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학습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이종연 ( Jong Yeon L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5 No.1

        SNS의 사용자 증가추세와 그 특징을 고려해서 SNS의 교육적 가능성을 언급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나, 일단 그 수가 적으며, 막연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예측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학습에서 SNS의 적용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에게 SNS를 사용하여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그 성과를 분석해본 결과, 페이스북은 프로젝트 학습에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팀원들간 협력을 활성화시키고, 친밀감과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측면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여전히 면대면 미팅을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학습 도구이자,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페이스북은 제2의 학습도구로, 면대면 미팅에 대한 최적의 보충 및 보완의 수단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행 시 면대면 미팅의 보조 도구로서 페이스북을 활용하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페이스북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었던 만큼 페이스북 사용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하겠다.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increase of its users, studies on discussing its educational potential have emerged. However, they are small in number and focus on speculative discussion of its educational us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a real educational setting of project-based learning and analyzed its result empirically. After the subjects of the study had being participated in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acebook,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o find out its results. The students were quite satisfied with its use in conducting the project. Facebook was found to activate both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It also helped to manage their project and to buil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eam and project itself. They still seemed to recognize face-to-face meeting as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tool to conduct the project successfully and facebook as the secondary tool. It was regarded as the optimum tool to supplement face-to-face meeting.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strategy of using facebook as a tool to support face-to-face meeting in project-based learning, The biggest problem that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during the project was that of instable SNS connection, Another problem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y had not fully understand facebook functions. It is recommended to run a systematic program to train how to use facebook before its actual use.

      • KCI등재

        도립진자 시스템을 통한 최적 상태 되먹임 제어기의 성능 검증

        이종연(Jong-Yeon Lee),이보라(Bo-Ra Lee),현창호(Chang-Ho Hy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논문에서는 도립진자 시스템을 이용한 최적 상태 되먹임 제어기 설계 및 성능 검증을 소개한다. 제안하고 있는 최적 상태 되먹임 제어기는 최적제어 이론을 기반으로 입력크기와 응답성능의 최적값을 고려하였고 뿐만 아니라, 적분제어기법을 도입함으로써 정상상태오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도립진자 시스템은 (주)셈웨어의 PC기반 CEM-IP-01으로써 제안된 제어기를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제어기와 일반 상태 되먹임 제어기를 모의실험과 실험을 통하여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optimal state feedback controller via inverted pendulum systems.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the optimal control inputs satisfying both the constrained input and the performance specification. In addition, it reduces the steady-state error by adopting the integral control technique.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apply both the proposed method and the general state feedback control to an inverted pendulum, CEM-IP-01 in the experiment.

      • 도립진자 시스템을 통한 최적 상태 되먹임 제어기의 성능 검증

        이종연(Jong-Yeon Lee),이보라(Bo-Ra Lee),현창호(Chang-Ho Hy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도립진자 시스템을 이용한 최적 상태 되먹임 제어기 설계 및 성능 검증을 소개한다. 제안하고 있는 최적 상태 되먹임 제어기는 최적제어 이론을 기반으로 입력크기와 응답성능의 최적값을 고려하였고 뿐만 아니라, 적분제어기법을 도입함으로써 정상상태오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도립진자 시스템은 (주)셈웨어의 PC기반 CEM-IP-01으로써 제안된 제어기를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제어기와 일반 상태 되먹임 제어기를 모의실험과 실험을 통하여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한다.

      • KCI등재후보

        사업장폐기물 소각 잉여열의 활용방안

        이종연(Lee Jong Yeon),강석형,김상중(Kim Sang Jung),강석재(Kang Seok Jae),성호진(Sung Ho Jin),유영돈(Yoo Young Don),윤용승(Yun Yong Seung)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08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3 No.1

        In order to utilize incineration waste heat from industrial wastes, survey of the waste heat utilization status for each incineration site, suggestion of its utilization methods, analysis of cost-benefit for the methods, and suggestion of support policy were conducted. Utilization ratio of surplus heat from industrial wastes was 54%. The surplus heat is equivalent to the calories of 141,000 ㎘ heavy oil resulting in reduced its import of 54.3 billion won. For 12 incineration sites, useful utilization methods are district heating, temperature control of process,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and sewage dry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To increase utilization of waste heat, improved systems (e.g. realization of a feed unit cost, approval of CDM business, incentive for a green company designation, etc) and economic supports (e.g. a low interest loan, a government subsidy, an increased investment tax credit, etc)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불확실성을 갖는 RC 모델 기반의 리튬이온 배터리 SOC 추정을 위한 강인한 고이득 관측기 설계

        이종연(Jong-Yeon Lee),김원호(Wonho Kim),현창호(Chang-Ho Hy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모델의 불확실성을 갖는 RC 배터리 모델의 State-of- Charge(SOC)를 추정하기 위한 강인한 고이득 관측기를 설계한다. 일반적으로 SOC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RC 배터리 모델은 실제 배터리 셀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거기에 따른 모델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존재할 때 그 영향을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SOC를 추정할 수 있는 강인한 관측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배터리 셀과 RC 배터리 모델 사이에 모델 불확실성이 존재하더라도 정확한 SOC추정을 위하여 강인한 고이득 관측기를 설계한다. 하지만 이러한 강인한 고이득 관측기는 높은 이득으로 발생하는 튐 현상(peaking phenomenon)과 출력 측정오차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발생하는 진동(perturbation)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사용하여 강인한 고이득 관측기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검증을 위하여 선형 관측기, 고이득 관측기를 이용한 SOC 추정결과를 비교한다. This paper proposes the robust high-gain observer based SOC estimatro for uncertain RC model of Li-Ion batteries. In general, RC battery model has inevitable uncertainties and it cause some negative effect to estimate the accurate SOC of Li-Ion batteries. The proposed estimator overcomes such weakness with two techniques; high-gain observer design technique and sliding mode control technique. A high-gain observer provides the robustness against model uncertainties to the proposed estimator. A sliding mode control technique helps the proposed estimator by reducing the side effect of adopting a high-gain observer such as peaking phenomenon and perturb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stimator is verified by some simul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분석

        이종연 ( Jong Yeon Lee ),구양미 ( Yang Mi Koo ),남민우 ( M. Nam ),박상훈 ( S. Park ),김병수 ( B. Kim ),박도인 ( D. Park ),서정희 ( J. Seo ),고범석 ( B. Go ),진석언 ( Suk Un J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사회과 영역지식, 메타인지, 학습동기, ICT활용능력 수준이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최종적인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개선 및 효과적인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마포구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5개 학급이었다. 5학년 3개 반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온·오프 연계 버전이 적용되었고, 2개 반에는 오프라인 버전이 적용되었다. 학기 시작 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사회과 영역지식 검사를 받았다. 온·오프 연계 그룹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동기, ICT활용능력 수준을 조사하는 설문지에 응답했고, 오프라인 그룹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동기 수준을 조사하는 설문지에 응답했다. 조사가 끝난 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5학년 2학기 사회과 수업을 진행하였고 모든 수업을 완료한 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를 받았다. 처치그룹별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오프 연계 버전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역지식이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과 기초지식이 많을수록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높았고 학업성취도도 높았다. 오프라인 버전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영역지식 수준은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타인지 수준은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준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선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수업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버전에 관계없이 학습자의 영역지식 수준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주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온·오프 연계 버전 적용 시 학습자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역지식 수준을 고려하는 운영방안 또는 교과과정 차별화 방안과, 오프라인 버전 적용 시 학습자의 영역지식과 메타인지 수준을 고려하는 운영방안 또는 교과과정 차별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ers variables such as entry-leve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domain-knowledge,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the level of ICT use on learners`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fter running Creative Thinker Program. Creative Thinker Program was composed of 9 units reorganized by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 unique online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to assist teacher`s and students` six step activities in each unit. Five 5th grade classes from a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on- & off-line blended treatment group and off-line treatment group. On- & off-line blended treatment meant that the online support system was fully utilized. Off-line treatment meant that most options of the system were substituted by printed materia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students` entry-leve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domain knowled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when running on- & off-line blended version of Creative Thinker Program. In case of off-line version, students` domain knowled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lso students` level of meta-cogni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