궁여지책으로 역정규화를 함으로써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화와 역정규화와의 성능 평가를 위해 고객관련업무 시스템에 대해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데이터베이스 크기에 따른 응답 시간은 전체적으로 역정규화 모델이 정규화 모델보다 더 길게 나왔다. 역정규화가 데이터의 중복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 designing the database more efficiently, normailzation can be enforced to minimize the degree of unnecessary data redundancy and contribute to enhance data integrity. However, deep normalization tends to provoke multiple way of schema join, which could then induces response time degradation. To mitigate this sort of side effect that the normalization could brought, a number of field studies we observed adopted the idea of denormalization. To measure whether denormalization contributes to response time improvement, we in this paper developed two different data models about customer service system, one with perfect normalization and the other with denormalization, and evaluated their query response time behaviors.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normalization case consistently outperforms denormalization case in terms of response time. This study show that the idea of denormalization, quite rarely contributes to that sort of improvement due ironically to the unnecessary data redundancy.

      • ELECTION PROTOCOL FOR DEADLOCK DETECTOR IN DISTRIBUTED DATABASE SYSTEMS

        이혜경(Hae Kyung Rhee) 한국정보과학회 198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2 No.2

        In this study, an election protocol for electing deadlock detectors in a network, where a hierar-chical deadlock detection scheme is used, was proposed, whereas no such study has been attempt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once the cont-roller bas been elected, communication time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other nodes will be less than that in Garcia-Molina's election protocol, sinc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input and output ports and the number of sons is utili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future communication volume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other nodes.

      • KCI등재

        휴대폰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의식 연구

        이혜경(Hae-kyung Rhee)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5B

        무선 통신 기술이 모바일 기기들에 속속 도입됨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도 침해 당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한 예로 오스카 수상식에 참석한 패리스 힐튼의 스마트폰이 스웨덴 해커들에 의해 해킹 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본논문에서는 어떤 종류의 개인정보들이 침해 사건처럼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모바일 기기의 플래시메모리에 어떤 종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하기 위한 기술적인 분석은 기기마다 독점적인 방식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거의 불가능임을 알게 되었다. 저장된 내용을 검사하기 위한 범용 도구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기술적인 어려움을 인식함에 따라, 개인정보에 관련된 의식수준을 알기 위해 설문지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설문조사는 가장 정평이 나있는 온라인 조사 사이트 월드 서베이에서 시행했다. 응답 결과에서 열명 중 아홉 명이 개인 주소와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전화번호, 성명, 개인계좌번호와 같은 정보들도 저장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Adop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facilities in mobile devices leads to increased vulnerability in individual privacy. One of such cases was discovered when a smart mobile phone of Paris Hilton at Oscar Award Ceremony was hacked a Swedish group of hackers. In this study, I wondered what sort of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exposed to hackers in such cases. In the course of survey, it was recognized that technical analysis of flash memory in mobile devices to check what kinds of data are stored there is technically almost impossible, since they are usually built in a proprietary manner. No generic tools could apply to discover their contents. Having recognized technical difficulties, it was inevitable to resort to a questionnaire survey to see awareness level with regard to personal privacy. We collected response from three hundred respondents by posting the questionnaire at World Survey on-line research site. What we have discovered was quite astonishing that even personal residence registration numbers have been found from nine of every ten respondents. Other data revealed include phone numbers, names, and personal bank accounts.

      • KCI등재

        대학 취업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모델링 기본이론 경시에 관한 연구

        이혜경(Hae-Kyung Rhee),김희완(Hee-Wa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8

        본 논문은 대학 취업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얼마나 잘 운용되지 않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현업에서는 데이터 디자인 기본 원칙에 미달하는 점들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우리의 연구를 위해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시스템으로써 대학 취업프로그램 이수시스템을 선택하였고 데이터 모델링에 있어서 기본 원칙을 엄격하게 따르는 새로운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라는 이름으로 개발해 보았다. 기존의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가 새로운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표준 균형성으로부터 얼마나 기준에서 벗어나 있는지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데이터 비만도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가 얼마나 많은 불필요한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지 계산해 보았다. 새로운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전혀 포함하지 않았다. 즉, 데이터 모델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의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비만도는 50%가 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대학취업지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비만도가 19%로 나타나 기존의 시스템의 비만도가 37%나 높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차이인 것이다. In this essay, we hoped to see how the operational university job database systems perform badly, since there are a lot of signs that they fall short of data design fundamentals. Fortunately, we are able to choose a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database(UESD) application as a candidate for our study. We have taken UESD system as it is and we have developed an enhanced version of the UESD system, which strictly followed the basic fundamentals in data modeling and named it as NewUESD system. Then, we have conducted a comparison to see how much UESD system is deviated from the standard balancedness found in NewUESD.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obesity, we computed how much UESD contains unnecessary data. The NewUESD contained no unnecessary data at all, which implies that it has only data that is necessary to form a data model. But the data obesity of UESD system is found to be more than 50%. Therefore, it is significantly higher, 37% higher in this case, than the obesity judged to be normal, which is 19% in NewUESD system.

      • 분산환경에서 거래관리를 위한 두단계 기부 잠금규약

        이혜경(Hae Kyung Rhee),김응모(Ung Mo Kim)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12

        Database correctness is guaranteed by standard transaction scheduling schemes like two-phase locking for the context of concurrent execution environment in which short-lived ones are normally mixed with long-lived ones. Traditional syntax-oriented serializability notions are considered to be not enough to handle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transaction in terms of duration of execution. To deal with this situation, altruistic locking has attempted to reduce delay effect associated with lock release moment by use of the idea of donation. An improved form of altruism has also been deployed in extended altruistic locking in a way that scope of data to be early released is enlarged to include even data initially not intended to be donated. In this paper, we first of all investigated limitations inherent in both altruistic scheme from the perspective of alleviating starvation occasions for transactions in particular of short-lived nature. The idea of two-way donation lockig(2DL) has then been experimented to see the effect of more than single donation in distributed database systems. Simulation experiments shows that 2DL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two-phase locking in terms of the degree of concurrency and average transaction waiting tim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size of long-transaction is in between 5 and 9.

      • KCI등재

        영상 컨텐츠 불법 복제에 관한 사용자 의식 수준

        이혜경(Hae-Kyung Rhee),김희완(Hee-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1

        인터넷과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수 초 내에 영화 한 편을 내려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이에 따라 편의성을 이유로 합법적으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영상 컨텐츠를 불법으로 다운로드 받아 감상하는 이용자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외 적으로 저작권법을 강화 또는 개정하여 불법복제물을 상습적으로 게시하거나 복제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한 법적 제재를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티즌들이 영상 컨텐츠의 불법 공유에 대해 과연 어떤 수준의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음악에 대한 불법복제에 관한 연구 및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불법 복제 완화에 대한 거의 완벽한 해법이 이미 나와 있으나 영화를 비롯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불법복제 의식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정평이 나있는 온라인 조사 사이트 월드 서베이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 컨텐츠 불법복제에 관한 의식 조사를 시행했다. 응답 결과에서 열 명 중 아홉 명이 영상 컨텐츠를 불법복제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놀라운 사실은 그와 같은 수준인 95%의 응답자가 불법복제는 위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roliferation of high performance internet infrastructures finally allows their users download a single copy of regular movie just within in a couple of seconds. Ease of accesses to the software for downloading consequently leads them insensitive to the ethics or legitimacy of their conduct. Thus, strong legal action is enforced for piracy over nationally through strengthen the copyright law. We in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o see whether netizens prefer to download just for the matter of their convenience. Whilst the level of awareness is addressed even in a far-fetched manner in the area of music piracy and computer software piracy, the case of movie is much different in that we even fail to find any survey that has been made for movie piracy. The survey has been made by devising questionnaires for netizens and it was posted web WorldSurvey, which is the most prominent online survey site in Korea. To our surprise, 9 out of 10 respondents expressed they actually resort to illegal downloading for the reason of convenience. We realized one more surprise. More than 95% of netizens conspicuously aware of their downloading behaviors are mischievous and illegal without re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