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대화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만족도의 차이

        이춘자(Lee Choon-J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웹 대화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 활용방안을 검토하는데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2006년도 1학기 유아교육사상사를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학생 42명이 참가하였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사전 사후 능력의 차이와 두 그룹간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평균이상인 그룹의 경우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Web-BBS and their satisfaction in utilizing i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tion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 and presents suggestions related to it. The subjects were 42 early childhood major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Influences on Early Childhoo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06 and the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8 week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wo groups’ self-regulated ability on Web-BBS and satisfaction in utilizing it before and after the test, T-test was conducted. The finding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self-regulated ability and satisfaction in using Web-BB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when the group whose learning ability was more than average.

      • KCI등재후보

        블랜디드 러닝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태도, 수학교육내용 및 수학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춘자 ( Choon Ja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태도, 수학교육내용 및 수학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이다. 수학태도, 수학교육내용 및 수학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이를 근거로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블랜디드 러닝과 예비유아교사의 수학태도와 통계적으로 의의는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수학태도 점수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랜디드 러닝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내용 및 수학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에는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블랜디드러닝이 유아수학교육에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고, 내용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을 높여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 양성교육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and perception of mathematic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is study surveyed 40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a four-year-course universit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0 and a control group of 20. Pre-and-post test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sking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perception of mathematics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Then the data was examin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lended learning did not have effect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ut the marks change about attitudes toward of mathematics is more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Second, blended learning had effects on their perception of mathematic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blended learning can be useful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blended learning should be actively made use of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by increasing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ntent knowledge and methods.

      • "가르치는 일"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분석

        이춘자 ( Choon Ja Lee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9 실천유아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가르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39명이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가르치는 일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하였다. 가르치는 일은 `지식뿐만 아니라 어떤 목적을 이루는 가치 있는 활동이다, 가르치는 일에는 교사의 열정이 필요하다, 학습자를 잘 이해하는 것이다,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배우는 일과 같다, 학습자의 능력을 개발해주는 것이다, 교사가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준 요인은 보육실습, 보조교사, 대학교에서의 수업 등 이었다.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의미를 밝히는 것은 바람직한 수업을 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aning of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seni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e Subjects wrote the Journal, "What is teaching?".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eaching is `a valuable activity that not only take knowledges but also take goles, need a teachers` passion, understanding learner`s mind, transmit the knowledges, teaching is learning, develop the learner`s ability, show the model. The reason to perception wer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assistant teachers, curricular for pre-service education. A clarifying the meaning of teaching is fundamental work for authentic teach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계획에 대한 인식 분석

        이춘자(Lee Choon-Ja)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계획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학생들로, 31개의 실습일지와 32개의 저널쓰기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습일지 평가란에 나타난 수업 계획은 ‘수업준비, 지도교사의 조언, 자연스런 수업진행, 수업자료, 유아와의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1) 수업 계획 시 주로 고려한 부분은 ‘유아의 특성, 주제와의 관련성, 교육적 가치’ 등이었고, 2) 수업 계획과 실제수업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64%가 계획을 실제 수업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 생각하였다. 3) 수업 계획 시 주로 참고한 자료는 ‘대학에서의 수업, 인터넷, 실습지도교사’ 등의 순이었고, 4) 수업 계획 시 어려웠던 점으로는 ‘실천적 지식의 부족, 계획안 작성의 어려움, 수업 아이디어 부족’ 등이 있었으며, 5) 교육실습 후 수업 계획 시에 나타난 변화는 ‘수업 계획과 실제에서의 자신감, 수업 계획안 작성방법 인식, 수업 계획의 중요성 깨달음, 유아중심 사고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 계획능력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instructional planning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2 senio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D city. The contents of 31 practice diaries and 32 journals written by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instructional planning as ‘preparation for lesson’, ‘advices from cooperating teachers’, ‘implementation of lesson’, ‘lesson materials’, and ‘activities with children.’ Second, 1)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relevance with subjects, and educational value were mainly considered when they were planning instruction. 2)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planning and actual teaching, 64%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plan was important for actual teaching. 3)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referred to the courses taken at the university,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nd advice from cooperating teachers while they were planning. 4) difficulties in planning were the lack of practical knowledge, difficulties in writing lesson plans, and the lack of ideas for activities. 5) changes after student teaching were shown to be self-confidence in instructional planning and actual teaching, recognition of how to write lesson plans, the importance of lesson plans, and the expansion of child-centered instruction. Therefore, for quality instructional planning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versified efforts is requir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사전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내용 및 정서 분석

        이춘자(Lee Choon Ja) 한국육아지원학회 2008 육아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사전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어떤 정서를 경험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사전실습을 실시할 때 교육내용에 대한 합의된 기준을 마련하고 어떤 정서적 지원을 해야 되는지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C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40명이다. 11번의 참관 및 보조교사를 한 후, 사전실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무엇을 경험했는지, 무엇을 느꼈는지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게 하였다. 사전실습에서 경험한 교육내용은 범주를 구성하여 내용을 분석하였고 정서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이 사전실습에서 경험한 교육내용은 총 1157개의 메시지가 분석되었고 유아의 행동과 발달에 대한 이해, 유아교사의 교수활동 원리에 대한 이해, 실습생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교재/교구의 제작 및 활용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이해, 유아교사의 다양한 역할 이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의 적용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현장의 상황과 문제에 대한 이해, 유아교사의 직업정신이나 윤리에 대한 이해, 청소 및 정리정돈의 순서로 경험하였다. 사전 실습하는 동안 느낀 정서는 뿌듯함과 자신감, 부러움, 뉘우침, 당황스러움, 걱정과 긴장, 안타까움의 정서였다. 앞으로 체계적인 사전실습을 위해서 교육내용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며 예비교사들의 정서를 기초로 한 전문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contents and emotion during the pre-student teaching. In order to do so, I would like to see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materials or subjected learned in the classroom, their actual growth and development from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 would like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that the students ne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40 students who are in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of C University in D. They described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felt during pre-student teaching after 11 occurrences of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was done. Through the students' exper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hildren's behaviors and gauge their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teachers' teachings, the kindergartens' environments along with the materials available, and recognize the complex situation that the children were in. Through their experience, the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assistant teachers' position and in addition, understand their teachers' various roles. The student were able to utilize what they had learned from school and apply them into real-life situations. This in turn, allowed them to understand the problems that their teachers face in reality. Their was a distinct improvement noted as the students developed their identities as student-teachers. They understood the professional frame of mind, ethics, clean up, and even tidying away. The students had emotion for example, self-content and self-confidence, envy, penitence, confusion, concern and tension, frustration.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have a systematic pre-service teaching experience, we as educators need to acknowledge the correlation and provide them with profession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ir emotion.

      • KCI등재

        컨텐츠 기반 영어 동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춘자(Lee Choon-J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컨텐츠 기반 영어 동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만 5세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8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컨텐츠 기반 영어 동극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어휘인식, 어휘명명, 이야기회상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based English dramatic pla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roficiency. Subjects were 16 children whose age were approximately 5 years ol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8 week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language ability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t-tests were employ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content-based English dramatic play had an impact on children's proficiency such as lexical identification, matching vocabulary, capacity of story recollection.

      • 어울림프로그램의 실제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급응집력 등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춘자 ( Choi Choon Ja ),이수영 ( Lee Soo 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인 `어울림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급응집력 등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이것은 최근 4대 악이라 불릴 만큼 심각한 학교폭력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교육부의 지침에 따른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주관하고 미래창의영재교육연구원의 전문위원, 카운슬러들의 실제적 참여를 통해 학교폭력태도에 해당학생들에게 어떻게 미치는지에 대한 그 결과를 근거로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아동기와 청소년시기에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학교생활은 청소년기에 매우 중요한 전인교육의 장이며 또한 교우관계는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폭력은 매일매일 체계화되고 깊고 광범위화 되어 집단화, 조직화, 저연령화 뿐만 아니라 SNS를 통해 무차별적 공격화로 아주 빠르게 전파되고 있어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에서 많은 상처와 휴유증이 유발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Since most of the young people to live in the school a lot of time in childhood and adolescents, school is a very important chapter of the Holistic Education in adolescence and can also be called friendship is the driving force for a smooth school life. But school violence is angry organized on a daily basis is a deep broad grouping, organizing, that age anger as well as it is through the SNS very rampant furnace indiscriminate attacks young people are being caused much hurt and hyuyujeung in school severity is time It has expanded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is over. Also, unfortunatel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also not a few leave, first,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youth requires a joint responsibility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th the school administration subjects, second, school violence tendencies of youth temporarily goes adolescence only it is not a steady management by including in the education Curriculum character education enhancement program is required, the third, to strengthen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principal and counselor requires a limit of clear responsibility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fourth, youth positive based on the self-concept it will also need to be able to have a career education firm belief in his career.

      • KCI등재

        Kolb 경험적 학습이론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신념, 수학지식 및 수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춘자(Lee Choon-Ja)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Kolb 경험적 학습이론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신념, 수학지 식 및 수학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 C대학교 2학년 예비유아교사 51명이 다. Kolb 경험적 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실시하고 수학신념, 지식, 태도를 묻는 질문지 를 이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하고 t 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olb 경험적 학습이 론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에 참여했던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신념의 평균점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수학지식도 평균점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수학태도 점수도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수학신념과 지식, 태도도 정적상관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예비유아 교사들이 올바른 수학신념과 풍부한 수학지식과 긍정적인 수학태도를 갖도록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의 유아수학교육에서 Kolb 경험적 학습이론의 활용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athematical education for early years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al belief, knowledge and attitude. 5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sophomore students) at C University in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Class applying kolb’s theory on mathemat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offered for 15 weeks.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and the effect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thematical education for early years based on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al belief, mathematical knowledge and mathematical attitude, a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mathematical belief, knowledge and attitude. Therefore, more positive discussion and studies for the practical method of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n early mathematic education are needed to impac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al belief, and attitude and to provide rich mathematical knowledge.

      • KCI등재

        웹 토론방의 토론에서 유아교사의 상호작용분석

        이춘자(Lee Choon-j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웹 토론방의 토론에서 유아교사의 상호작용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앞으로 웹 토론방을 운영할 때 고려해야할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다. 8주간의 웹 사이트를 운영한 후 20명의 교사들이 제시한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상호작용의 양에 큰 차이가 있었고 상호작용의 질도 예비교사들과 큰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action in WEB-BBS. Moreover it examines what manager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as to web-bbs management. Twenty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bjects in this study. This web site managed during the 8 weeks, and analize teachers' messa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are great differences the quantity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 and in-service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