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위생과 학생의 메타인지,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성과의 관계

        이춘선,이선미,김창희,Lee, Chun-Sun,Lee, Sun-Mi,Kim, Chang-Hee 한국치위생학회 2020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for training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ith a sense of professionalism by identifying meta-cognition, efficient learning strategies, and self-directedness necessary to become a spontaneous, self-controlled learner.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A post-ho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mong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ness. Results: The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ness scores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ere 3.25, 3.08, and 3.12, respectively. Meta-cognition was significant because the grade was lower, and the previous semester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higher. Learning strategy was significant because the previous semester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higher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was significantly low in students whose self-conviction score was below 2.0 in terms of the previous semester grade and significantly high with high self-satisfaction. Conclusions: Instructors at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find various teaching methods to improve learning strategy, an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by enha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 KCI등재

        국제법상 무력충돌과 환경보호 문제에 대한 검토 : 유엔 ILC의 제1독회 초안을 중심으로

        이춘선(Chun-seun LEE)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무력충돌과 관련 환경보호는 무력충돌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군사적 이익을 일부 희생하면서 추구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1970년대 후반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ENMOD협약과 제네바 제1추가의정서에 환경보호를 위한 규정으로 포함됨에 따라 조약상 기본적인 규범이 형성되었다. 전시 환경보호에 대해 조약법이 관습법보다 더 진전되었는데 조약 규정의 내용이 좀 모호하고 이를 적용하는데 높은 기준의 문턱으로 규범으로서 실효성이 떨어지며 또한 군사강국들의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보편적인 관습법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ENMOD협약과 제1추가의정서를 채택할 당시에는 환경법이 초기 단계였으나 지금은 크게 발전되어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도 널리 확산되었다. 또한 전쟁의 양상도 변화되어 무력충돌로 대량살상과 막대한 환경피해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1990년 걸프전 이후 자연환경의 피해복구와 배상처리 과정에서 기존 무력충돌법 대신 유엔안보리 결의에 의거 처리되었다. 이의 근본적 원인은 기존 법체계의 결함에 있는데 전시 자연환경의 보호를 위한 실효적인 법체계로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과 법적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유엔 ILC가 2013년 작업 주제로 ‘무력충돌 관련 환경보호’를 선정하여 제1독회의 결과 2019년 그 동안 작업의 결과를 ‘원칙초안’의 형식으로 유엔총회에 제출하였다. ILC의 원칙초안은 무력충돌의 상황을 시간적으로 3단계로 구분하고 각 상황별 환경보호를 위한 원칙들을 열거하였는데 인도법 뿐만 아니라 환경법, 인권법 등 여러 분야에서 파생된 국제법의 원칙과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유엔 ILC의 ‘원칙초안’이 앞으로 국가 실행의 지침과 실효적인 법원칙으로 발전된 문서가 되기 위해서는 좀 더 진전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 In the particular circumstance of armed conflicts, it may be very difficult for the belligerent state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t the expense of military advantages for the maintenance of war. The basic treaty law related to these issues has been established by the conclusion of the ENMOD Convention in 1976 and the Additional Protocol 1 to the 1949 Geneva Conventions in 1977 with the innovative text of explicit provisions directly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s. The treaty law has also been more advanced in a sense than the customary law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treaty law has faced some challenges in addressing to the environmental damage related to armed conflicts because of its vague meaning and high threshold of standar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as a normative prescriptions. It did not meet the demand to play a proper role as a basic norm for the compensation of the environmental damage and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fter Gulf War in 1990/1991. While this task was carried out by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International society was required a new approach to enhance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war and to complement and revise the existing legal system for more effective measures.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e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decided to include the topic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relation to armed conflicts” in its programme of work in 2013 and adopted the text of draft principles after its first reading in 2019. By 1 December 2020, it is required to submit the comments and observations on draft principles in which consists of various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and non-binding declarations. The set of draft principles also contains provisions derived from not only the law of armed conflict but also the environment law and other international law with a different normative value. While there are some provisions to be reviewed and improved in the next round reading of draft principles for the better legal instrument of international law, it is expected that the draft principles would be more progressed and developed on the future work with the reflections of the comments and observations submitted to ILC and als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war.

      • KCI등재

        국가행위로서 항의(protest)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이춘선(LEE Chunseun) 대한국제법학회 2018 國際法學會論叢 Vol.63 No.3

        많은 학자들과 유엔 국제법위원회는 항의에 대하여 국가의 일방적 행위의 하나로 연구해왔다. 특히 유엔 국제법위원회는 1996년부터 항의를 포함한 국가의 일방적 행위를 법전화하려고 정식 주제로 선정하여 작업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일방적인 행위에 대한 개념에 통일적인 의견을 찾지 못하고 일방적 행위의 실제 행동이 다양하여 전반적인 원칙과 규칙을 법전화 하지 못하고 2006년에 “법적 의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국가의 일방적 선언에 적용되는 지도원칙” 만을 채택하고 연구를 종료하였다. 따라서 조약에 관하여 1969년에 채택한 조약법처럼 현재 국제법상 항의를 규율하는 전반적인 규칙이 없다. 하나의 법적도구로서 항의는 주로 국가의 관행과 국제법원의 판례에서 발전되어 왔다. 영토분쟁에 관한 국제재판 과정과 새로운 국제관습법의 형성 과정에서 항의는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한다. 영토취득 문제와 관련 국제재판에서 취득시효와 선점이 자주 제기된다. 취득시효와 선점의 유효한 성립 요건 중에서 지속적인 평화로운 점유가 필요 불가결한 요소이다. 즉 실효적 점유를 위해서는 원소속국의 항의가 없어야 한다. 묵인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항의의 부재가 요구된다. 국제판례를 보면 항의가 인정되어 항의한 국가가 승소한 경우도 있고, 때 늦은 항의와 같이 항의가 인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항의 부재로 패소한 경우도 있다.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한국과 일본은 1952년 평화선 선언 이래 항의와 반박을 지금까지 계속하고 있다. 영토분쟁에서 특이한 사례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1905년 일본의 시마네현 고시로 독도 편입조치와 항의 문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a항의 영토조항 관련 독도가 제외된데 대한 항의문제, 평화선 선언에 대한 일본의 항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인접국과 영토분쟁은 통상 발생하는 사안으로 양국관계가 악화되지 않은 선에서 적절한 외교적 항의가 필요하고 또한 항의 할 경우는 상대국도 기록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문서로 작성하여 남겨두는 것이 필요하다. Protest as one of unilateral acts of states has been studies by many scholars and by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of United Nations. In particular, ILC has made efforts to codify the unilateral acts of states including protest since 1996. However, ILC has concluded these activities in 2006 after adopting only the text of "the guiding principles applicable to unilateral declarations of States capable of creating legal oblig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a unilateral act is not uniform and there exists a very wide spectrum of conduct covered by the designation “unilateral acts”. Therefore not yet exist overall principles and rules covering the protest as act of states like the law of treaties concluded in 1969. Protest as a legal instrument has been elaborat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actice of States and the judicial decision of international tribunals in the field of territorial issues and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customary law. In territorial issues, the act of protest has the established function to prevent the maturing of the title in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and the occupation of the territory. The acquiescence is essential to the effective possession and the validity of a prescriptive title, The protest plays a important role in deciding whether the acquiescence exists or not during the territorial occupation of other country and the absence of protest could be led to the presumption of acquiescence on the territorial issues in the international tribunals. Regarding the Korean territorial rights and jurisdictions over Dokdo island (Liancourt Rock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sent the letter of protest against the effective possession of Korea every year since 1952 through diplomatic channel. The real intention of such protests by Japan is not clear but it may be assumed that one of many purposes is the attempt to avoid the situation of absence of protest and to prevent the consolidation of legal situ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호남지방 철정 유통의 특징과 가야권역과의 교역 양상

        이춘선 ( Lee Choonsun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7 No.-

        이 연구는 호남지방 내 철소재인 철정의 내부 유통 특징에 따른 호남지방의 마한세력의 철소재유통의 특징과 가야와의 교역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호남지방에서 출토된 철정에 대한 형식분류와 편년을 실시하였다. 이후 철정이 출토되는 유구인 분묘부장, 주거지, 의례에서 유통되는 특징과 철기를 가공하는 단야구와 철소재를 단순 가공한 의례용 부형철기의 부장을 통해 호남지방의 철정 유통 특징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호남지방 내 철정 출토 유구에 따른 철정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호남 철정 유통 양상을 보면 분묘부장 철정은 이른 시기 호남지방 재지 수장층의 목관묘와 전용옹관 이전의 재지 옹관묘를 중심으로 철정이 부장되었고 전용옹관묘 단계에는 부장되지 않는다. 주거지를 통한 초소형의 철정은 마한에서 촌락별 철기제작이 가능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시기 호남지방의 의례용 철기나 단야구의 출토로 보아 철소재를 통한 자체 생산단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백제의 마한 진출 이후 이들에 의한 유통은 발달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호남 동부지역의 소가야양식 토기와 석곽묘, 주거지가 확대되는 지역을 따라 철정의 유통이 다시 확대되고 있으며 석실묘에서는 위신재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철정이 해안과 교통의 중심인 의례유적에서 출토되어 기항지를 중심으로 한 마한 공동체 사회의 제의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정의 내부유통 특징과 분포양상을 통해 가야권역과의 관계를 살펴보면Ⅰ단계에는 금관가야와 관련된 해안 재지 수장층을 중심으로 부장된다. 이후 호남지방 세력은 마한의 해안 재지세력이 금관가야와 철정 교역을 통해 성장하였다. Ⅱ, Ⅲ단계인 4세기 중·후엽 금관가야의 철기공인이 중소 읍락으로 확대되며 아라가야에서도 자체적인 철정이 생산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연합에 의한 두 계통의 철정이 유통되고 있으며 마한 재지세력에서도 철정 교역이 중소형 촌락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그러나, 철정을 통한 내부 유통은 성행하지 못하였고 Ⅳ단계 이후 호남 동부 섬진강 상류와 남해안 교역을 담당한 소가야연맹체와 마한 재지 해양세력과의 교역을 통해 철정이 유통되었다. 따라서 호남지방과 가야권역의 교역은 남해안 교역 주체의 변화에 따라 금관가야-금관·아라가야연맹-소가야 연맹체로 변화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materials in Mahan powers and the meaning of trade with Gay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ron ingots, which is iron material, within Honam area.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ronicle recording for the iron ingots excavated from Honam area. Afterwards,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was reviewed through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relics where the iron ingots are excavated such as the tombs as well as the residential and ritual sites, the Smith’s tools that were used for processing ironware, and the tomb furnishings such as molding ironware that were simply processed from iron materials for using in a ritual ceremony. Based on such review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changes in distribution of iron ingots for the relics where those iron ingots were excavated in Honam area. In reviewing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the iron ingots of tomb furnishings were mainly buried in the wooden coffin tombs and the jar coffin tombs, which were used prior to the dedicated jar tombs, of the higher classes in local regions of Honam area at early times, but were not buried in a phase of the dedicated jar coffin tombs. In addition, it is able to know that fabrication of ironware was possible in each village of Mahan in case of sub-miniature iron ingots through residential sites. Along wit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was a self-production phase with iron materials in light of the excavation of ritual ironware or the Smith’s tools in Honam area during this period. However, a distribution by Baekje was not developed after their entry into Mahan. On the other hand,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further in the eastern part of Honam again along the earthenware and stone lined tomb as well as the area where the residence site is expanded, and have started to play a role of the item that represents one’s dignity and prestige in the stone chamber tombs. In addition, the iron ingots were excavated from the ritual relics, which are the main places of coastal area and transportation, demonstrating the ritualistic nature of Mahan community based on the port of call.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rea and Gaya territory based on the internal transactio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trend of those iron ingots, it is observed in the phase I that those were mostly buried together with the higher classes who had lived in local regions of coastal area associated with Geumgwan Gaya. Since then, with regard to the powers in Honam area, the local powers of coastal regions in Mahan have grown through the trade of iron ingots with Geumgwan Gaya. In the phase II and III that belong to the mid to late 4th century, Ara Gaya also began to produce the iron ingots on their own as the blacksmiths of Geumgwan Gaya were dispersed to small and medium villages. At that time, two different series of iron ingots were used due to an alliance of Geumgwan Gaya and Ara Gaya, and the trades of iron ingots became also prevalent among the local powers in Mahan mainly based on small and medium villages. However, the internal distribution through iron ingots was not frequent, and after the phase IV,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through trades with SoGaya, which was in charge of transactions in the upper area of Seomjin River and the southern coast, as well as the local marine powers in Mahan area. Therefore, trades between Honam area and Gaya territory was transformed to Geumgwan Gaya -> an alliance of Geumgwan-Ara Gaya -> SoGaya federation.

      • KCI등재

        4~6世紀 鐵鋌副葬을 통해 본 金官加耶 交易網의 變化

        이춘선(Lee Choon Sun)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6

        본고에서는 4~6세기 낙동강하류역과 동남해안 분묘에서 출토되는 철정을 분석하여 금관가야의 교역망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금관가야 연맹체의 상호작용 범위와 양상의 일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남해안일대와 낙동강하류역의 분묘에 부장된 철정을 형식으로 분석하고 공반되는 유물을 통해 철정의 형태변화를 시간적으로 Ⅰ∼Ⅸ단계로 그 변화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철정의 부장양상을 분묘의 규모, 철기와 토기의 부장을 통한 위계를 정리하였다. 철정이 3세기중엽 판상철부형 철정의 형태를 이어받아 3세기 말부터 금관가야의 중심권인 김해 대성동과 부산 복천동의 최상위계층에 레일처럼 부장되었다.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전반에는 철정의 형태가 15~22cm(ⅢBc)대칭형이면서 호형의 형태로 규격화되는 경향이 강하고 중하위 위계분묘에 묶음형으로 내부에 집중 부장되며 중소형고분군 내에서도 위계가 있는 분묘에 부장이 증가하고 있다. 5세기 중반이후에는 10~15cm의 대칭형의 인부가 호형이며 너비폭이 좁은 형태(ⅣBc)가 증가하고 중소형의 분묘군 내에서 위계가 낮은 분묘에서도 철정이 부장된다. 이와 함께 철 제련 도구인 망치, 모루, 집게의 제련도구와 부장이 두드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철기제작의 계층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는 3세기말 4세기 초부터 수장층을 중심으로 대형분묘에 재화로서 부장되는 철정이 4세기 중후반에는 소지역단위의 공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형 고분군에 부장되며 중심고분인 대성동유적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며 통제받는 형태였다. 그러나, 5세기 이후에는 단위 소 지역 정치체들의 읍락별 철 생산기능이 가능하였다. 이후 대외교역로를 상실한 금관가야가 낙동강 내륙의 정치체와 남해안연안을 통한 소지역 정치체의 교역 유통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낙동강하류와 남해안의 소지역 단위 정치체들이 후기 금관가야의 교역항으로서 동등하게 상호작용하여 고구려남정 이후에도 금관가야 지역정치체로서 유지해 갔다.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changes in the trade networks of Geumgwan-Gaya by analysis of the iron ingots excavated as burial goods from the 4th ~ 6th century ancient tombs in the areas of Nakdonggang River the southeast coast, and identify the scope and aspects of the interactions in the Geumgwan-Gaya Federation through it.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iron ingots buried in the ancient tombs in the areas of the southern coast and the lower Nakdonggang River by the forms and organized th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iron ingots divided into periods ofⅠ ~ Ⅸ stages through the relics excavated together. Next, this study organized the buried aspects of those iron ingots by the hierarchy through the size of the tombs, and the burial goods of ironware and earthenware. Taking over the form of the plate-shaped iron ax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the iron ingots were buried like a rail in the tombs for the highest hierarchy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3rd century in the areas of Daeseongdong, Gimhae and Bokcheon-dong, Busan, where were the center of Geumgwan- Gaya. Starting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early of the 5th century it shows the strong trend in the shape of the iron ingots being standardized into the symmetrical arc from of 15~22cm(ⅢBc), which are buried in bundles concentratedly inside the middle of the tombs for the early and lower hierarchy, and the number of tombs with hierarchy is increasing even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ancient tombs as well.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symmetrical ones in the 10~15cm with arc blade and narrow-width (ⅣBc) are increased, and the iron ingots are buried also in the tombs for the lower hierarchy ou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tombs. Together with the iron ingots, it shows noticeable burial goods of iron smelting tools such as hammers, anvils and tongs, evidencing that the hierarchy of ironware making becomes diversified. This shows that the iron ingots, that had been buried as a wealth symbol in the large-sized tombs for the highest hierarchy since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were buried in the small and middle-sized tombs for the highest hierarchy who formed the craftman networks in iron production by small regional unit in the middle and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and they took in charge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iron ingots for the highest hierarchy of the Daeseong-dong ancient tombs under the control of them. However, after the 5th century, it became possible of iron production function by towns & villages of political structures in small unit areas. Since then, Geumgwan-Gaya, which lost its foreign trade routes, was transformed into a form of trade & distribution between the political structures in the inland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the ones in small areas through the southern coast. Thus, those political structures in the small unit areas of the lower Nakdonggang River and the southern coast continued to maintain as the regional political structures of Geumgwan-Gaya even after the southern conquest by Goguryeo Kingdom, while interacting on equally basis as the trade ports of the later Geumgwan-Gaya.

      • KCI등재

        외교교섭과 교섭의무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이춘선(Lee, Chunseun) 대한국제법학회 2019 國際法學會論叢 Vol.64 No.3

        교섭은 유엔헌장 제33조에 열거된 분쟁의 평화적 해결 수단중 하나로 매우 유연하고 실용적인 수단이다. 교섭은 그 대상으로 분쟁이 전제되어 있으며, 분쟁 해결에 있어 교섭은 절차적인 과정일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분쟁의 내용과 직접 관련된 실체적 문제이다. 교섭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의미 있는 것이어야 한다. 교섭은 분쟁의 평화적 해결 수단으로서 역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제규범을 창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그러나 교섭을 규율하는 국제규범은 교섭의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비하다. 주로 유엔헌장의 규정과 유엔총회의 결의안에서 분쟁 해결수단으로 규정해왔으나 내용이 대부분 국제법 원칙의 수준이며 구속력이 없는 soft law 지위이다. 따라서 교섭에 관련된 법적 개념과 성격은 분쟁이 재판에 회부되어 심사하는 과정에서 제기되었다. 재판에서는 교섭의 존재, 교섭의 의무, 교섭 노력의 완료 등 심사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인데 국제재판의 판례로서 발전되어 왔다. 교섭의무와 관련 그 법적 근거는 대부분 해당 조약의 분쟁해결 조항으로 조약의 목적에 따라 나름대로 해결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교섭으로 우선 분쟁해결을 추진하고 교섭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중재절차 또는 사법절차에 호소하는 것이다. 재판절차로 회부 되면 교섭의무의 이행여부 즉 교섭노력의 완료가 재판의 전제조건이 된다. 그런대 교섭의무가 합의의무는 아니지만, 진정한 의도를 갖은 교섭은 합의에 도달할 목적으로 분쟁의 성격과 상황이 허용하는 한 계속 추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섭이 실패하든 또는 교착상태에 빠지든 진정한 의도를 가지고 교섭을 추진했다면 교섭의무를 다한 것으로 재판에 회부의 전제로서 교섭조건을 충족한 것이다. 조약체결 과정에서 교섭도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교섭 진행 중 의무와 교섭결과에 대한 의무가 있다. 이는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구체적으로 조문화 되어 있다. Diplomatic negotiation, as one of the means that are enumerated in the Article 33 of the UN Charter, is the most flexible and practical means for the peaceful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 Negoti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not only to the peaceful settlement of disputes but also to the creation of new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 rule related to negotiation is not precisely found in the regulation of International Law but the case law of international court has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rule of negotiation. Negotiation must be pursued with a genuine attempt i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also be continued as far as possible, with a view to concluding an agreement, even if the obligation to negotiate does not imply the obligation to reach an agreement. As the precondition of the adjudication to settle a dispute, the evidence of negotiation is required to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negotiation has taken place in the meaningful consequence. However, the negotiation has not only the procedural aspects to settle a dispute but also the substantive obligations in the subject-matter of the treaty. To meet the precondition of negotiation in the compromissory clause of a treaty in question, the contents of negotiation must concern the kind of obligations contained in the treaty. The negotiation to conclude a treaty must be also pursued i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se obligations of negotiation relate to the conduct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nd also to the result of negotiation.

      • KCI등재

        영남지방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옹관묘의 변천과정

        이춘선(Lee, Choonsun)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2 No.-

        본 연구는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영남지방 횡치옹관 편년을 통해 횡치옹관묘의 출현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 논증하여 옹관묘와 관련된 문화적인 변동에 대해 접근하려 하였다. 옹관묘의 분석은 옹관에 사용된 관재인 토기를 壺, 甕, 鉢의 주요기종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 배열하고 영남지방 내 기존의 분묘 토기 편년관에 대비하여 옹관토기를 편년하였다. 이와 더불어 옹관묘에 채용된 속성과 옹관묘의 배치정형을 분석하여 옹관묘의 변천을 1단계에서 6단계의 편년안을 마련하여 옹관묘의 변천과정을 출현기, 발전기, 변화기로 파악하고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영남지방에서 횡치옹관의 출현기에 사용되는 토기인 봉상파수부호, 발형토기, 시루 등은 煮佛用토기이며 자비용 토기가 옹관에 사용되는 점은 송국리단계와 원형점토대 단계 옹관묘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은 기종이다. 이러한 자비용기의 옹관묘는 주거지 인근에 군집 배치된다. 따라서, 옹관매장은 단독목관묘에 다량의 청동 부장유물이 부장되는 상위계층의 무덤과는 다르며 삼각점토대토기를 소유한 주거지 인근에 매장되는 유아묘이다. 이러한 옹관묘의 출현 이후 발전기에는 대호 제작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일정계층을 가진 유아묘는 상당한 부장유물과 저장용 토기인 대호를 소유하며 성인 군집묘에 함께 배치된다. 이는 이주집단을 통해 알게 된 철기문화를 수용하여 발전한 재지상층집단이 기존의 재지인과는 차별화가 이루어졌을 것이며 그러한 이념이 부모의 지위가 더 반영되는 유아묘에까지 세습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수의 이주 세력이 기존 재지세력과의 접변을 통해 철기문화와 더불어 유아에게도 계층의 이념이 투영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변화기에는 옹관토기에서 장동옹, 시루, 노형기대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옹관묘는 기존의 목곽묘에 배장되는 형태와 단독으로 군집 배치되는 지역양식으로 분화한다. 낙동강내륙의 경우에는 유아용 옹관묘가 일정크기로 규격화되면서 생활토기로 쓰인 유아묘가 주묘제의 배장묘적 성격을 띠게 된다. 그러나, 소아묘는 성인묘와 같은 지위가 부여되기 시작하며 어떤 소아묘는 계층에 따라 성인묘보다 우위에 놓이게 된다. 기존의 계층성을 가진 소아는 옹관묘로 부장되기 보다는 성인묘제와 같은 목곽묘로 매장되고 있으며 남해안유역의 경우에는 성인용 專用甕棺으로 사용되며 군집묘로 배치된다. 따라서 영남지방 옹관묘 변화기는 유아묘와 소아묘는 분리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aims to approach the cultural changes related to the jar coffins by demonstrating the appearance of horizontal type the jar coffins and their transition period through chronological recording of horizontal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from the Early Iron Age to Proto-Three Kingdoms Period. For analysis of the jar coffms, types of The jar coffins were classified and arTanged, including the vessels, the bowls and the wide mouth bowls, applied to the existing tomb chronicle focusing Nakdong river in Youngnam Area, and the validity of such arrangement was examined.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jar coffins with regard to such change of the jar coffins, and examined the changes of the jar coffins 1 to 6 stages with regard to changes in arrangement pattern in ancient tumulus. As above, the change of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was examined and further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ancient tumulus of Jin, Byeonhan(辰ㆍ弁韓)society, in terms of 1st stage and 2nd stage as appearance stage, 3rd stage to 5th stage as development stage, and 6th stage as regional change stage. Background for such stages were also examined. The jar coffins used in the appearance period of horizontal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small jars with stick shaped handles and rim flared jars, wide mouth bowls and steamer were the pottery for boiling, and the fact that the pottery for boiling was not used for the jar coffins had not appeared in the stage of Songknkri(松菊理)and circular clay-stripe pottery. With appearance of pottery for boiling, burial of the jar coffins might be caused by changes in viewpoint on afterlife and burial service. After the appearance of such the jar coffins, upper class groups might accept the Iron Age culture through the migrants in the development period, differentiating from the existing residents and such ideology might be passed on to the children graves where the position of their parents were more reflected. Progressive assimilation of many migrant groups with existing groups might cause new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children grave and this Iron Age culture, which further caused change in concept of class in children. After that, along with the creation of wood-lined chamber tombs, material culture had rapidly developed in Youngnam area and productivity expanded in the stage of wood-lined chamber tombs, so that various kinds of pottery cultures were expanded in every region along with duplication of wood-lined chamber tomb. Accordingly, in the change period of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the child grave with existing class feature were buried with same wood-lined chamber tomb like adult tomb rather than buried with daily life pottery and among them, infant grave and child grave seemed to be separated. That is, child grave began to have same position as that of adult grave and even some child grave had superior position than adult grave depending on his class. The jar coffins for child was standardized to certain size in inland Nakdong river area, subordinate tomb belonged to one family characters of main memorial service for the adults, while more and more The jar coffins dedicated for use were diverted for child coffins around the southern coast.

      • KCI등재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관련특성 요인

        이춘선 ( Chun Sun Lee ),박소용 ( So Yong Park ),박혜민 ( Hye Min Park ),유윤 ( Youn You ),신은경 ( Eun Kyung Shin ),채송이 ( Song I Chae ),한성옥 ( Seong Ok Han ),오혜영 ( Hye Young Oh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2 치위생과학회지 Vol.12 No.6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직무관련특성이 직무만족과 이직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위치한 치과(병)의원을 편의 추출하여 이곳에 근무하는 297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특성을 알아본 결과 연령은 25~30세 미만이 가장 많았고, 미혼이 75.8%였다. 근무기관으로는 51.5%가 치과의원에 근무하고 있었으며 급여수준은 130~150만원이 23.4%로 가장 많았다. 인센티브제도는 55.3%가 없었고 44.7%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2.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특성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 가능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 25~30세 이하와 미혼,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 인센티브제도가 없는 경우 가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가능성은 기혼인 경우 네트워크 형태의 공동개원인 경우와 인센티브제도가 있는 경우 이직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직무관련특성과 직무만족, 이직가능성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네트워크 형태인 공동개원인 경우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환경에서 원활한 환자순환과 의사소통이 잘 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가능성으로는 근무기관이 대학병원인 경우 이직가능성이 높았으며 직원복지가 좋고 업무시간이 적절한 경우와 원활한 환자순환이 이루어질수록 이직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치과위생사의 직무관련특성이 직무만족과 이직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직무만족도에서는 근무기관과 직무환경, 이직가능성에서는 근무기관과 직무만족, 직무환경이라는 관련요인이 밝혀졌다. 따라서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치과 병·의원과 치과위생사 모두 근무기관의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s affect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possibil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7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for three to less than five years, who were unmarried and who didn`t benefit from any incentive systems expressed a greater satisfaction, and those who were married, whose workplaces were established jointly with other dental institutions in the form of a network and whose workplaces offered incentives were more likely to change their employment. As for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possibility, the respondents whose workplaces were established jointly with other dental institutions were less satisfied, and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nd better communication led to higher satisfaction. Those who worked in general hospitals were more likely to change their employment, and better welfare benefits, more appropriate length of working hours and a larger number of patients led to lower turnover responsi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working environments were one of the factors to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possibility, and both of hospitals and dental hygienist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