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의 재배종과 야생종의 콩나물관련특성

        이정동,황영현,김달웅,조호영,정명근 한국작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2

        Soybean sprout trails were evaluated for soybeans for sprout (Glycine max) and wild soybeans (Glycine soja). Soybeans for sprout are characterized with small seed size of 10-14 grams per 100 seeds and are traditionally used only for producing sprout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hypocotyl length and sprout yield between two types of soybean. (However total length, hypocotyl hypocotyl, body weight, and the rate of good quality were greater in soybeans for sprout.) Number of lateral roots and root length were greater in wild soybeans. Contents of crude oil, oleic acid, and sucrose were higher in soybean for sprout, while that of protein and linoleic acid were higher in wild soybea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prout isoflavone content. Out of 17 amino acids analyzed, 10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lysine, and arginine. et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in wild soybeans. Hypocotyl color of sprouts estimated by color meter based on the degree of L(brightness), a(red), and b(yellow) values were better in wild soybeans than soybean for sprout.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도시재생 주민참여 사업에 관한 실태연구:주민참여프로젝트팀과 사업화지원비를 중심으로

        이정동 SH공사 도시연구원 2020 주택도시연구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apture foreign and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o draw measures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each stag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first aim is to obtain detailed items on urban regeneration residents’ participation project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 theoretical review.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projects,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used the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for the average comparison between groups.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government presented suggestions on the status and operation of urban renewal residents’ participation proj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elf-filled surveys from August 12, 2019 to December 10, 2019, targeting resi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resident participation project as well as Team and Pilot project cos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legal support system, government project cost, assistance organizations, participation in basic surveys and planning, and various support programs in the maintenance area affect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projec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partnerships with residents.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재생 주민참여 사업에 관해 주민참여사업의 각 단계별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을 통해 도시재생 주민참여 사업에 관한 세부항목을 구성하는 것이다. 둘째, 도시재생 주민참여 사업에 관한 참여한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분석은 집단 간 평균비교를 위한 독립성 검정(t-test)과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민참여 사업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ㆍ행정적 환경변화에 부응하는 다양한 주민참여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도시재생뉴딜에서 주민참여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주민참여프로젝트팀과 사업화지원비 참여주민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12일부터 12월10일까지 개별면접조사 및 이메일 조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유지영역에 속한 법적지원체계, 정부사업비 지원, 중간지원조직 운영, 기초조사와 계획수립 시 참여,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경쟁우위에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및 관리가 필요하고 집중영역에서 사업체가 아닌 주민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자체 참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통해 도시재생뉴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콩의 재배종과 야생종의 콩나물관련 특성

        이정동,황영현,조호영,김달웅,정명근 韓國作物學會 2002 한국작물학회지 Vol.47 No.3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Soybean sprout trails were evaluated for soybeans for sprout (Glycine max) and wild soybeans (Glycine soja). Soybeans for sprout are characterized with small seed size of 10-14 grams per 100 seeds and are traditionally used only for producing sprout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hypocotyl length and sprout yield between two types of soybean. (However total length, hypocotyl hypocotyl, body weight, and the rate of good quality were greater in soybeans for sprout.) Number of lateral roots and root length were greater in wild soybeans. Contents of crude oil, oleic acid, and sucrose were higher in soybean for sprout, while that of protein and linoleic acid were higher in wild soybea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prout isoflavone content. Out of 17 amino acids analyzed, 10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lysine, and arginine. et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in wild soybeans. Hypocotyl color of sprouts estimated by color meter based on the degree of L(brightness), a(red), and b(yellow) values were better in wild soybeans than soybean for sprout.

      • 제조업 총요소 생산성 측정의 제 과제

        이정동 한국생산성학회 2002 生産性論集 Vol.16 No.2

        Productivit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check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A lot of economic policy would find the rationale based on the measured productivity level and its sources for future growth. Considering its importance in policy making, we have to pay due attention its accuracy. This study reviews various issues determining the accuracy of productivity measures. Especially the data problem, quality change, and index issues are throughly review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accuracy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alysis is suggested.

      • 콩 종간교잡에서 주요형질의 유전분석

        이정동,권택화,조호영,황영현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02 慶北大農學誌 Vol.20 No.-

        재배종과 야생종의 인공교잡 분리세대에서 주요형질들의 변이와 유전력을 조사하여 야생종을 이용한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 인공교배의 F_2 집단에서 100립중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형질들은 초원분리를 보였다. F_1과 F_2의 평균 개화일수는 양친의 중간정도로 정규 분포를 보였다. 백립중의 F_1 평균은 은하콩, 소백나물콩 두 조합 각각6.5, 5.7g으로 소립종 쪽으로 치우친 정규분포를 보였다. F_2의 평균수량은 양친의 중간정도이었다. F_1의 덩굴성은 두 조합 각각 6.4, 6.6이었으며 F_2 평균은 은하콩 조합이 6.0으로 덩굴성 쪽으로 치우쳐 덩굴성이 부분적인 우성으로 보였으나, 소백나물콩 조합에서는 4.6으로 은하콩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경장, 개회일수, 개체당 협수, 수량, 도복, 덩굴성 등은 높은 광의의 유전력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협의의 유전력이 은하콩 조합에서 52.3%, 소백나물콩 조합에서 65.6%로 평가되어 초기세대에서의 선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varietal development using wild soybean through investigation of variation and heredity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in F_2 generation of interspecific cros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In segregating populations of two crosses, all characters observed except 100-seed weight showed transgressive segregation. Days to flowering showed normal distribution; mean days to flowering in F_1 and F_2 was approximately mean of parent. Mean of F_1 for 100-seed weight was 6.2g and 5.7g for Eunhakong/KLG10084 and Sobaegnamulkong/KLG10084, respectively, which were somewhat skewed distribution to small seeded parent. Mean of F_2 was about mean of two parents. Degree of vine was 6.4 and 5.7 in F_1 for two crosses but it was 6.0 in F_2 for Eunhakong/KLG10084, which revealed the degree of vine as partial dominance while 4.6 for Sobasgnamulkong/KLG10084, somewhat different results from the previous cross. Broad-sense heritability(h^2B) for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pods per plant, seed yield, and degree of vine was comparatively high and narrow-sense heritability(h^2N) for 100-seed weigh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in the development of small seed-size sprout soybean was 52.3% and 65.6% for Eunhakong/KLG10084 and Sobaegnamulkong/KLG10084,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selection for the character in early generation w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