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매니저와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일한,한수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Business to lend space suitable for users' purposes is expanding. Space lending business including shared offices such as co-working space and office space rental has been developed as many different types of business model. Premium reading rooms, one of the space lending businesses, are expanding in quantity away from the image of traditional reading rooms by providing facilities that can generate productive learning effects for users through innovation in space compartmentalization and interior facilities. Despite this quantitative growth in space rental business,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accessibility to space rental services and consumers’ congruences on favorabil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make up of the space lending service called premium reading room and analyzed the effects of accessibility on the space and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facilities within the service and consumers' consistency in using space lending service on facility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t also analyzed the impact of consumers' facility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their favorability.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ccessibility to the space and facilities within the servic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s’ facility satisfaction, and that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s’ facility satisfaction. It was identified that accessibility to facilitie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greatly affects users' willingness to reuse services. 공간을 사용자의 이용목적에 맞는 용도로 대여하는 공간대여 비즈니스가 확장되고 있다. 코워킹 스페이스, 사무공간 대여 등 공유 오피스를 포함한 공간대여 비즈니스가 분화되어 발전하였다. 공간대여 비즈니스의 하나인 프리미엄 독서실은 공간 구획과 내부설비의 혁신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생산적인 학습효과를 올릴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전통적인 독서실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양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대여 비즈니스의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공간대여 서비스의 접근성과 소비자의 일치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프리미엄 독서실이라는 공간대여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를 파악하여 공간접근성과 내부환경요인, 서비스 내의 시설 그리고 공간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일치성이 시설만족도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의 시설만족도와 고객만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간에 대한 접근성 및 서비스내의 시설은 시설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내부환경요인은 시설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대한 접근성은 이용자들의 서비스 재이용 의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파악하였다.
사회적기업 연구 동향과 연구방법론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2008~2020년까지)
이일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2 사회적기업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 academic research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the key concept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tendency of the auth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5 articles published in the 'Social Enterprise Studies' journal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20, and in this study, 113 keywords were extracted by preprocessing using the Textom service. Also, keyword network analysis index By analyzing human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the past and present of research on social enterprises were diagno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by predicting the future. In addition, in this study, author analysis and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trends of major researchers and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u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research trends on social enterprises have not been analyzed much and in-depth research trends in specialized academic journals on social enterprises have not been analyzed in a situation where research on social enterprises has been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provides a conceptual reference point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social enterprises, but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ocial enterpris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학문적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중점개념, 연구방법론, 저자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08~’20년 사이 발표된 ‘사회적기업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145편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는 Textom 서비스를 활용하여 전처리 하여 주제어113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으며, 또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지표인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분석하여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진단분석하여 향후 사회적기업에 대한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저자분석과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연구자 동향과주요 사용된 연구방법론 동향을 살펴보았다. 최근에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많이 분석되지 않았다는 점과 사회적기업에 관한 전문학술지의 심층적인 연구동향이 분석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의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개념적 기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사회적기업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기술창업기업 CEO의 혁신지향성이 전략지향성과 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일한,황금주,김현철,조세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2
This paper explored the new product performance between innovativeness, strategic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in technical entrepreneurship business' CEO.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novativeness affected strategic orientation(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and then analyzed how strategic orientation(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influenced learning orientation. Last, how learning orientation affecte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We administerd a survey with 138 technical entrepreneurship business' CEOs located in the Seoul, Gyeonggi, Gyeongnam area.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innovativeness affects strategic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custome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also affect learning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affect new product performance and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cluding innovativeness, strategic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finding confirms that innovativeness affects strategic orientation.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 CEO의 혁신지향성, 전략지향성, 학습지향성과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첫째, 혁신지향성이 전략지향성(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기술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둘째, 전략지향성이 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마지막으로 학습지향성이 신제품개발성과와 기업성과에 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경남 지역에 위치한 기술창업기업 CEO 13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혁신지향성이 전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혁신지향성이 전략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략지향성이 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고객 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지향성이 신제품개발성과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지향성이 신제품개발성과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 CEO의 혁신지향성, 전략지향성, 학습지향성, 신제품개발성과, 기업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혁신지향성과 전략지향성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일한,김광준 대한의학회 200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3 No.5
Choledochal cyst is a cystic or fusiform dilatation of the extra- or intrahepatic bile duct that has rarely been reported in prenatal cases. Here we report a fetus with choledochal cyst diagnosed prenatally by three-dimensional (3-D) ultrasonography at 22 weeks of gestation. We demonstrated an image of choledochal cyst by using a new ultrasound technique, a 3-D multislice view. After close intrauterine followup, surgery was successfully performed an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이일한,김화경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 perceptions and product evaluation on eco-mark, based on the study in self-construal of the consumer. In addition, we validated the self-construal of consumer product evaluation on how the impact mediated by perception of the eco-mark,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consumer’s eco-mark perception was verified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We administerd a survey with consumer attending a lo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familiarity of Eco-mark. Second, metapersonal self-construal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erceived familiarity of Eco-mark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Eco-mark. Third, two dimensions of consumer’s perception of Eco-mark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quality and the Eco-mark product purchasing intention. And fin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showed its moderating effects on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endent and metapersonal self-construals and two dimensions of consumer’s perception of Eco-mark.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자기해석에 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환경마크에 대한 소비자 지각 및 제품평가를 고찰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해석이 환경마크를 대한 지각을 매개로 제품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으며, 소비자의 자기해석과 환경마크에 대한 지각간의 관계에서 소비자효과성지각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환경마크에 대한 친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중심적 자기해석은 환경마크에 대한 친숙성과 중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마크에 대한 소비자 지각(친숙성, 중요성)은 모두 지각된 품질과 환경마크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및 생태중심적 자기해석과 환경마크에 대한 소비자 지각(친숙성, 중요성)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효과지각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CBSM 확장 모델을 활용한 아세안 지역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에 관한 연구
이일한 한국환경경영학회 2019 환경경영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의 동기요인으로 행동의 효과성 인지, 환경적 윤리전이, 대화시 느끼는 불안감, 환경믿음 우월성이 친환경행동을 위한 노 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를 자세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의 효과성 인지는 친환경행동을 하기 위한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자신의 행동이 환경과 사회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둘째, 환경윤리전이는 친환경행동을 하기 위한 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환경에 대한 견해를 타인에게 전달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다. 셋째, 환경문제 대화시 느끼는 불안감은 친환경행동을 하기 위한 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타인과의 환경문제에 대한 대화를 할 경우에 불 안감이 증가하여 친환경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신념 우월성은 친환경행동을 하기 위한 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보존에 대한 신념을 가진 소비자가 친환경 행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한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ehavioral awareness, environmental ethics transition, uneasiness of conversation, and superiority of environmental beliefs on efforts for eco-friendly behaviors as motivations for eco-friendly behaviors of consumers. Put 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fforts to make eco-friendly behaviors. It can be assumed that consumers think that their behavior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society. Second, environmental ethics transi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fforts for eco-friendly behavior. It can be assumed that consumers try to convey their views of the environment to others. Third, the anxiety felt when talking about environmental iss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ort to conduct eco-friendly behavior. This can be presumed to increase anxiety when consumers talk about environmental issues with others and cause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Lastly, the superiority of environmental belief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orts for eco-friendly behavior. It can be assumed that consumers with a belief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ely practice green behavior.
이일한,한주희,김주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창업교육 서비스품질 구성요인을 교육커리큘럼(교과목의 전문성, 차별성, 다양성), 교육형태(이론교육형태, 실습교육형태) 그리고 교육운영(행정, 시설, 네트워킹)의 세 차원으로 도출하였으며, 창업교육 서비스품질과 만족, 그리고 구전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창업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커리큘럼 중에서 전문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별성과 다양성은 모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형태 중에서 이론교육형태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습교육형태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운영 중에서 행정요인과 시설요인은 서비스품질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네트워킹요인은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에 있어 특히 서비스품질의 중요한 요인인 교육요인을 창업교육 현실에 맞게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창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word to mouth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In this research, service quality consists of three factors including curriculum(expertise, distinction, and diversity of curricula), type(theory-oriented and practice-oriented), and administration(operation, facility and networking). For this study, 198 postgraduates in the five Korean graduate school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nd SPSS and Amos 4 were employed. The findings are: First, distinction and diversity of curricula increase service quality while expertise does not. Second, theory-oriented type increases service quality while practice-oriented type does not. Third, operation and facility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However, networking decreases service quality.. Finally, service quality increases word to mouth. Some implications are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