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니어 골프 참여자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제행,조건상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0

        이 연구는 시니어 골프 참여자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구명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있는 시니어 골퍼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집락무선표 집방법을 통해 총 287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설 문내용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에 따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의 상관관계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긍정적 태도는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지지적 관계와 긍정적 태도는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자아존중 감의 긍정적, 부정적 변인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senior golf participants. This study sampled senior golf participants in Gyeonggi-do area. Data from a total of effective 287 subjects wa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24.0, and For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golf participant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ositive attitude of ego-resilience of senior golf participant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Third, The supportive relationship and positive attitude of ego resilience of senior golf participant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Lastly The positive and negative variables of self-esteem of senior golf participant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초등체육활동에서 다문화아동에 대한 동료멘토링 경험과 가치에 대한 연구

        이제행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다문화아동들의 동료멘토링 활동을 통해 그 경험과 가치가 갖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적인 접근의 연구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연구참여자 소감문, 면담, 관찰일지, 문서자료, 그리고 사진자료 등이다. 자료 분석은 Spradley(1980)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영역분석(domain analysis), 분류분석(taxonomic analysis), 성분분석(componential analysis), 그리고 주제 분석(them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확인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아동들의 동료멘토링을 통한 체육활동 경험이 갖는 가치는 크게 4가지로 이야기 되었다. 첫째 아이들은 체육수업 동료멘토링 활동을 통해 '무관심'이 '소통'을 통해 '팀워크'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둘째, 아이들은 체육수업 동료멘토링 활동을 통해 '비난'에서 '칭찬' 그리고 '배려'로의 소중함을 배웠다고 하였다. 셋째, 아이들은 체육수업 동료멘토링 활동을 통해 '성'을 넘어 '친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은 체육수업 동료멘토링 활동을 통해 '책임회피'에서 '자기반성'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 KCI등재

        탈북아동의 배드민턴 스포츠클럽 활동과 적응

        이제행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이 연구는 한 탈북아동의 초등학교에서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이다. 탈북 이후 남한의 한 초등학교에 편입한 아이가 배드민턴 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적응해 가는 모습을 서술적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2017년 초 겨울동안 수집된 자료는 Spradley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동식이의 처음 남한에서의 생활은 불행했다. 그러나 우연한 기회에 배드민턴 활동을 하면서 생활은 많은 변화가 생겼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꿈을 갖게 되었다. 최교사는 동식이와의 첫 만남을 기억했다. 말을 하지 않는 아이였다. 이후 오랫동안 동식이의 입은 열리지 않았다. 그런 동식이가 배드민턴에 몰두하게 되면서 자신의 꿈을 말하는 아이로 변했다. 동식이와 같은 탈북아동에 대한 교육은 근본적인 측면에서 방향이 중요하다. 탈북아동만을 위한 지원책이 아닌 탈북아동과 일반아동이 서로 다르게 보지 않고 함께 생활할 수 있는 통합적인 측면에서의 교육 정책이 우선해야 한다. 더불어 탈북아동에 대한 기대와 믿음을 버리지 않는 것이다. 이 연구는 향후 탈북아동을 넘어 폭 넓은 탈북민의 삶을 연구하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narrate the feature of a north korean refugee child at an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through badminton sports cub activity. The narrative was as follows. Dongsik was unhappy at the first time in living here(south korea). After a while he had encountered badminton activity by chance. And he changed his life at the school and he has his own dream now. Teacher choi has remembered the first meeting with Dongsik. Dongsik was a boy who did not talk with anyone. After a long time Dongsik spent his life without uttering a word. Now he has a talk about his dream due to badminton. He dreams of being a badminton player. What is primarily important fo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is educational direction. School eduction has to integrate not segregate to participate in all program together. We all have to take both expectation and confidence fo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이제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a teacher educator. At a swimming class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teacher educator observed the particip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completed an interview, a report, and four sessions of descriptiv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radley’s method to construct narr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las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six narratives: innovative swimming classes, swimming lessons with video・explanation・demonstration・guidance courses, swimming lessons to teach the basics, swimming lessons to enhance competence as a learner and leader, out-of-box swimming lessons, and memorable swimming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created different narratives according to their swimming level. Those who had not had swimming experience or did not swim well talked about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d had swimming experience or were good at swimming shared emotional sense of swimming, professionalism, direct teacher guidance, and teacher enthusiasm. Finally, both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teacher educators suggested that more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for swimming lessons in teacher education, swimming lessons with a swimming pool, and swimming lessons with teacher responsibility.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경험을 토대로 초등체육 현장에서 수영교육의 적용을 탐색하고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2017년 2학기 동안 진행된 수영수업을 통해 교사교육자는 예비초등교사들의 수영수업에 참여관찰하고, 보고서와 4차에 걸쳐 서술적 설문, 연구참여자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Spradley의 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교수의 수영수업은 획기적인 수영수업, 영상-설명-시범-지도 과정이 있는 수영수업, 기본을 가르치는 수영수업, 학습자와 지도자로서 역량을 기르는 수영수업, 틀을 깨는 수영수업, 기억에 남는 수영수업과 같이 6가지의 의미 있는 이야기로 전개되었다. 예비초등교사들은 수영수업을 자신들의 수영 수준에 따라 다르게 이해했다. 수영 경험이 없거나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생존수영, 경험, 전문 강사와의 협업, 제도적 지원에 대해 공감하는 이야기를 하는 반면, 수영 경험이 있거나 수영을 잘하는 학생은 영법수영, 전문성, 교사 직접 지도, 교사 열정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교육을 위한 수영교육, 수영장을 갖춘 수영교육, 그리고 교사가 책무성을 갖는 수영교육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동료멘토링의 홀리스틱 교육적 활용과 전략 모색

        이제행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동료멘토링의 의의와 필요성을 기반으로 교육현장에서 동료멘토링의 홀리스틱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략과 절차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학교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동료멘토링의 적용 가능성을 그 활용 영역과 방법을 중심으로 탐색한 결과, 학업향상, 특기적성, 자기개발, 인성계발, 생활조력 등으로 분류되었다. 학업향상과 특기적성을 위한 동료멘토링의 활용은 학교교육에서 기여도 큰 대표적인 영역이고, 자기개발과 인성계발을 위한 동료멘토링은 인간의 내면적 발달과 관련해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학교생활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한 조력 활동으로써 동료멘토링 역시 정서적 공감대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활용 가치가 크다. 둘째 동료멘토링의 활용 영역에 대한 전략 및 절차는 구안단계를 시작으로 준비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 4단계로 구성된다. 구안단계에서는 멘토와 멘티,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등이 신중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준비단계에서는 멘토와 멘티의 교육, 멘토와 멘티와의 만남과 결연, 사전문제의 확인과 실천계획 제안, 그리고 협약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실행단계에서는 멘토가 멘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으로 멘토의 자질이 무엇보다도 요구되며 구체적인 실행단계는 진단, 문제해결 실행 계획 수립, 문제해결의 3단계로 구성된다. 평가단계는 멘토링에 대한 평가, 보고서 및 소감문의 제출 등으로 마무리된다. 평가는 일회성이 아닌 과정의 수시평가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search on the holistic educational utilization and practical strategy of peer-mentoring. This study were obtained result. First the possibilities of peer-mentoring for school education are analysed with ‘school progress’, ‘speciality and aptitude’, ‘self-development’, ‘personality development’, ‘school assistance’. Utilization of peer-mentoring for ‘school progress’ and ‘speciality and aptitude’ can make a contribution to school eduction. And Utilization of peer-mentoring for ‘self-development’, ‘personality development’ has a special meaning to one’s inner grown-up. peer-mentoring can use by activity for help of one’s school life. Second the process and strategy on using of peer-mentoring is phased over ‘creation stage’, ‘preparatory stage’, ‘performance stage’, ‘assessment stage’ in the listed in stage order. Creation stage must be discussed mentor and mentee, when, where, how etc. Preparatory stage is composed of training for mentor and mentee, relationship of mentor and mentee, problem check and practices planning, and agreement. Performance stage is composed with three major periods of diagnosis, plannning for solving problem, and solving problem. Assessment stage is finished with valuation, report and opinion etc.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초등체육수업의 어려움과 나아갈 방향

        이제행,신진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only to design sports classes suitable for the rapidly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but also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ports classes in the post-Corona era.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 group of experts in elementary sports education(one profess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ree PhDs in physical education, and three elementary teacher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escriptive surveys, and prior research data analysis to explore the Covid 19 and the Crisis of Elementary Sports Classes and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ports Clas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ontents of online sports classes are 'restrictions on the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and equipment', 'exercise classes that do not guarantee universal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subjects', and 'difference between online sports contents and students' activities'. Next, in the situation of Covid 19, the direction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creative making and using the necessary equipment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aring classes that guarantee universal satisfaction," “considering as an expansion concept of teaching, learning”, and "presenting various activities for students." Covid 19 has led teachers to feel that they should seriously conside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reemptively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era and the situation they may experience again.

      • KCI등재

        코로나상황에서 과외체육활동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성이 대인관계능력과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제행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OVID-19 on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o achieve this objective, 35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from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measurement tool used for data collection was a structured 5 Likert scale questionnaire,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b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problem using IBM SPSS Statistics 27.0. Fir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reliability (Cronbach's α) were measured. Afterward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martphone dependence,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is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competence, There is a statistically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interpersonal ability.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ir sense of social connection. However, compulsive dependence had a negative (-) effect on initiativ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nterpersonal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ocial competence. However communication 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cooperati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 지도에 대한 사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제행,이희수 한국사회체육학회 202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9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it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commitment.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selecting 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 the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notes from expert meeting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88). The analysis involved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methods such as member checks and peer reviews, as suggested by Merriam (1998), were employed. Results: Two major themes were emerged regarding commitment to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mmitment. Within the first major theme, “commitment to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wo minor themes emerged: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commitment” and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 commitment.” In the second major theme, four minor themes were classified: the level of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the difficulty and pressure of preparing and managing a lesson, the degree of teaching experience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reliance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port instructor system.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mmitment, it is suggested that elementary teacher educators make efforts to enhance and develop the curriculum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se enhancements are intended to better prepa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be committed to teaching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체육수업에서 동료멘토링 이야기: 교우관계의 형성과 변화

        이제행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7 No.1

        이 글은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에서 교우관계의 형성과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I시 위치한 A초등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동료멘토링 활동에 대한 이야기로 교우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한 학기 동료멘토링 체육수업이 모두 끝난 후에 학생들의 동료평가를 통해 좋은 교우관계의 평가를 받은 상위 3개조와 그렇지 못한 하위 3개조를 선정하였다. 자료는 관찰과 참여학생들의 느낌글, 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교우관계의 변화는 크게 활동 초기, 활동 중기, 그리고 활동 말기 3단계로 나뉘었다. 활동 초기는 짝을 정하는 교우관계의 시작 단계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거의 공통적으로 짝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나 정서 보다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강하게 나타냈다. 활동 중기의 교우관계 모습은 다시 세분화되었다. 교우관계가 좋은 조와 교우관계가 좋지 못한 조로 다시 대비되었다. 보편적인 관점에서 교우관계가 좋은 조는 짝에 대한 자긍심, 소통과 교감, 배려 등의 성향을 나타낸 반면 교우관계가 좋지 못한 조는 짝에 대한 부정, 비난, 무시 등의 성향을 강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활동 말기에 학생들은 동료멘토링 활동을 통해 교우관계가 좋다는 평가를 받은 조와 그렇지 못한 조 모두 교우관계의 중요성을 배웠다. 짝과의 동료멘토링 활동의 즐거움은 바로 짝에 대한 폭넓은 이해로 이어지며 마침내 자기의 생각과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friendship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y peer mentor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the first person narrative. Study participants was subdivided into 3 good friendships and 3 bad friendships. Data were collected participant's reports, interviews, observer's journals, documents and pictures. The date were analyzed with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Componential analysis' and 'theme analysis' techniques according to Spradley's method(1980). The result is as follows. There were three major periods of changes of friendships by activity early, middle, e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negative image in common to partner in the early stage. And in the middle stage, their friendship was subdivided into good friendship groups and bad friendship groups. In general, the former had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like pride, interaction, caring for partner while the latter had expressed negative attitudes like deny, reproach, disdain. But in the end st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 realized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