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 This work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 seed set in Lilium longiflorum and L. ${\times}$ formolongi, and their crosses as the female parent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resulted in cent per cent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189 and 70, respectively. However,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87% and 40% fruit set in Gelria and Lorina,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was 53 and 20. In L. ${\times}$ formolongi, stigmatic pollination set 80% fruits with 736 seeds/fruit. On the other h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with 81 seeds/fruit. The intraspecific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ther cultivars formed 60% fruits with a mean number of 18 seeds/fruit. However, only 20%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7 was recorded when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ultivar were pollinated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In the intra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 formolongi cv. Raizan with Novia, fruit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75% and 50%, respectively with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579 and 98. It was concluded that self as well as intraspecific seed set in the two species of Lilium gets considerably reduced as a result of cut-style pollination.

      • KCI등재

        Oriental, Martgon 및 Trumpet Group을 화분친으로 사용한 백합의 종간수분

        이지용,윤의수,임용표,Lee, Ji-Yong,Yoon, Eui-Soo,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1 No.2

        L. longiflorum cv. Gelri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98조합 2,380개체에 대한 종간교배 결과 삭과 형성수는 7조합에서 11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L. 'Vettorea'를 화분친으로 한 1조합에서만 1개체를 얻어 그 비율은 미미했으나 1개의 삭과에서 11개의 미숙배를 획득했다. 같은 나팔백합인 L. longiflourm cv. Lorin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74조합 1,265개체의 교배결과 삭과 형성 수는 8조합에서 9개체를 얻었다. 배형성 삭과율은 1.3%를 나타냈으며 전체 24개의 배를 얻었으며 삭과당 평균배수는 3.0개였다. L. ${\times}$formolongi cv.'Raizan'을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85조합 1,065개체 교배결과 삭과 형성수는 36조합에서 62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12조합에서 17개체를 얻었고 여기에서 얻은 전체 배수는 68개로 삭과당 평균배수는 4.0개였다. 같은 Longiflorum group인 L. ${\times}$formolongi과 L. ${\times}$formolongi 자방친으로 한 종간교배 결과를 비교해 보면 배형성 삭과율은 L. ${\times}$formolongi cv. Raizan (3.1%) 이 ㅣ. longiflorum cv. Gelria (0.1%)와 L. longiflorum cv. Lorina (1.3%) 보다 높은 편이었고, 삭과당 평균배수는 L. longiflorum cv. Gelria(11.0개)가 L. longiflorum cv. Lorina (3.0개), L. ${\times}$formolongi cv. Raizan (4.0개) 보다 높은 편이었다. 한편 Longiflorum group인 L. longiflourm cv. Gelria 및 L. longiflorum cv. Lorina와 L. ${\times}$formolongi cv. Raizan를 자방친으로 하고 화분친을 Martagon group인 1. distichum, L. hansonii, L. tsingtauense, L. martagon, Trumpet group인 L. 'Black Beauty', 1. henf, L. henry, regale 등으로 화주절단수분을 한 결과 (L. ${\times}$formolongi${\times}$L. henryi)의 조합에서만이 15개의 교배개체 중에서 2개의 성숙 삭과를 얻었을 뿐 배를 형성한 삭과는 얻지 못했다. 이러한 교잡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 시험에서 시행한 화주절단수분법 이외에도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with Oriental,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riental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 8,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11.0, 3.0, respectively.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cv. Raizan,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7,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4.0.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between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L. henryi of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were obtained only 2 fruits, however no embryo.

      • KCI등재

        백합 근연수분 및 종간 교잡종 F1 여교잡시 종자형성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근연수분인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은 9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1개였다 화주절단수분시에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22개로 적었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11개를 얻었다. 그러나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4개로 주두수분에 비해 11%밖에 미치지 못했다. (L. longiflorum 'Raizan'${\times}$L. ${\times}$formolongi 'Como')의 경우 주두수분은 종자형성 삭과율이 40%이고 삭과당 종자수가 14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 ${\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여교잡에서 화주절단수분된 15개체 중에서 9개의 성숙삭과를 얻어 삭과 형성율은 60%,배형성 삭과수는 53%,삭과당 평균배수는 14개였다. 그러나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times}$L. longiflorum 'Lorina']와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L. longiflorum 'Lorina'Lorina'L. Asiatic hyhbrid 'Corsica') ${\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경우도 수분된 15개체 중에서 삭과 형성률은 80.0%,배형성 삭과수는 67%,삭과당 평균배수는 11개였다. 하지만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times}$L. longiflorum 'Lorina']와 나팔백합에 종간잡종을 교잡한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 We studies seed set in the interspecific F1 /backcross hybrids of Lilium species. In the interspecfic hybrid of L. longiflorum cv. Gelri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93% fruit set was obtained by stigmatic pollination in comparison to 53% from cut-style pollina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seed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147 and 53, respectively. Pollination o( both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in the hybrid of L. longiflorum cv. Lorin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 However, stigmatic pollination formed 413 seeds, whereas only 24 seeds were obtained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cross. The hybrid of L.${\times}$ fomolongi cv. Raizan with L. longiflorum cv. Come set 40% fruit with a total of 43 seeds by stigmatic pollination. However, no fruit set was observed in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hybrid. Backcrossing the F1 hybrid by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hicago with the latter parent led to 53% fruit set, and 109 embryos were obtained. Likewise, backcrossing following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orsia with the latter parent formed 67% fruits and 107 embryos. However, in the remaining interspecific hybrids, cut-style pollination set no fruit.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스포츠 승부조작의 판례분석

        이지용(Jiyong Lee),박재현(Jaehyeon Park),윤지운(Jiwun Yoon),이승박 (Seungbak Lee),염세경(Sekyoung Youm),이영섭(Yungseop Lee),윤효준(Hyojun Yu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판례분석을 통해 승부조작의 주요 토픽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승부조작 주제로 진행된 판례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대한민국법원(http://www.scourt.go.kr)을 자료원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절차는 첫째, “승부조작”을 검색의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둘째, 판결선고 날짜 기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53건의 판례를 선정하여 원심과 항소로 구분하였다. 셋째, 원심과 항소가 같은 사건을 다루는 경우 하나의 문서로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43건의 판례가 분석자료로 선정되었다. 넷째, 판례를 시기와 종목에 따라 분류하였다. 토픽모델링은 LDA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모든 자료처리는 python 3을 사용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와 토픽별 주요 판례 원문을 검토한 결과, ‘승부조작 경로’, ‘E-Sports와 관련된 승부조작’, ‘전통적 승부조작’, ‘승부조작을 식별하는 방법’, ‘양형을 판단하는 근거’가 판례에 나타나는 승부조작의 이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승부조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개발 및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major topics for match fixing by analyzing precedents through the use of topic modeling. Toward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cases of precedents on the topic of match fixing and chose the Court of Korea(http://www.scourt.go.kr) as a data source. First, the procedures for data collection involved searching the keyword “match fixing”. Second, the study selected precedents from 53 cases from 2010 to 2019 based on the pronouncement of judgment date and divided them into original trials and appeals. Third, if an original trial and appeal dealt with the same case, they were combined into a single document so that ultimately precedents from 43 cases could be selected as analysis data. Fourth, these preced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eriod and event. Topic modeling applied the LDA algorithm, and all data processing made use of Python 3.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and reviewing the original texts of major precedents by topic showed that the issues of match fixing appearing in the precedents were ‘match fixing route’, ‘Match fixing in relation to E-sports.’, ‘traditional match fixing’, ‘means of identifying match fixing’, and ‘grounds for determining sentencing’.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various policies related to match fixing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자기결정 동기가 학습 몰입도와 자기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모델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이지용(Lee, Ji-Yong, Lee),이선진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3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4 No.2

        In this study, 252 male and female model students in their 20s were examin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actual state of model education and activities according to men and women.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learning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on self-management ability. This aims to help model-related academic development while using it as basic data for various model markets such as model-related learner management systems and model education markets in the futu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ross-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model education and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both men and women had the most major practical courses as their favorite subjects, and both men and women had the most grades of 3.6∼4.0. When asked about the agency’s presence in model-related activities, both men and women were the most common in model-related activities, and when asked about what they wanted to do after graduation, both men and women (fashion show models, advertising models, etc.)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e model’s activity conditions, 186cm to 190cm for men and 176cm to 180cm for women were the most common, while 66kg to 70kg for men and 51kg to 55kg for women were the most comm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factors on learning commitment, the external decis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perception, and the internal decis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learning commitment behavior and learning commitment perception. And the identified decision motivation had no effect. Third, learning commitment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mental self-management and physical self-management, and learning commitment percep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mental self-management, training self-management, and physical self-management. In addition, neither learning commitment behavior nor learning commitment perception affected interpersonal self-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of not only students and gender, but also age, career, marital status, and model fields to derive more specific and universal research results through detailed model-related research or experimental research on self-management skills.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녀 모델학과 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을 살펴보고 남녀에 따라 모델교육 및 활동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 결정동기가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 몰입도가 자기관 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모델관련 학습자 관리 시스템과 모델교육시장 등 다양한 모델 시장의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모델관련 학문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 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교차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모델교육과 모델관련 활동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가 장 좋아하는 과목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전공 실습과목이 가장 많았고, 성적은 4.5기준 남성과 여성 모두 3.6∼ 4.0가 가장 많았다. 모델관련 활동에 있어 소속사 여부에 대해 질문한 결과, 모델관련 활동에 있어 남성과 여성 모 두 없다가 가장 많았으며, 졸업 후 하고 싶은 일에 대해 질문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모델(패션쇼 모델, 광고 모델 등)이 가장 많았다. 모델의 활동조건 중 키에 대해 질문한 결과, 남성은 186cm∼190cm, 여성은 176cm∼ 180cm가 가장 많았고 몸무게의 경우 남성은 66kg∼70kg, 여성은 51kg∼55kg이 가장 많았다. 둘째, 자기결정 동기 요인이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외재적 결정동기는 학습몰입 인지에 정(+)의 영향을 부과 된 결정동기는 학습몰입 인지에 부(-)의 영향을 주었으며, 내적 결정동기는 학습몰입 행동과 학습 몰입 인지에 모 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확인된 결정동기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습몰입도가 자기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습몰입 행동은 정신 자기관리, 신체 자기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학습 몰입 인지는 정신 자기관리, 훈련 자기관리, 신체 자기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습몰입 행동과 학습 몰입 인지 모두 대인 자기관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학생이나 성 별 뿐만 아니라 연령, 경력, 결혼 유무, 모델 분야 등 범위를 확대하여 세분화 된 모델관련 연구나 자기관리 능력 에 대한 실험연구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보편화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바란다

      • KCI등재

        중국 ‘초한전(超限戰)’의 군사전략적 의미와 한국안보에 주는 시사점 연구

        이지용(Jiyong Lee)(李志鎔)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1 신아세아 Vol.28 No.4

        현재 중국공산당 인민해방군은 이른바 ‘중국몽’의 슬로건을 내걸고 세계 패권을 장악한다는 대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이 자신의 대전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미국과의 패권경쟁이 불가피하다. 주객관적 국력에 있어 미국과 경쟁이 되지 않는 중국이 절대적, 상대적 열세를 극복하고 미국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전개하는 전략이 ‘초한전(超限戰)’이다. 그렇다면 초한전이 중국의 군사전략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는 무엇인가? 본고는 중국공산당의 전략문화와 군사전략에서 초한전이 갖는 위치와 의미를 검토해본다. 초한전은 기본적으로는 비대칭전략의 일종에 해당한다. 따라서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전쟁의 새로운 양상과 전략을 살펴본다. 하지만 초한전이 현대 비대칭전략과는 매우 다른 성격의 신전쟁론임을 논증할 것이다. 끝으로 중국의 신전쟁, 신전략 개념인 초한전이 한국의 군사전략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를 논의한다.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nd the People’s Liberation Army (PLA) aim to realize “the Chinese Dream,” which seeks global supremacy. This requires the CCP to prevail in the hegemonic competition with the US. The US has significantly greater power in areas of the economy, technology, military, etc. The CCP deploys a unique strategy of ‘Unrestricted Warfare’ to offset those disadvantages. What does ‘Unrestricted Warfare’ mean? This paper examines military strategy with CCP characteristics, and elaborates on the meaning of ‘Unrestricted Warfare.’ ‘Unrestricted Warfare’ is a type of asymmetric strategy; this paper compares ‘Unrestricted Warfare’ with other forms of new warfare. It contends that ‘Unrestricted Warfare’ is conspicuously different from other forms of asymmetric strategy. It demonstrates that ‘Unrestricted Warfare’ is ‘new warfa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Lastly, the paper addresses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Korea’s security and the ROK Armed Fo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