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객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 : 감정고갈의 매개효과와 관리자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을 조절효과로

        이정아 ( Lee Jeong-ah ),윤세목 ( Yoon Se-mo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2

        본 연구는 고객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딜러 감정고갈의 매개효과와 관리자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정선군 소재의 내·외국인 카지노 딜러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400부의 설문지 배포 후 미응답 또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9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언어폭력은 딜러의 감정고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딜러의 감정고갈이 서비스 사보타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언어폭력과 딜러 감정고갈의 관계에서 관리자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3가지 하위요소인 업무분장, 보상분배, 권한행사 상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유사조절(역조절)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는 고객 언어폭력의 심각한 부작용 인지 및 딜러 감정관리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카지노 기업은 자기희생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관리자의 역량교육과 환경조성을 통해 고객 언어폭력을 적극 개입하여 서비스사보타주 등 반생산적 활동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딜러의 감정고갈을 예방· 치유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sino dealer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controlling effect of manager's self-sacrificing leadership in the impact of verbal abuse by customers on dealer service sabotag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400 domestic and foreign casino dealers based in Jeongseon-gun, Gangwon-do,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9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answered or insincere responses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erbal abuse by customers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aler emotional exhaustion. Second, dealer emotional exhaus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sabotag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erbal abuse and dealer emotional exhaustion, self-sacrificing leadership in the three sub-components of manager's self-sacrificing leadership: work makeup, compensation distribution, and authority exercise has the effect of similar regulat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serious side effects of customer verbal abuse and managing dealer sentiment. Casino enterprises shall endeavor to actively intervene in customer verbal abuse through the training of managers' ability to exercise self-sacrificing leadership and the creation of environments to prevent it from being linked to anti-productive activities, such as service sabotage. It is also proposed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and cure dealer emotional exhaustion.

      • KCI등재후보

        만성 지연행동과 적응

        이정아(Jeong-Ah Lee),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특정 과제의 착수와 완성을 불필요하게 미루는 지연행동은 목표활동이 아닌 대체 활동을 향해 잘못된 방향으로 노력을 투여하는 적극적인 회피행동으로 볼 수 있다. 광범위한 일상생활 장면에서 다양한 지연행동을 보이는 만성 지연은 불안, 우울, 자아 효능감 저하 등의 심리적 문제와 관련되며, 학업/직무수행 저하 및 건강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다양한 심리적 변인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 만성 지연행동이 단순히 게으름이나 시간관리 기술의 부족이라기보다는 인지, 행동, 정서 요인과 관련된 복합적 특성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연행동이 인지, 동기, 정서과정에서 상이한 특성을 보임에 따라 하위유형을 분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연의 유형별 특성을 밝히려는 이러한 노력은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지연과 적응/건강의 관련성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연행동의 발달에 기여하는 과정변인에 대해 다각적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Unnecessary delay of start and completion of a specific task may be considered as an active avoidant behavior which puts some endeavor into a wrong direction not toward a target activity but an alternative one. Chronic procrastination which refers to a variety of postponing behaviors in a diverse settings of daily lif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low self-efficacy, and etc. In addition, chronic procrastination can produce low academic/job performance and health problems. Research on procrastination and its relation with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has identified that procrastination is not laziness or a lack of time management skill but rather than a complex property with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variables. In addition, as studies have found that procrastin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cognitive, motivational, emotional proces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lassify subtypes of procrastination. The investigation of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ill help us offer sophisticated and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rel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and adaptation/health, future study needs to take a multiple perspective approach to process variables involving in the development of procrastination. (Korean J Str Res 2009;17:199∼207)

      • KCI등재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 개발

        이정아(Jeong-Ah Lee),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9

        본 연구는 고추씨 분말이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조사하였다. 고추씨 분말의 함량을 각각 0%(control), 1%, 2%, 3%를 첨가하여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를 제조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의 수분 함량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단백질 함량은 고추씨 분말을 첨가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후 pH는 고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열 전후 명도, 적색도와 황색도는 고추씨 분말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수력, 건조수율은 고추씨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단력은 고추씨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고추씨 분말을 3%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의 색도, 풍미, 연도, 다즙성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3%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가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을 증진시킨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 pepper seed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 CIE color value, water holding capacity, dry yield, proximate composition, and shear force) of restructured chicken thigh jerky. The restructured chicken thigh jerky s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following amounts of red pepper seed powder [0% (control), 1%, 2%, and 3%]. Moisture contents of samples containing red pepper seed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samples a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red pepper seed powder. Water holding capacity and dry yield of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red pepper seed powder. However, shear force of samples showed a downward trend with increasing red pepper seed powder level. The sensory evaluation of samples containing 3% red pepper seed powder were high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red pepper seed powder could be enhanc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structured chicken thigh jerky.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정아 ( Jeong Ah Lee ),문성환 ( Seong Hwan M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이 연구는 6학년 실과, 과학, 사회 교과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실과, 과학, 사회 교과의 2007년 개정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과 내 환경교육 내용이 반영된 학습내용 및 단원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와 연계한 12회기 20차시 분량의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정현희(2008)의 환경소양 측정 검사지를 6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과와 연계한 20차시 분량의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환경교육 주제는 에너지 절약, 지구 온난화, 생활자원 관리, 동물보호 등의 12가지이며 각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 및 인쇄 공익자료를 선정하여 학습 자료로 제시하였다. 둘째,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의 환경소양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사후검사의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환경소양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기능을 제외한 지식, 정서, 행동 영역 부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연구 자료들은 실과, 과학, 사회 교과 수업시간을 활용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so as to develop subjects-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ublic advertisement which can be applied to practical arts, science, society subject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2007 revised curriculum of subjects including practice, science and society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ying contents and units which are reflect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confirmed. In addition, based on it, Practice Arts, Science and Society subject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was developed and total 20 times of classes were fulfilled by using classes of the subjects for 12 w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o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ing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and used for the standard of the sixth grade.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elementary subjec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of 20 times was developed. Subjec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re 12 things such as energy conservation, global warming, the management of living resource, protection of animals, and so on. After selecting various images and printed public materials, it was possible to suggest learning materials. The second,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ublic advertisement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nvironment knowledge. When before and after 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after test scores were statistical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est scores. When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were compared, scores of experiment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higher scores. If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bjects-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made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to the fulfill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lasses of practice arts, science and society.

      • KCI등재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을 통해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정아(Jeong-ah Lee),서용원(Young-Won Suh)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직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이직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내적 가치인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터영성을 촉진하는 방법 중, 리더측면에서 영성 리더십의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 측면에 서 조직이 제공하는 영성지원 프로그램의 영향을 분석하며, 개인측면에서 부하의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5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Spiritual Leader Scale’이라는 영성 리더십 척도 개발을 통해 좀 더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영성 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을 일터영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직장인 331명의 응답을 분 석한 결과, 영성 리더십, 지각된 조직지원이 부하의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영성 리더십이 일터영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터영성은 영성 리더십과 직무열의, 이직의도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에서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고, 다양한 복리후생 제공을 통해 부하들의 지각된 조직지원이 높을수록, 영성 리더십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영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조직은 복리 후생을 통해서만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영성 리더 십을 통해 직원들의 내적 가치 체계인 일터영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그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research analyzed 'Workplace Spirituality' focusing on job’s meaning, relationship of people at the workplace. For workplace spirituality facilitation, this research analyzed leader, organization and individual facets. On leader’s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 leadership because it is not studied in this area. On organizati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roviding organization to facilitate individual spirituality. On pers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research consisted of 2 parts. Part 1 redefined comprehensive concept of spiritual leadership and developed a new scale that can contribute to succeeding research in this area. Part 2 verified four hypotheses as below: First, this research verified antecedent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spiritual leadership,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re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organizations provide, the more spiritual leadership strengthen workplace spiritualty. And if employees perceive highly organizational support, then spiritual leadership's effect on workplace spiritualty gets higher, too. Third, the research verified how workplace spirituality is mediating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sion, engagement. Fourth, the research shows that spiritual leadership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engagement, turnover intension. So, this study revealed organization facilitate employees' workplace spirituality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employees' engagement and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sion.

      • KCI등재
      • KCI등재

        정의적 특성이 중·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연구

        이정아 ( Lee Jeong Ah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23 중등영어교육 Vol.16 No.1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affective traits on English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iency. Participants were 10,653 3r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10,526 2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in Korea.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ffective traits of English subject consisted of sub-variables such as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students’ surve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raw score of English achievement test and the mediating variable was academic self-efficacy, which was gathered from the students’ survey.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rameter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four sub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t a significant level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Learning Motivation explained 17% ~28% of the prediction to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Jeong-Ah Lee(이정아),Ji-Hyeon Kim(김지현),Jong-Won Kim(김종원),Do-Yoen Kim(김도연)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2% 이상인 폐경 후 비만여성 3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이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집단(18명)과 통제집단(18명)으로 나누어 유산소운동인 라인댄스를 16주간 실시한 후 체조성,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를 운동전과 후로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BF), 체질량지수(BMI), 내장지방면적(VFA), 렙틴(Leptin), 인슐린(Insulin), 글루코스(Glucose),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B,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및 수축기혈압(SBP)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A-1, 그렐린(Ghrelin)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산소운동집단의 내장지방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회귀분석결과에서 주요요인으로 그렐린, 인슐린, 글루코스 및 HOMA-IR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조성, 내장지방,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HOMA-IR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the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obese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hirty-six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mean age, 54.47 ± 2.50 years) with >32 % body fat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aerobic exercise group (n = 18) or to a "no exercise" control group (n = 18). The subjects"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leptin, ghrelin levels, and HOMA-I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 16-week line-dancing program. The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percent body fat, body mass index, visceral fat area, leptin, insulin, glucose, HOMA-I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polipoprotein B,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addition, this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polipoprotein A-I, ghrelin,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energy metabolic factors that influenced the visceral fat included ghrelin, leptin, insulin, glucose, and HOMA-IR. The t-value, which determin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for ghrelin, glucose, insulin, and HOMA-IR (p < 0.05). Regular and continuous aerobic exercise (e.g., line dancing) effectively improved the body composition, visceral fat,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obese postmenopausal Korea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