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오이 발효음료가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의 에탄올 대사와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이해인(Hae-In Lee),서권일(Kwon-Il Seo),이진(Jin Lee),이점숙(Jeom-Sook Lee),홍성민(Sung-Min Hong),이주혜(Ju-Hye Lee),김명주(Myung-Joo Kim),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본 연구는 다량으로 폐기되는 오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오이 발효원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숙취해소 음료의 간보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섭취시킨 흰쥐에서 에탄올 대사, 항산화 방어계, 간독성 관련지표 및 지질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동물은 4 주령의 수컷 SD계 흰쥐 24마리를 1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에탄올대조군(Control) 및 에탄올 섭취 흰쥐에게 헛개열매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여 개발한 숙취해소 물질인 SKM 급여군(SKM) 또는 SKM을 함유한 오이 발효음료 급여군(CF+SKM)으로 나누었다. SKM과 CF+SKM은 사람의 하루 섭취량을 기준으로 체중 ㎏당 7 ㎖씩 매일 일정시각에 경구투여 하였다. SKM과 CF+SKM은 체중과 식이섭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F+SKM군의 신장무게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장 중 에탄올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SKM군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 모두 각각 40.6%와 48.4% 유의적인(p<0.05) 개선 효과를 보였다. 간조직 중의 ADH 활성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CYP2E1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간조직의 CYP2E1 활성은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566, p<0.01)였다. 간조직의 ALDH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혈장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r=-0.564, p<0.01)를 보였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내 SOD와 CAT 활성과 GSH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SKM과 CF+SKM은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SKM과 CF+SKM 급여 시 에탄올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AST 활성은 29%와 44% 낮았으며, ALT 활성은 42%와 34% 낮았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특히, CF+SKM의 간조직내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 중 지방축적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SKM과 CF+SKM은 간조직의 CYP2E1 활성을 억제하고 ALDH 활성과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에탄올로 인한 간독성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cumber fermen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of preserv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ucumber beverage (CF) containing beneficial materials for an ethanol hangover based on Hovenia dulcis (SKM)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thanol control, ethanol plus SKM, and ethanol plus CF+SKM. SKM or CF+SKM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7 ㎖/㎏ body weight once per day for 5 weeks. Control rats were given an equal amount of water. CF+SKM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ethanol levels, whereas SKM tended to decrease the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Both SKM and CF+SKM significantly lowered the plasma acetaldehyde levels and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SKM and CF+SKM did not affect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however, it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0 2E1 (CYP2E1) activity.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KM and CF+SKM group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lasma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patic CYP2E1 (r=0.566, p<0.01) activity and ALDH (r=-0.564, p<0.01) activity.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as well as glutathione content increased with the SKM and CF+SKM administration, whereas lipid peroxi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more, SKM and CF+SKM lowered plasma and hepatic lipid content and lipid droplet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KM and CF+SKM exhibit hepatoprotective properties partly by inhibiting CYP2E1 activity, enhancing ALDH activity and stimulat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in ethanol-treated rats.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이해인(Hae-in Lee),김의정(Eui-Jeong Kim),정종인(Jong-In Chung),김창석(Chang Suk Kim),강신천(Shin-Cheon Ka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 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with existing e-learning content and non-face-to-face class methods, improve students’ concentration, improve class achievem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propo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system design using a web server. By using the function of face and eye tracking using OpenCV to identify attendance and concentration, and by inducing feedback through voice or message to questions asked by the instructor in the middle of class, learners relieve boredom caused by online classes and test by runner If the score is not reached, we propo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system design that can bridge the academic gap and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by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videos for the wrong problem.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밀웜 발효추출물의 혈당조절 효과
이해인(Hae-In Lee),Turkyilmaz Asli,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에서는 밀웜 발효추출물(MWF)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db/db 마우스에서 혈당, 췌장의 인슐린 면역조직학적 변화 및 글리코겐 함량과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MWF(200 mg/kg/d) 경구 보충 시 5주차부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혈당이 낮아졌으며, 실험종료 시(6주) 내당능 장애 역시 개선되었다. MWF는 혈청의 인슐린 함량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MWF의 췌장 세포 내 랑게르한스섬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 크고 뚜렷하였으며 베타세포의 인슐린 함량이 높았다. MWF는 간조직 내 포도당수송에 관여하는 Glut2 유전자와 글리코겐 합성에 관여하는 Gys2 유전자의 발현을 상향 조절하였으며, 이는 MWF군의 간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음을 뒷받침한다. 이와 같이 MWF는 혈중의 포도당을 간조직으로 이동하여 저장 형태인 글리코겐으로 합성하여 혈당을 낮추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MWF는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Mealworms (Tenebrio molitors larvae) have a high quality and quantity of amino acids and protein that have attract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nutrition resource. This study examined the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fermented mealworm extract (MWF) in db/db mice. The mice were fed with or without MWF for six weeks. MWF was administered orally to the mice at 200 mg/kg body weight/d. MWF improved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and glucose intoleranc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sulin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showed that the insulin levels of pancreatic β-cells in the MWF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MWF increased the hepatic glycogen content and the related gene levels, such as glucose transporter 2 and glycogen synthase 2. Thus, MWF lowered the blood glucose levels by up-regulating glucose uptake and glycogen synthesis-related gene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WF can be used as a new natural anti-diabetic resource for type 2 diabetes.
반려동물 사별에 따른 지속비애 예방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제안
이해인(Lee, Hae in),김정녕(Kim, Jeong nyeong),이지혜(Lee, Ji hye),문정인(Moon, Jeong in),이연준(Lee, Youn j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4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continues to increase, the need for bereavement preparation, which inevitably comes with pet ownership, has emerg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services to support this ne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ervice that assists pet owners in their proper mourning process through systematic bereavement preparation and prevents the experience of prolonged grief.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ieving process, prolonged grief,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rolonged grief when a pet is lost were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of a pet to analyze the stages of grief and identify their main nee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service concepts and core features were derived, proposing four key functionalities: ‘Recording daily life with your pet’, ‘Engaging in interactive activities with your pet’, ‘Recalling memories with your pet’, and ‘Writing a letter to your pet’. The service concept and core functions were validated through feedback from pet owners, confirming the necessity of the service and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ts integration of the pre- and post-grief experiences of pet owners, providing systematic bereavement preparation to facilitate an appropriate mourning process and prevent prolonged grief. Building on the direction of the study to offer a mor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loss and prolonged grief experienced by pet owners after the loss of a pet, we hope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diverse services in the future.
Scopoletin 보충이 만성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인슐린저항성 및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이해인(Hae-In Lee),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는 scopoletin 식이 보충이 알코올로 인해 유발되는 인슐린저항성과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의 수컷 SD계 흰쥐에게 총 열량의 36%에 해당하는 알코올을 액체식이 형태로 8주간 공급하였으며, scopoletin은 알코올 액체식이 리터당 0.01 g과 0.05g 두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정상군은 알코올대조군과 동량의 에너지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8주간의 알코올 급여는 공복 시 혈당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으나 혈청 인슐린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인슐린저항성과 내당능 장애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scopoletin 저농도와 고농도 급여군 모두 인슐린 함량, 인슐린저항성 지표 및 내당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대조군은 p-PI3K의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glucokinase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억제한 반면, 당신생 효소인 glucose-6-phosphatase의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유의적으로 높였다. 그러나 scopoletin 급여에 의하여 이들 변화는 완화되었다. 다른 당신생 효소인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유전자 발현과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scopoletin 급여군 모두 간조직의 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은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반면, cytochrome P450 2E1 활성은 억제되었다. 또한 알코올로 인하여 낮아진 간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의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높임으로써 과산화수소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을 낮추었다. 이와 같이 0.001%의 scopoletin 급여량에서도 당대사의 유전자 변화를 통하여 만성 알코올로 유도되는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였으며, 알코올대사계 활성 및 항산화방어계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함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과산화수소와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copoletin (6-methoxy-7-hydroxycoumarin) supplementation on insulin resistance and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chronic alcohol-fed rats. Rats were fed a Lieber-Decarli liquid diet containing 5% ethanol with or without two doses of scopoletin (0.01 and 0.05 g/L) for 8 weeks. Pair-fed rats received an isocaloric carbohydrate liquid diet. Chronic alcohol did not affect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although it induced glucose intolerance and hyperinsulinemia compared with the pair-fed group and led to insulin resistance. Both doses of scopoletin similarly improved glucose intolerance, serum insulin level, and insulin resistance. Scopoletin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activated phosphatidyl inositol 3-kinase, which was inhibited by chronic alcohol. Two doses of scopoletin up-regulated hepatic mRNA expression and activity of glucokinase as well as down-regulated mRNA expression and activity of glucose-6-phosphatase compared with the alcohol control group. Both doses of scopoletin significantly reduced cytochrome P450 2E1 activity and elevated aldehyde dehydrogenase 2 activity, resulting in a lower serum acetaldehyde level compared with the alcohol control group. Chronic alcohol suppressed hepatic mRNA expression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however, they were reversed by scopoletin supplementation, which reduced hydrogen peroxide and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liv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copoletin attenuated chronic alcohol-induced insulin resistance and activated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through regulation of hepatic gene expression in glucose and antioxidant metabolism.
전산유체역학 기술을 활용한 주증기 배관 유체유발 진동 평가
이해인(Hae In Lee),정재현(Jae Hyun Jung),이아람(Ah Ram Lee),김원태(Won Tae Kim),최상헌(Sanghun Choi) 대한기계학회 2024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Vol.48 No.3
Flow-induced vibrations in piping system lead to premature wear and failure of the system and equipment. If a vortex shedding frequency owing to the dead-end pipe branch is overlapped with a pipe natural frequency,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increases, resulting in a fatigue failure. In particular, the steam us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flows fast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ausing serious damage in the system and equipment if flow-induced vibrations are delivered to the steam generator. This study perform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s to predict the vortex shedding frequencies of the main steam atmosphere dump valve (MSADV) and main steam safety valve (MSSV) in the main steam line of nuclear power plants. The CFD-based evaluation method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actual quantities of the vibrations in the pipe at 100% power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