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거환경개선사업에 관한 연구 : 현지개량방식의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유택,안호남,최홍규,이창구,김영하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19 No.1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ct was passed in April 1989 and will exist until December 1999. The reason for this act is to solve housing problems for low income residents who were was able to improve their housing quality by themselves. However several problems emerged by carrying out land redevelopment. First, low income residents could not reside in the same area because middle income class, land inveaaors acquire these area. Second, the development area because high density and unfit environment because of building legal parking places, floor area ratio, ttrilding coverage, although this project intends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se problems and to provide solution measures.

      • KCI등재
      •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연구(우리나라와 일본의 제도를 중심으로)

        이유택,최홍규,이원근,김영하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19 No.2

        Since 1990. Our society has got a radical of external environment and a high level of consciousness and residential income internally. According to these, It is required to improve in qualitative rise of the existing urban environment, and It is changed in space-policy and residential consciousness. It is an age of the local autonomy, since an election of the chief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It is strengthened the role of locality, so the resident come to determine for themselves and take the responsibility about their local problems. A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participation system of the resident in our country 2. To suppose the better remedy in the existing participation system of the resident through comparison of cases between our country and foreign one.

      • KCI등재
      • KCI등재

        행복과 도덕-플라톤, 칸트, 니체를 중심으로-

        이유택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91 No.4

        The history of the question of happiness is as old as the history of philosophy. Many great philosophers have used happiness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in various ways. One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methods of happiness is to discuss it in relation to morality.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and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way in which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makes clear the difference in the way we understand happiness. This article focuses on Plato, Kant, and Nietzsche as representatives of the qu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n philosophical history.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different philosophical interests and methodologies, but at least they seem to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ask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Plato thought that happiness and morality we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For him, happiness is only realized through morality(justice) and morality was the ultimate goal of happiness. Kant, on the other hand, saw that happiness and moral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ity is never a means to reach happiness, and happiness is not the purpose of morality. Nietzsche also talks about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But this is no longer a platonic identity. Because Nietzsche understand the meaning of happiness,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both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philosophy. 행복에 대한 물음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많은 위대한 철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복을 철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행복에 대한 철학적 탐구 방식 중 하나는 그것을 도덕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다. 어떤 철학자는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주목하고, 어떤 철학자는 양자의 차이에 주목한다. 행복과 도덕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를 통해서 행복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 글은 철학사에 나타난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대표자로서 플라톤과 칸트, 그리고 니체를 주목한다. 이 세 명의 철학자는 서로 다른 철학적 관심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행복과 도덕이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 속에 있다고 생각했다. 행복은 오직 도덕(정의)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도덕은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반면에 칸트는 행복과 도덕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보았다. 도덕은 결코 행복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행복은 도덕의 목적이 아니다. 니체도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 동일성은 플라톤적 동일성이 아니다. 왜냐하면 니체는 전통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복과 도덕,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Competing on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novation: The Fact-Based Management System of HOMEPLUS

        이유택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1 창조와 혁신 Vol.4 No.2

        This study explores one of the best practice cases that have achieved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management innovation pursuing two significant strategic goals; business growth and social contribution. While managers have considered business growth as a crucial component of strategic plan, they have not taken account the social contribution as a part of their strategic map. Homeplus Co., Ltd. (hereafter Homeplus) develops a virtuous cycle that links business growth and social contribution through its unique management system, resulting in achieving superior business performance as well as acquiring the reputation of the most admired company. In investigating the innovative management system of Homeplus, this study adopts the fact-based management framework that is developed based on about 175benchmarking visits to the best practice firms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U.S.A., Japan, and Thailand. Our in-depth analysis of Homeplus case not only describes the management system itself,but also investigates how various components in the system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making competitors hard to imitate.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provides practical insights on how firms can pursue two strategic goals that are widely, but not accurately, considered to be a mere trade-off through the management innov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하이데거와 형이상학의 문제

        이유택 한국하이데거학회 2005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2

        본 연구는 세 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형이상학의 ‘극복’에 대한 하이데거의 요구 안에 담겨 있는 구체적 내용이 무엇이냐 하는 물음을 담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하이데거가 형이상학 ‘이후’의 탈형이상학적 사유를 어떤 식으로 규정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세 번째 부분은 형이상학의 ‘종말’에 대한 하이데거의 테제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를 문제 삼는다. 첫 번째 물음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서양 형이상학의 역사를 허무주의의 역사로 파악한 니체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적 해석을 끌어 들여 하이데거에게 말하는 형이상학의 극복은 단순한 거부나 폐기와는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두 번째 물음과 관련해서는 전통 형이상학적 사유의 특징인 ‘표상’과 탈형이상학적 사유의 특징으로서의 ‘응답’과 ‘놔둠’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해명한다. 끝으로 세 번째 물음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형이상학의 ‘종말’은 ‘완성’을 의미하지만, 이 완성은 ‘완전성’에의 도달이 아니라, 형이상학 이후의 새로운 사유를 위한 단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을 시원적 사유자들에 대한 그의 독창적 해석을 중심으로 음미해 본다. Die vorliegende Abhandlung stellt drei Fragen. 1. Was heißt Überwindung der traditionellen Metaphysik bei Heidegger? 2. Wie ist die Grundzüge des postmetaphysischen Denkens zu verstehen? 3. Was meint Heidegger mit seiner These vom Ende der Philosophie als Metaphysik? Um auf die erste Frage zu antworten, versucht die vorliegende Abhandlung zu zeigen, daß die Überwindung der traditionellen Metaphysik bei Heidegger mit ihren bloßen Vernichtung bzw. Verneinung nichts zu tun hat. Die Antwort auf die zweite Frage findet sich in der Erläuterung der Differenz zwischen dem ‘Vorstellen’ als ein wesentlicher Charakter der traditionellen Metaphysik und dem ‘Entsprechen’ und dem ‘Seinlassen’ als zwei möglichen Denk- formen der Postmetaphysik. Schließlich versucht die vor- liegende Abhandlung zu zeigen, daß das Ende der Metaphysik ihre Vollendung besagt, daß aber diese Vollendung nicht als die Vollkommenheit, sondern als der neue Ansatz für das zukünft- ige, postmetaphysische Denken verstanden werden muß.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