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연속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의 압축성형에 있어서 확대/축소 점도비를 고려한 유동해석

        김형철,채경,조선형,김이곤,Kim, Hyeong-Cheol,Chae, Gyeong-Cheol,Jo, Seon-Hyeong,Kim, Lee-Gon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3

        To obtain an excellent product and decide on optimum molding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molding conditions and viscosity. The composites is treated as a pseudoplastic fluid, and the expansional/contractional viscosity of the fiber-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is measured using the parallel plastometer, and the model for flow state has been simulated with the viscosity. The effects of expansional slip parameter $\alpha_{e}$, and expansional/contractional viscosity ratio ${\mu}_{\gamma}$, on the mold filling parameter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洪愼猷 敍事漢詩 硏究

        李埰慶(Lee Chae-gyeong)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6 No.-

          18세기 무렵 조선에는 정치ㆍ사회적 변화는 물론 예술 전반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문학에 있어 시대상을 반영하고 사회적 모순을 비판하는 敍事漢詩가 대두 되었으며, 사회ㆍ경제적 배경에 기반한 閭巷人들의 활동이 두드러져 다양한 문학 작품이 産生되었다. 그 가운데 洪愼猷의 서사 한시는 여타 문인들의 작품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본고는 일련의 작품 〈柳居士〉〈達文歌〉〈秋月歌〉〈金河西〉 및 〈車牛行〉 등을 통해 홍신유 서사한시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BR>  홍신유는 서사한시를 저작함에 있어, 개성 있는 실존 인물을 중심으로 한 ‘관련 사건[眞境事]’을 포착하고, 이들의 삶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하였다. 또 실제 사건을 접한 인물 간의 ‘대화 및 독백[實際語]’을 통해 서사를 이끌어가는 동시에 인물의 개성을 부각시켰다. 게다가 각 인물의 개성적 특장을 드러내는 대목에서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생생한 장면[活景]’을 공감하며 경험할 수 있었다. 요컨대 홍신유는 이러한 창작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詩世界를 창출하며 18세기 서사한시의 흐름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것이다.   In the eighteen century there was a change in politics, economy and art as well. As for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epic-in-classical-Chinese was emerged reflecting society of the time and criticizing social problems, and various literary works were created by middle class writers enjoying their wealthy lives. Among them the works of Hong Sin-yu may be different from other contemporaries.<BR>  I have focused on his works of epic-in-classical-Chinese and materialized its hallmarks by analyzing ‘Yu Gosa(Hermit Yu)’, ‘Dalmun Ga(Song of Dalmun)’, ‘Chuwol Ga(Song of Chuwol)’, ‘Kim Ha-so(Kim Ha-so)’, and ‘Gowoo Haeng(Ballade for an oxcart)’. His artful achievements were successful for his dexterity: Real persons emanating their characters, positive characters promising visions, their colloquial conversations being lively, and respective personalities even showing social settings. Through this skill produced his unique poems.

      • KCI등재

        야담의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시대별 ‘치부담(致富談)’을 중심으로-

        이채경 ( Lee Chae-gyeo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8 동방학 Vol.39 No.-

        野談은 口演과 記錄이 공존하는 서사장르로, 하층민에 의해 구연으로 창작되고 식자층에 의해 기록으로 정착되었으며, 고유한 서사 구성과 방식을 통해 조선후기 변화하는 시대상과 다채로운 인물상을 담아냈다. 이는 현재 교육 및 문화 예술 전반에 성행하는 스토리텔링과 깊이 관련되며, 글쓰기 교육 및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여지가 충분한 서사형태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야담 작품 가운데 致富談의 경우, 첫째, 조선후기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사실성을 담보한 글쓰기 방식이 뚜렷하다. 예를 들어, 시대별로 등장인물이 치부하는 방법이나 과정이 달라지고, 使行및 농업과 상업에서 활동하는 모습도 다양해져서 서사가 더욱 풍부해졌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變容된 부자 이야기는 21세기 경제논리에 맞춰 새롭게 각색하여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으로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둘째, 스토리 구성은 끊임없이 스토리가 첨삭 변개되며, 등장인물의 인생관이나 시사담론이 삽입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작자는 주인공의 성격과 기호행위를 새롭게 첨삭함으로써 스토리를 변개시키고, 인생관이나 시사문제를 거론하며 세태를 비판하였다. 이처럼 서사에 삽입된 시사담론을 통해 역사인물의 캐릭터를 보완하거나 현재 국가정세 및 국제관계에 적용시켜 다채롭게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나아가 조선후기 야담의 스토리텔링은 창의적인 사고와 효과적인 표현을 강조하는 글쓰기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야담은 변화하는 시대에 흥미로운 인물과 다양한 사건이 담긴 문화원형으로서 분야별 또는 지역별 문화콘텐츠 개발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Yadam contains both storytelling and writing in its narration. It was created through storytelling by the lower class and was fixed its figure through writing by the upper class. And also shows various characters and changing phases of the times in late Chosun period through its own narrative organizations and methods. These features are deeply related with current storytelling form included in educational and cultural works of art in general and also worth enough to be used in writing education and cultural contents. Chibudam, among a lot of Yadam, firstly reveals phases of the times in Chosun period well and is based in reality plainly. For example, methods that protagonists get their richness in Chibudam change depending on its period. And it shows abundant narrations by describing various economical activities in agriculture and commerce. Like this, the stories about richness reflecting its period can be dramatized for current economic logics and could inform useful contents with interest. Secondly, Chibudam shows changing, editing of story and insertion of characters' view of life or Sisadamron during storytelling process. For instance, writer or narrator changes story by editing protagonist's personality and activities and also criticizes social conditions by mentioning character's view of life or current topics. As above, insertion of Sisadamron enriches its storytelling by supplementation historical figure's character as well by reflecting current situation of states or international relations. Furthermore, the storytelling of Yadam in late Chosun period could be used in writing education emphasizing creativity and effective expression. At the same time, Yadam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effectively depending on various fields or regional groups as a cultural original form including people of topic or topical incidents.

      • KCI등재

        일반논문 : 18세기 야담(野談)의 글쓰기 양상-야담의 구성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이채경 ( Chae Gyeong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4 No.-

        야담(野談)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한문학 서사 장르로, 특히 18세기에 성행하였다. 그것은 저자의 지식 소유욕을 충족하는 통유(通儒), 내재된 작가 의식을 발현하려는 기양(技양), 문학적 기량을 표출하는 가허(架虛)를 담보한 저술이다. 이는 문학 전반에 해당되는 일반 저자의 인식이자 보편적 글쓰기 과정으로, 저술 과정에서 설명하기, 비평하기, 비유하기 등 여러 글쓰기 방식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저자는 객관적 지식을 서술함으로써 독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주관적 비판을 부여함으로써 독자를 설득하고, 문학적 기량을 발휘하여 감상을 표출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야담은 민간에서 창작되어 구연을 통해 유행하였으며, 이후 식자층에 의해 기록으로 정착된 독특한 서사체이다. 또한 대부분 근원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사가 구성되지만, 근원이야기 전후에 사회 분위기나 후일담(後日談) 또는 평어(評語)가 부록되면서 새로운 구성 방식을 보인다. 그런데 야담에서 근원이야기 중심의 서사는 기양과 가허에 기댄 비유하기를 통해 재미와 더불어 현장감과 생동감을 더한다. 또 근원이야기 전후에 실린 사회 분위기나 후일담은 통유를 지향한 설명하기로 인해 신뢰감과 설득력을 높인다. 아울러 근원이야기 뒤에 붙여진 평어는 비평하기에 해당되는데, 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논리적인 설득에 적극 동조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처럼 18세기 야담은 저자가 세 가지 글쓰기 방식을 활용하여 흥미롭고 새롭게 작품을 구성하였다. Yadam was one of typical Chinese classic description writing genre in late Chosun, especially popular in 18th century. That was writing that encompasses Tongyu[通儒], representing possessiveness for knowledge, Giyang[技양], containing criticism, and Gaheo[架虛], expressing literary ability. However, this can be compared with features of descriptive writing way, critical writing way and metaphorical writing way in writing aspects. That conveys information to readers by author``s description of objective information, persuades readers by author``s expression of subjective criticism and gets reader``s impression and sympathy by author``s literary-ability-exhibited expression of opinion and feeling. In other words, its object accords with writing factors. Yadam shows distinctive description form which was created in the private sector, was being popular by narration process and settled after course of record by the literate stratum. In addition, while majority description centrally consists of source story, it can show a new configuration by annexing social atmosphere, behind story or comment before and after source story. However, description centrally consists of source story is applicable to metaphorical writing, social atmosphere or behind stories added before and after source story are applicable to descriptive writing, and comments added after source story are applicable to critical writing. Thus, Yadam in the 18th century was regarded application of three writing methods.

      • KCI등재

        둔상성 비장 손상: 추적 CT의 필요성

        이채경 ( Lee Chae Gyeong ),구관민 ( Gu Gwan Min ),오연희 ( O Yeon Hui ),이현경 ( Lee Hyeon Gyeong ) 대한외상학회 2002 大韓外傷學會誌 Vol.15 No.2

        Backgrounds: Nonsurgical management is becoming the preferred treatment method for adult patients who are hemodynamically stable and have blunt splenic injuries. The issue of follow-up computed tomography (CT) for blunt splenic injury in the era of nonsur

      • KCI등재

        『三國遺事』와 스토리텔링

        이채경(Lee, Chae gyeong)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39

        본고에서는 『삼국유사』에 실린 이야기를 중심으로 동서양 說話와 野談 및 神話의 스토리텔링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스토리텔링 原形으로서 『삼국유사』의 가치와 위상을 가늠해 보았다. 먼저 설화 <거타지 이야기>는 야담으로 전승되어 <화포장 이야기>를 낳았고, 스토리 성격이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한 奇異談에서 致“談으로 바뀌었다. 또 <거타지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 <페르세우스 이야기>와 유사한 스토리 전개 양상을 보였는데, 동서양의 서로 다른 정서와 인식을 반영한 報恩談과 結緣談을 이루었다. 다음으로 설화 <김유신 이야기>는 역사서에 나오는 미추왕 죽엽군 이야기를 포함해 야담에 전승되어 새로운 이야기로 변개되었으며, 당초 미추왕과 김유신의 護國談에서 이후 儒者로서 김유신의 면모를 강화한 正義談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경문왕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 <미다스 왕 이야기>와 흡사한 내용인데, 두 이야기는 모두 비밀과 발설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압박과 사물의 생태적 특징이 기저에 깔려 있으며, 특히 <경문왕 이야기>는 王者가 民心을 듣는 신체기관으로서 ‘귀[耳]’를 강조한 스토리텔링이라고 해석되었다. 따라서 『삼국유사』는 우리나라 설화와 야담의 전승관계를 밝히고, 서양의 신화와도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寶庫이자 原形으로 평가된다. In this article, I comparatively analyzed storytelling aspect of Yadams and myths from the east and the west. Furthermore, I judged value and stature of 『Samgukyusa』 as a original form of storytelling. Firstly, <A tale of Geotaji> was passed down to <A tale of Hwapojang> as a Yadam and was changed its sort from strange story to story of making fortune thereby reflecting social aspect of those days. Also <A tale of Geotaji> has similar story development with <Story of Perseus> from Greek myths. It shows contents about repaying favor and making relationship presenting different sentiments and cognizance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sequence, <A tale of Kimyusin> had been altered to new tale by transmission including <A tale of King Michu Jukyeopkun> which could found in history. It originally was a story about protection of country by king Michu and Kimyusin but thereafter it had been changed to story about right ideals of Kimyusin as a confucian scholar. Lastly, <A tale of King Kyeongmun> has similar substance to tale of king Midas from Greek myths. Both tales based on emotional pressure about revealing secrets and object"s ecological features. Furthermore, especially <A tale of King Kyeongmun> emphasizes king"s "ear" as a organ of listening public sentiment. Therefore, 『Samgukyusa』 is a repository of storytelling that could discover transmission relation between tale and Yadam furthermore can find common features between western myths. And it is evaluated as a original form of Korean storytelling.

      • KCI등재

        조선 중기 우언 산문의 양상과 특징-「류계(瘤戒)」, 「묘포서설(猫捕鼠說)」, 「양구전(養狗傳)」을 중심으로-

        이채경 ( Lee Chae-gyeong ) 우리한문학회 2016 漢文學報 Vol.34 No.-

        우언 산문은 독자에게 흥미와 교훈을 함께 제공하는 기능을 지녔다. 작자는 작품의 저술의도와 교훈을 사물에 빗대어 寓意的으로 표현한다. 특히 작품에서 부정적인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우의하는 방식은 이상적인 질서와 가치가 구현되지 못하는 현실을 인식하고, 이를 직접 비판할 수 없을 때 연관된 이야기를 빌어 간접적으로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작자가 현실적인 모순을 인식하고 부정적인 상황의 극복을 촉구한다는 사실에 寓意의 핵심이 있다. 따라서 비판적인 시각과 아울러 풍자적인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조선 중기에 저술된 姜沆의 「瘤戒」, 崔演의 「猫捕鼠說」, 李惟弘의 「義狗傳」을 텍스트로 살펴보았다. 임진왜란을 전후한 세 작품에 보이는 양상과 특징은 다양한 소재 선택과 장르의 확대, 시대적 모순 포착과 풍자의 강화, 비판적 인식 표출과 寓意의 검증으로 요약된다. 세 작자는 당시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상황을 혹과 산도깨비, 쥐와 고양이, 개와 범 등 다양한 소재를 통해 `--戒` `--說` `--傳`으로 장르를 확대하면서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이는 당쟁과 전란으로 피폐해진 현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어 우언의 발전에 기여했다. 또 작자는 직접 경험한 정치 사회적인 모순을 위기로 인식하고, 그런 시대적인 상황과 모순을 포착하여 자신의 처지와 결부시킴으로써 풍자를 더욱 강화하였다. 게다가 작품 말미에 덧붙인 평설에서는 작자의 인식과 저술 의도를 고스란히 표출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서사 속 우의를 검증하였다. A prosaic fable during Chosun dynasty gives interest and a moral to us. For example, there were `--gye`, --seol`, `--jeon`, etc. In this paper, I selected three stories out of many fables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Out of them, `Yu-gye` was written by Kang-hang, `Myoposeo-seol` by Choi-yeon, `Euigu-jeon` by Lee Yu-hong. Wens and goblins appeared in `Yu-gye`, rats and cats in `Myoposeo-seol`, and a tiger and a dog in `Euigu-jeon`. The confusing state of affairs, such as Imjin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Sahwa[A massacre of scholars] was written in these stories. So the writers wrote literary works about this subject matters, and satirized the period conflict through their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Therefore they narrated various styles to give a moral. After 17th century, written fable products that were motived by animals` mystery and eccentric conducts came out. Later there were spreaded private stories, so there were anchored Ya-dam.

      • KCI등재

        『어우야담』에 담긴 지적경험과 서사장치

        이채경(Lee, Chae-gyeong)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野談은 조선후기에 유행한 한문서사 양식으로, 柳夢寅의 『於于野談』은 筆記의 성격이 강하지만 우리나라 최초 야담집이라 평가된다. 본고에서는 『어우야담』에 실린 일부 작품을 선별하여 거기에 담긴 지적경험과 서사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差異’와 ‘是非’의 間隙을 넘나드는 이야기에 초점을 맞춰 당시의 사실적 인정물태와 서사에서 엿보이는 문학적 장치에 관해 논하였다. 다시 말해, 조선후기 민중의 관심과 민간의 物態에서 채집되어 『어우야담』에 수록된 작품을 통해 필기와 야담의 양면성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어우야담』은 다양한 관점에서 지적경험을 담아냈는데, 한편으로 조선과 중국의 차이를 인정하고, 관심과 기록 영역을 歐羅巴[Europe]와 流球國[오키나와] 등 세계로 관심을 확장함으로써 당대 지식인으로서 필기적 면모를 뚜렷이 보여주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대화체를 활용하여 등장인물의 서로 다른 시각차를 드러내고, 속담을 인용하여 당시 사회의 잘잘못을 비판하는 등 서사장치를 부각시킴으로써 야담적 면모가 두드러졌다. 요컨대 어우야담 에는 당시의 지적경험을 투영한 필기적 면모와, 서사장치가 부각된 야담적 면모가 잘 어우러져 있다. Yadam is a popular Korean narrative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ouyadam written by Yumongin has a strong character of Pilgi, but is evaluated as the first Yadam collection in Korea. In this paper, we selected some of the works published in Eouyadam and examined the intellectual experiences and narrative devices contained therein.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story that crosses the gap between ‘difference’ and ‘wrong’, we discusse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and the literary devices seen in the narrative. In other words, through the works collected from the people’s interest and civilian stat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reflected in Eouyadam, we explored the two-sidedness of writing and talking. As a result, Eouyadam conveyed the human natures and social condi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by reflecting the exchange situation between Joseon and China, and expanding the area of interest and recording to the world such as Europe[歐羅巴] and Okinawa[流球國]. As an intellectual at the time, he clearly showed his handwriting side.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aspect was remarkable by highlighting the narrative device, such as revealing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characters using dialogue style and criticizing the wrongs of society at the time by quoting proverbs. In short, Eouyadam has a good harmony between the writing aspect that reflects the intellectual experiences of the time, and the Yadam aspect emphasizing the narrative devices.

      • KCI등재

        『잡기고담(雜記古談)』서사 연구 -서사 구도 및 유형을 중심으로-

        이채경 ( Chae Gyeong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7 No.-

        野談은 조선후기 문학사에서 단연 돋보이는 서사 양식이다. 그 가운데 任邁의『雜記古談』은 흔치 않은 소재를 작가적 역량으로 서사화한 秀作이다.『잡기고담』의 서사는 ‘脫/出’과 ‘歸/還’을 넘나드는 구도를 취한다. 작품 속 등장인물이나 화자가 어떤 계기로 집을 나서는[出]것에서 출발하여 의도한 바를 이루고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歸] 것으로 마무리된다. 아울러 화자가 불합리하게 여기는 체제나 구조적 모순에서 벗어나는[脫] 것에서 시작하여 자의나 타의로 목적을 이루고 본래 상태로 되돌아오는[還] 것으로 종결된다. 그 서사 과정에서 ‘탈/출’과 ‘귀/환’을 반복하는 유형, ‘탈/출’ 후 ‘귀/환’을 알 수 없는 유형, ‘탈/출’ 후 ‘귀/환’하는 유형, ‘탈/출’ 후 ‘귀/환’하지 못하는 유형, ‘탈/출’ 후 ‘귀/환’하지 않는 유형, ‘탈/출’ 후 ‘귀/환’을 실현한 유형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여섯 가지 유형의 이야기는 당시 경제구조의 변화, 신분제도의 붕괴, 권력계층의 비리, 국가체제의 구조적 모순, 남녀차별 및 가정해체 등에서 양산되었으며, 작가는 그것들을 소재로 채택하고 서사에 반영하였다. 또 여섯 가지 유형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이 추구하는 것은 바로 ‘義’이다. 그들은 이른바 忠, 孝, 俠등 사람의 도리와 세상에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脫/出’과 ‘歸/還’을 시도하며, 간혹 그것이 성취될 때까지 ‘脫/出’과 ‘歸/還’을 반복하기도 한다. 이처럼 ‘탈/출’ 과 ‘귀/환’을 넘나드는 서사 구도는 당대 사회상을 배경으로 등장인물이 ‘의’를 찾는 과정을 심도있게 보여주며, 야담 특유의 서사성을 확보한다.

      • KCI등재

        『錦溪筆談』에 기록된 신라 이야기 연구 - 역사의 口演과 記錄을 중심으로 -

        이채경(Lee, Chae-gyeong)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6

        조선 후기에 출현한 野談은 하층민에 의해 창작되어 민간에 流傳되다가, 識字層에 의해 기록되어 서사문학으로 정착되었다. 17세기 『於于野談』을 시작으로, 18세기 『天倪錄』 등을 거쳐, 19세기 『錦溪筆談』을 비롯한 여러 야담집이 등장하였다. 그것은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허구가 다채로운 이야기로 交織되어 풍부한 敍事體를 완성시켰다. 본고에서는 후기 야담집 『금계필담』에 기록된 신라 이야기를 고찰하였다. 특히, 신라의 풍속과 인물 등이 야담 속 구연과 기록을 통해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삼국의 역사서 『三國史記』 및 『三國遺事』 속 신라에 대한 기록과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초기 야담집 『천예록』 소재 신라 이야기도 아울러 살펴봄으로써 시대변화에 따른 역사의 전승과 야담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상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에 출현한 『금계필담』은 당시 조선에 전해진 신라의 풍속을 담아냈다. 둘째, 『금계필담』의 저자는 역사서에 기록된 다양한 신라의 인물 이야기를 다루었다. 셋째, 前代에 나온 『천예록』은 『금계필담』과는 또 다른 신라(경주)의 역사와 인물을 흥미롭게 再構하였다. 요컨대 『금계필담』에 기록된 신라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과 허구 및 야담적 구연과 기록을 중심으로 다양한 풍속과 인물을 그려냈다. The Yadam, which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reated by the lower class and inherited in the private, and was recorded by the literati and settled into epic literature. Beginning with Eouyadam in the 17th century, Cheonyerok in the 18th century, various Yadam collections, including Geumgyepildam in the 19th century, appeared. It mixed a colorful story of historical facts and literary fiction, completing a rich narrative style. In this paper, the story of Silla which was recorded in the late Yadam collections, Geumgyepildam, was discuss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how Silla customs and figures were passed down through verbal stories and records. First, the records of Silla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sagi and Samgukyusa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records in Geumgyepildam, and further examined the Silla story based on Cheonyerok, an early Yadam collection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transmission and Yadam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bove discussion, the following is drawn. First, Geumgyepildam,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ptures the customs of Silla that were handed down to Joseon at that time. Second, the author of Geumgyepildam described with the stories of various Silla personages recorded in the history books. Third, Cheonyerok, which was written in the previous era, recorded a different history and character of Silla(Gyeong ju) from Geumgyepildam. As such, the Silla story recorded in the Geumgyepildam depicts various customs and characters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fiction, literary oral narrations and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