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기구매력평가에 대한 실증 연구

        이재기 ( Jai Ki Lee ) 국제지역학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3

        본 논문은 한국경제와 미국 및 일본경제 간에 장기에 있어서 구매력평가 (purchasing power parity)가 존재하는 가를 분석한다. 구매력평가설은 두 국가 사이 의 환율변동이 해당국가들의 물가수준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즉, 이것은 환율과 물가수준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함께 움직인다는 것을 말한다. 구매력평가가 단기 에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 경제학자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논문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Frenkel(1981)은 단기에 구매력평가가 성립하지 않는 이유는 환율이 경제상황의 변화에 신속히 반응하는 반면 상품가격은 덜 유동적이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장기에 있어서 구매력평가의 성립여부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구매력평가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어서 McNown과 Wallace의 논문(1989)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을 적용한다. 따라서 한미, 한일경제 간의 구매력평가의 성립 여부는 물가수준과 환율에 의해 조정된 물가수준 이 공적분체계(cointegrating system)를 형성하는 가를 연구함으로써 분석된다. 연구 결과는 물가와 환율이 균형상태에 있지 않으며 장기에서조차도 발산(divergence)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한미, 한일경제 간에 구매력평가가 장기에도 성립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long-run version of purchasing power parity(PPP) holds between Korea and its two major trading partners-the U.S. and Japan. The PPP relationship is tested by examining whether price levels and the exchange-rate-adjusted price levels between Korea and the U.S. as well as Korea and Japan form a cointegrated system. Empirical evidence is not favorable to the PPP hypothesis. No evidence of cointegration is found for any pair of prices for the Korea-U.S. system as well as the Korea-Japan system. For the empirical study, two price measures were employed-the wholesale price index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Howev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 affected by the price index chosen. Since cointegration is understood as evidence of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ices and exchange rates are not in equilibrium and may diverge even in the long-run.

      • 동북아허브 발전전략에 대한 고찰

        이재기(Jai-ki Lee) 한국항만경제학회 200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Hub of Northeast Asia. Those countries such as Singapore, Taiwan, Hong Kong and China competing us are trying to concentrate on their core capacity. Based on the severe competition surrounding us, we are confronting with a transitional period to upgrade competitiveness.<br/> It is acknowledged that the building of economic hub of Northeast Asia is essential to become an advanced country. Therefore, it is becoming an urgent task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formulat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building efficient transportation network, economic special zone and financial hub.

      • KCI등재

        영문 ; 미일간 거시경제적 연계성에 대한 연구

        이재기 ( Jai Ki Lee )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미국의 경제변동이 일본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미국경제가 일본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일본의 수출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에서 발생된 경제변동이 일본경제에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인지하는 것이 경제정책가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VAR모형이 경제변동의 국제전달경로를 분석하는데 활용된다. 미일경제의 상호작용은 분산분해(VDCs)를 이용하여 분석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몇가지 경제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는, 미국의 경제변동에 대한 일본 통화정책의 일부 의존성을 지적할 수 있다. 미국의 경제변동은 일본 통화량과 이자율에 어느정도의 영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는, 미국의 물가변동에 대한 일본 물가의 긍정적인 반응이다. 셋째는, 미국의 경제변동에 대한 엔/달러 환율의 반응성이다. 엔/달러 환율의 반응은 조사기간이 장기로 진행할수록 보다 강력하고 의미있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조사분석기간동안 미국의 경제변동이 일본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경제(미국)에 대한 규모가 작은 경제(일본)의 경제의존성에 대한 개념을 지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U.S. economic shocks affect the Japanese economy.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U.S. econom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apanese economy. Actually, the U.S. accounts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Japan`s exports and imports. To the economic policymakers,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economic disturbances generated by the U.S. are transmitted to the Japanese economy. A vector autoregression(VAR) model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channel of economic disturbances. The interactions of the U.S.-Japansese economy are investigated by using variance decompositions(VDC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that the U.S. economic shocks were important for the Japanese economy during the sample period. This study supports the notion of economic dependence of smaller open economy such as Japan as compared with larger economy such as the U.S.

      • KCI등재

        A Study on Economy Linkages between Korea and Japan

        이재기(Jai-Ki Lee) 한국항만경제학회 200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0 No.1

        This paper investigates how Japanese economic shocks affect the Korean economy and analyzes the channels through which they are transmitted. Also, the relative importance of domestic and foreign shocks on the dynamics of certain key macro variables is investigated. The techniques of vector autoregression (VAR) a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economic disturbances. The VAR methodology is a particularly useful means for characterizing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economic variables without imposing certain types of theoretical restrictions. The dynamic effects of Japanese economic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are evaluated by estimating variance decompositions (VDCs)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s (IRFs). This study supports the notion of economic dependence of a small open economy such as Korea to a large economy such as Japan.

      • KCI등재
      • KCI등재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Economic Disturbances - Reexamined

        이재기(Jai Ki Lee) 한국국제통상학회 2002 국제통상연구 Vol.7 No.1

        지난 30여년간 한국경제는 대외무역에 크게 의존해 왔으며 미국과 일본은 우리의 주요 무역 대상국이었다. 따라서 우리경제는 미국과 일본경제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왔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한국경제가 국제무역과 자본이동을 통해 국제경제변동에 더욱더 의존적일수록 대의경제변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국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미국과 일본의 경제변동을 대표적인 대외경제변동으로 선택해서 실중적 분석을 수행한다.VAR(vector autoregression) 기법이 경제변동의 국제적 전달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축약형(reduced form)의 VAR 분석은 한미, 한일경제간의 동태적 행동과 상호작용의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한미, 한일경제모형(9변수 및 10변수 거시경제모형)이 채택된다. 본 연구에는 Sims의 논문(1980)에 사용된 변수(통화량, 이자율, 소비자물가지수, 산업생산지수)에 환율이 추가되며 미국과 일본에 대해서도 동일한 변수가 사용된다. 한국경제에 대한 대외경제변동의 동태적 효과는 VAR 이동평균에 기초를 둔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s)와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s)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 충격반응함수는 미국과 일본의 경제변동이 어떻게 한국경제에 동태적으로 전달되었는지를 보여주며 분산분해는 한국경제에 대한 미국과 일본 경제변동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연구결과는 미국과 일본의 경제변동이 한국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