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 Concept Map-Based Support System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이진주 ( Jinju Lee ),( Conrad Brubacher ),구상회 ( Sang Hoe Koo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3 경상논집 Vol.33 No.1
This paper proposes a support system for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tended to balance English classrooms regarding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 pre-test is used to elucidate learners' specific strengths and weaknesses in English, with the test results forming the basis of user profiles for each learner in the classroom. With those results, English teachers are able to balance their classrooms by targeting specific deficiencies with supplementary practice that allows learners to focus before and during upcoming lessons. Three modules comprise the proposed system: a concept map module that is made up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mmar concepts from the English curriculum of a grade four elementary class; an evaluation module consisting of the aforementioned pre-test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test questions; and a user profile module containing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general information for each user. As learners take the pre-tests in advance of upcoming concepts to be learned, the user profile also updates the database as learners acquire knowledge of new concepts and advance towards more complex grammatical stages of the concept map. Although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an English curriculum in Korea, it can also be employed within other fields as a way for teachers to recommend the customized practice necessary to enhance learning of the concepts intrinsic to those fields.
이동객체 환경에서 이웃 노드 정보를 활용한 2계층 공간 색인 구조
이진주(Jinju Lee),박용훈(Yonghun Park),서동민(Dongmin Seo),유재수(Jaesoo Yoo)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2
최근 위치 인식 기술과 휴대 기기의 발달로 인해 이동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객체 환경에서 빠른 질의 처리를 지원하는 공간 색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공간 색인 구조는 kd-tree의 공간 분할 개념을 이용한다. 그리고 질의 처리 시 상위 노드의 탐색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B+-tree처럼 단말 노드에서 이웃 노드들의 링크를 유지한다. 또한 트리 구조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접근을 지원하는 그리드 구조를 이용하여 질의 처리시 단말 노드에 접근하기 위한 트리 탐색 비용을 절감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색인 구조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With the development of location aware techniques and mobile devices, the interests of location based services (LBS) have been highly increa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 index structure that provides efficient query processing for the moving objects.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is based on a grid structure that provides direct accesses to data pages. It also uses the splitting policy of the kd-tree to make a leaf node. In addition, each leaf node maintains the links to neighbor leaf nodes like B+-tree to avoid unnecessary parent node accesses to search a neighbor node. It is shown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that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s.
혈액투석을 실행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식사관련 삶의 질(Diet-Related Quality of Life)과 식사요법 실천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위장관 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이진주(Lee, JinJu),김지명(Kim, Ji-Myung),김유리(Kim, Yuri) 한국영양학회 201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6 No.2
혈액투석 식사요법을 실천하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사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식사관련 삶의 질과 식사요법 실천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 위장관 증상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3.0세, 남성의 비율이 58.4%, 운동을 하는 대상자는 55.4%, 흡연비율은 11.9%, 음주비율은 10.9%로 대체적으로 자기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의 66.3%가 영양교육 경험이 있었다. 합병증으로 당뇨가 38.6%, 고혈압이 32.7%이었고, 위장관 증상으로 대상자의 72.3%가 변비, 14.9%가 과민성 장 증후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식사요법 실천정도는 55점 만점에 35.4점으로 나타났고, 식사요법 실천정도가 상승할수록 식사요법과 관련된 비용, 자기관리에 대한 만족감 영역의 삶의 질이 증가 (p < 0.05)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관련 삶의 질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여러 항목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 < 0.05, p < 0.01), 특히 만족감 영역, 정신적 영역에서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4) 변비가 있는 대상자의 식사관련 삶의 질은 변비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맛, 편의성, 식사에 대한 부담감 영역의 식사관련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p < 0.05),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대상자의 맛, 식사에 대한 부담감 영역 (p < 0.05)의 식사관련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5) 대상자들의 식사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p < 0.05)과 변비 (p < 0.01)가 식사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사요법을 실천중인 혈액투석 환자들은 식사요법 실천정도가 높았으나, 식사요법으로 인한 부담감이 크고 전반적인 건강영역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고, 더불어 위장관 증상에 따라 식사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교육 시에는 개개인의 식사관련 삶의 질, 식사요법 실천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 위장관 증상 등을 고려한 균형 있는 영양관리, 삶의 질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식사 관련 삶의 질은 혈액투석 환자가 식사요법으로 인해 받는 사회적, 심리적 영향을 잘 반영할 수 있어 앞으로 영양교육이나 식사요법의 효과를 다각도로 평가하는데 있어서 좋은 도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related Quality of Life (QO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diet-related QOL,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OL,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hemodialysis patients.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n artificial kidney center in Seoul.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et-related QOL, compliance with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OL,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was distributed. Diet-related QOL includes a ‘Quality of Life and Related to Dietary Change Questionnaire’, ‘Satisfaction Survey’, and ‘Dietary Impact Survey’.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the greatest difficulty with ‘Dietary Impact’. In particular, the mean score for general health was low. Association of dietary regimen practice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Cost’ and ‘Self-care’ score. In addition, diet-related Q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related QOL, particularly in ‘taste’. Scores for ‘Taste’, ‘Convenience’, and ‘Dietary Impact’ were lower for subjects with constipation compared to those of subjects without constipation. Scores for ‘Taste’ and ‘Dietary Impact’ were lower in subjec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compared to those of subjects without the syndrome (p < 0.05). Diet-related QOL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QOL (p < 0.05), whereas it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constipation (p < 0.01). In conclusion,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suffer from burden of dietary regimen practice and most scores for diet-related QOL and health-related QOL from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low. Therefore, appropriate nutrition education consider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is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patients’ QOL during dietary regimen practice. (Korean J Nutr 2013; 46(2): 137 ~ 146)
생산적 실패 경험에서 메타인지적 프롬프트 유형이 학습자 표상 및해결방안 도출, 인지부하, 지식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진주(Jinju Lee),주현(Hyun Joo),김동식(Dongsi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적 실패 경험에서 메타인지적 프롬프트 유형이 학습자가 생성하는 표상 및 해결방안 도출의 다양성과 구조화된 정도, 인지부하, 그리고 지식 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단계에 필요한 메타인지 프롬프트를 모두 제공한 ‘높은 지원’ 집단, 그 중 일부 프롬프트를 제외한 ‘적절한 지원’ 집단, 그리고 프롬프트를 제공하지 않은 ‘무지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준실험설 계로, 총 106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다변량공분산분석과 일원공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습자가 생성한 표상의 다양성은 ‘적절한 지원’ 과 ‘무지원’ 집단이 ‘높은 지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표상의 구조 화된 정도와 인지부하는 메타인지 프롬프트 제공 방식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높은 지원’ 집단과 ‘적절한 지원’ 집단이 ‘무지원’ 집단보다 학습 자가 본인의 현재 지식 상태와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 간 격차를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적 실패 경험에서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 과정을 성찰하고 이해 정도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산적 실패 환경의 특징을 고려한 적절한 지원의 메타인지 프롬프트 제공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optimal form of support during the problem solving phase in productive failure for the learners to have the best benefit from their failing experience. The experiment took place for two week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receiving no, optimized, or full support (N = 106) and the study measured learners’ representation and solution methods (“RSM”), cognitive load, and knowledge gap.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no and optimized support condition produced significantly more diverse RSMs than those in the full support condition. However, the effect of the types of metacognitive prompts on RSM structuredness and cognitive load were not significant. In case of knowledge gap, learners in the optimized and full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more aware of knowledge gap than those in the no support group. It implies that the optimized form of support was able to privide learners with a chance to reflect their RSMs and be aware of their knowledge gap.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대립 표현 연결어미 이해 양상 조사 연구 - 의미·화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
이진주 ( Lee Jinju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선청어문 Vol.50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aspects of opposite relation connective endings focused on -jiman, -neunde, -eumyeonseo, -deoni, to establish base of teaching contents of opposite relation connective endings. Korean connective endings are known that make Korean learners feel burdened because several items are included in one same semantic category and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the semantic·pragmatic aspects. However, since the goal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s to make learners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ammar items and use them accurately and appropriately, it is essential to teach connective endings that could reveal the speaker’s intention. From this standpoint, it was conducted a survey of the understanding aspect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which based on the results of corpus analysis on the semantic·pragmatic differences of the connective endings. As a result, it came out that learners avoided certain endings due to the complexity and they overapplied them by simplifying grammar rules. And it was also revealed that Korean learners did not understand completely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each connective ending h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