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군 조정교부금제도의 개정이 재정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이윤조,이용모,최웅선 한국정책학회 2016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2017년 지방재정개혁으로 인한 시·군 조정교부금제도의 개정이 재정형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의 재정자료를 활용하여 재정형평성의 변화를 분석했다. 불평등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변이계수와 지니계수를 활용하였고 자치단체의 재정 규모를 총액과 1인당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자체세입과 지방교부세를 합산한 값에 조정교부금을 더할 경우 총액기준일 때는 조정교부금이 형평화 효과를 악화시키지만, 1인당 기준일 때는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총액 기준일 때는 제도의 개정후 자치단체 간 재정형평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인당 기준일 때는 역으로 재정형평성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당 기준으로 보통교부세 불교부단체에 적용되는 우선보전율을 10%씩 하향조정한 결과 2011~2015년의 값이 각각 상이하게 도출되었고 불평등계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 간 재정력을 비교할 시, 자치단체의 규모에 따라 총액은 큰 차이가 나게 되므로 1인당기준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결과, 궁극적으로 시·군 조정교부금 제도의 개정이 재정형평성 제고에 기여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이윤조,이용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iteria to evaluat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criterion. To this end, previous research was reviewed and the Delphi method was employed. A draft of evaluation criteria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reviewing related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an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nally established criteria. The first draft of evaluation criteria consisted of 4 evaluation areas, 12 evaluation items, and 43 evaluation indices.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four rounds of the Delphi survey were carried out with 18 expert panelists consisting of six persons from each group of professors, teacher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experts. The evaluation criteria with a relatively low degree of consensus between experts were modified and the revised set of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repeatedly through the Delphi survey. Finally, the confirm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onsisted of 4 evaluation areas (such as 1. need analysis of the program, 2. program design and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3.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4. identification of the program outcomes), 12 evaluation items, and 42 evaluation indices. In the final Delphi surve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introduc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이 연구는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관리하고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각 평가준거의 상대적 중요도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델파이 조사에 의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론적 배경이 되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초안을 구안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평가준거에 대한 타당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된 평가준거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4개의 평가영역, 12개의 평가항목, 43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준거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평가준거 초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 평가준거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학교수, 학교교사, 환경교육 프로그램 전문가 6명씩 모두 18명의 해당 분야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평가항목, 평가항목, 평가지표별 2차례 실시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의견 일치도를 보인 항목을 수정하고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과정을 거쳐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를 확정하고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최종 확정된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는 1. 프로그램의 요구분석, 2. 프로그램의 설계 및 자료개발, 3. 프로그램의 실행, 4. 프로그램의 성과확인 등 4개 영역, 12개 항목과 42개 평가지표로 구성되었다. 네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확보한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마지막 델파이 조사에서 계층화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와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중소규모 가스전 개발을 위한 마이크로채널 반응기 기술

        이윤조,곽근재,전기원,박선주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중소규모 가스전인 한계가스나 셰일가스는 전세계 가채매장량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부존량이 많으며, 석유자원 개발시 수반되는 동반가스는 대부분 태워 버려지며 그 양이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의 5%에 달해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이들을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소규모 가스전 개발 기술로서 중소형 GTL(gas-to-liquids) 기술은 천연가스의 리포밍과 Fischer-Tropsch (FT) 반응을 거쳐 합성유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규모의 가스전에 적용가능해야 하며 육상뿐만 아니라 오지나 해상(FPSO 활용)에서도 운송/설치/운전이 용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반응시스템은 컴팩트해야 하며 모듈화가 필요하다. 마이크로채널 반응기는 촉매 반응층과 열교환층이 플레이트 형태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서 열교환 면적이 넓어 강한 발열반응이나 흡열반응에 유리하다. 본 연구는 중소형 GTL의 핵심기술인 FT 반응의 마이크로채널 반응기와 고성능 촉매기술을 파일럿 플랜트 규모(0.2배럴/일)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농업·농촌의 가치에 관한 대국민 인식변화와 농업문해의 교육적 함의

        이윤조,마상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대국민 농업·농촌의 인식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농업·농 촌의 가치에 대한 대국민 인식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농업문해측면에서 교육적 함의 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농업문해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있는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을 참고하여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실시한 대국민 농업·농촌 의 인식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농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둘째, 젊은 세대일수록 농업·농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농업·농촌의 사회적 중요성 인식은 높은 편이나, 상대적으로 농업·농촌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도나, 관련성 인식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농업·농촌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개인적 중요성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농업·농촌과 관련된 대국민 대상 교육의 체계적 변화가 요구되며, 특히, 유아 및 초등 단계에서의 농업문해교육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ing pattern of public perception of agriculture based on the survey data of public perception of agriculture and to investigate its educational implication on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theoretically reviewed a concept of agriculture literacy by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used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public survey data of perception of agriculture which was conducted between 2011 to 2013. Thi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ome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perception of agriculture had been decreased during the survey periods. Second, the younger generation wa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agriculture was presented. Third,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 of agriculture was high but personal interest or concern related to agriculture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gnized the needs of systemic change of agriculture education for public to make smaller the gap between perception of social value of agriculture and personal concern about agriculture. We also recognized especially the needs of strengthening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for the preschooler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발명 개념분석을 통한 발명교육 내용체계 개발 및 타당화

        이윤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본 연구는 발명 및 발명교육 내용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발명교육의 내용체계 초안을 도출하고, 구안된 내용체계의 타당성을 확보하여 최종적으로 발명교육 내용체계를 제시함에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발명교육 내용 체계는 대영역, 중영역, 내용 요소로 구성되었다. 대영역은 발명의 이해, 발명의 실제, 발명의 활용으로 구분되었다. 대영역인 발명의 이해에 대한 중영역은 발명의 개념과 중요성, 발명과 인간, 발명의 역사, 미래사회와 발명으로 구성되었고, 발명의 실제에 대한 중영역은 발명과 융합적 지식, 발명사고기법, 발명의 과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명의 활용에 대한 중영역은 발명과 지식재산, 발명과 경영, 발명과 윤리로 구분되었다. 둘째, 최종 제시된 내용체계는 타당도(CVR=1), 합의도, 수렴도 측면에서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급별 수준분석을 위한 후속연구와 학교교육과정 반영을 위한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tentative content system of the invention education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an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content system. Eventually, we proposed a content system of invention education.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interview, experts' discussion, the Delphi were intro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of invention education consisted of 3 main areas, 10 sub areas and 24 components; For example, three main areas included ‘Understanding concept of invention’, ‘Practice of invention’, ‘Practical use of invention’. Second, By using a three-round Delphi method and expert panel, The proposed content system of invention education were valid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in invention eduction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